Saturday, December 22, 2012

언니의 영주권 오디세이

언니 영주권 챙겨와.” 
언니와 형부 그리고 우리 부부는 차를 몰고 북쪽으로 올라갔다. 천 섬을 돌고 캐나다로 가서 갓 받은 따끈따끈한 언니와 형부의 영주권 효능을 확인해 보고 싶어서다.

천 섬을 구경하고 다리를 건너 캐나다로 들어가려고 접경지역에서 얼쩡거리다 경찰의 검문을 받았다. 약간의 걱정을 동반한 심정으로 영주권을 보여주니 즐거운 여행 잘하라.’며 보내주는 것이 아닌가. 이 영주권을 받으려고 그리도 애타게 기다렸던 긴 세월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갔다.

언니는 딸을 통해서 영주권을 받았다. 언니 딸, 내 조카는 나와는 반대로 여자 키 치고는 큰 편이다. 친정아버지 왈 나는 키가 작아서, 조카는 키가 커서 한국에서는 결혼하기 쉽지 않으니 떠나는 것이 낫겠다.’는 견해 또한 우리 둘이 한국을 떠난 작은 이유 중의 하나라고도 할 수 있다.

6.25전쟁을 혹독히 겪은 친정엄마는 늘 전쟁이 나면 딸들이 군인들에 의해 망가지기 십상이고 딸들도 공부를 많이 시켜야 한다며 유학을 권장했다. 친정아버지 또한 사람은 넓은 세상을 둘러봐야 인간이 된다는 신조인지라 자식들의 결점을 유학 보내는 것으로 치유하려 했다.

조카는 대학을 졸업하고 뉴욕으로 유학 왔다. 공부도 공부지만 결혼도 해야 하는데 뉴욕에서 결혼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키 크고 인물은 좋은데 애교가 없어서인지 연애 한번 해보지 못한 조카의 모습이란 방안에 떡하니 버티고 있는 보릿자루같다.

여기저기 수소문해서 남자를 소개받았지만, 반응이 없는 조카가 애를 태웠다. 부모가 미국에 없다는 것이 결혼 조건의 단점 중의 하나였기에 언니와 형부는 방문 비자로 미국에 왔다.

세 번째 소개받은 남자를 마음에 썩 내키지 않아 하는 조카를 더 만나 볼 것을 강요했다. 남자 쪽에서는 적극적으로 나왔다. 조카도 서너 번을 더 만나더니 마음을 주는 듯했다.

어릴 때 이민 온 조카사위와 다 커서 유학 온 조카는 다른 문화권에서 자랐기 때문에 맞을 리 없겠다는 불안한 요소가 없지는 않았지만, 워낙에 조카사위가 성실하고 조카 또한 나무랄 것이 없는지라 둘은 결혼해서 아들딸 낳고 잘 산다.

조카를 결혼시키느라 애쓰는 사이에 언니와 형부는 불법 체류자가 되었다. 난 조카에게 빨리 시민권을 받아 부모에게 영주권 해 줄 것을 또 강요할 수밖에 없었다. 다행히 조카사위가 서둘러 언니 부부도 영주권을 받았다.

조카를 결혼시키고 언니가 영주권을 손에 쥘 때까지의 그 오랜 세월을 되돌아보니 어찌 그리 일사천리로 일이 진행됐는지. 한끝의 오차만 있었어도 언니는 불법으로, 조카는 꿔다 놓은 보릿자루로 방구석에 우두커니들 있을 생각을 하면 아찔하다

Friday, December 21, 2012

Sister's green card Odyssey

"Sister, don’t forget your green card."
My sister, her husband, my husband, and I drove north. We wanted to visit the Thousand Islands and cross into Canada to test out my sister and brother-in-law’s brand-new green cards. 
After touring the Thousand Islands, we approached the border to Canada. While we were lingering around the checkpoint, we were stopped by border officers. A bit nervous, we showed them the green cards. To our relief, they just smiled and said, “Enjoy your trip.” At that moment, all the years of waiting and struggling to get the green card flashed through our minds.

My sister got her green card through her daughter, my niece. Unlike me, my niece is tall for a woman. Our father once said, “I’m short, and your niece is tall, so it might be hard for you and her to get married in Korea. It’s better for her to go abroad.” That was one of the small reasons both of us left Korea.

My mother had suffered a lot during the Korean War. She always warned that when war breaks out, daughters are especially vulnerable. She believed daughters should be well-educated and encouraged studying abroad. My father, too, believed that a person should see the world to truly grow up. So, they tried to fix their children’s weaknesses by sending them overseas.

My niece went to college in Korea and then came to New York for further studies. Studying was important, but she also needed to get married — which wasn’t easy in New York. She was tall and good-looking, but perhaps because she lacked charm, she hadn’t dated anyone. She was like “a sack of barley just sitting in a room,” as the Korean saying goes.

I asked around and tried to set her up with someone. But even when introduced to men, she showed no interest. It was frustrating. One big reason was that her parents didn’t live in the U.S., which made things harder for her in the dating world. So, my sister and brother-in-law came to the U.S. on tourist visas.

The third man she met wasn’t really her type, but we pushed her to keep seeing him. On the man’s side, he was very eager. After a few more dates, it seemed like she started to warm up to him. There were concerns. My niece had grown up in Korea, and her fiancé had moved to the U.S. when he was a child, so they had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But he was hardworking, and she had no real flaws, so they got married and now live happily with a son and daughter.

While helping my niece get married, my sister and her husband became undocumented. I had to push my niece to get her U.S. citizenship quickly so she could sponsor her parents for green cards. Thankfully, her husband acted fast, and they finally got their green cards.

When I look back, it all feels like it happened so smoothly — but in reality, it was a long, difficult journey. If even one thing had gone wrong, my sister might have remained undocumented, and my niece could’ve still been sitting alone in her room like a barley sack. Just thinking about it gives me chills.

Saturday, December 1, 2012

그리운 사람

검은 가죽옷에 래그워머을 신은 키에 꾸부정히 걸어가는 사람을 봤다. ‘아 선배님이 지나가네. 차 세워요.’ 하려다 아차 싶었다.

우리는 그 선배님을 정 박사라고 불렀다. 박사학위는 없지만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많은 사람을 만나다 보니 아는 것이 많아서다. 본인 말로는 주간지를 열심히 읽은 덕분이라며 정 박사라고 불러 주는 것을 매우 좋아했다.

, 놀러 와.” 
어제 놀았는데 또 놀아요?” 
주중에 노는 거 하고 주말에 노는 게 같냐?” 
매일 노는 사람도 주말은 더 재미있게 놀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았다.

3년간 살다 헤어진 부인과 이혼하러 갔던 이야기를 수십 번도 더 들었
이혼하려고 기다리는데, 앞에 서서 기다리던 부부가 싸우는 거야. , 이혼하러 와서까지도 싸우는 사람이 있더라.” 
남의 이혼 이야기엔 신이 나서 목소리가 커졌다.
이혼선서를 하고 나와 마지막으로 정말 다정히 헤어지려고 했는데 이게 싹 돌아서더니 오는 택시를 잡아타고 쏜살같이 가버리리는 거야. 아직도 달려가는 택시 뒷모습이 눈에 선해.” 
자신의 이혼 이야기엔 목소리가 작아졌다.

그는 시청에서 우리 결혼식 증인 중의 한 명이었다. 온종일 짧은 주례 겸 선서식을 앵무새처럼 주관하는 퇴역 대령은 우리 일행이 영어를 못하는 줄 알고 그나마 대충하던 것을 더욱 짧게 끝냈다. 그 바람에 사진 찍을 틈이 없었다고 다시 하라며 그가 떼를 쓰기도 했었는데.

야 이혼 한 사람이 주례를 서면 이혼한다는데 괜찮겠지?” 
걱정 섞인 신 나는 표정으로 내 동생 결혼식 주례를 섰다. 결국, 내 동생은 결혼생활이 순탄치 못했다.

힘들고 어려운 시절 갈 곳이 없던 우리는, 주말이나 연휴 그리고 명절엔 정 선배를 찾아가곤 했다. 
인제 그만하고 일어납시다.” 
선배님 건강을 생각해서 술 마시다 한마디 하면 버럭 화를 내며 
놀 줄도 모르는 놈, 내가 너희보다 더 오래 살 거야. 가. 짜식아.”
오래 산다더니그는 췌장암으로 요절했다. 오늘 같은 명절엔 피 붓 치인 양 항상 함께했던 그에게서 
야 김치 있니?” 
하는 전화가 걸려 올 것 같다
하늘나라에서도 정 선배와 이 선배( 정 선배가 돌아가시고 난 후에 가신 다른 선배 )가 만나서 술 마시고 있겠지?” 
뻔하지. 두 분이 살아계시면 함께 한잔할 텐데.” 
술맛이 예전만 못하다

Friday, November 30, 2012

A person who misses

I saw a tall person walking with a hunched back, wearing black leather clothes and leg warmers. I almost said, “Oh, that’s our senior. Stop the car!” but then I remembered.

We used to call him Dr. Jung. He didn’t have a PhD, but he traveled around a lot and met many people, so he knew a lot. He said it was because he read weekly magazines all the time. He liked it when people called him Dr. Jung.
“Hey, come hang out.”
“We just hung out yesterday!”
“Playing during the week and playing on the weekend are totally different.”
That’s when I realized—even people who party every day want to have more fun on weekends.

He told us the story of going to finalize his divorce with his ex-wife at least a dozen times.
“I was waiting for my turn at the courthouse, and the couple in front of me started arguing. Can you believe it? They came to get divorced and were still fighting!”
When talking about other people’s divorces, his voice got loud and excited.
“When it was finally our turn, we said our final vows to end things nicely. But then she just turned around, jumped into a taxi, and sped away. I can still see that taxi driving off in my mind.”
When it came to his own divorce, his voice got quiet.

He was one of the witnesses at our wedding at city hall. The retired army colonel who performed the short ceremony thought none of us understood English, so he rushed through the vows even more quickly than usual. We didn’t even have time to take pictures. Dr. Jung actually demanded we do it again.

“Hey, they say if a divorced person officiates your wedding, the couple will end up divorcing too. Is that okay?”
He said this with a worried but excited look on his face as he officiated my younger sister’s wedding. Sadly, her marriage didn’t go smoothly.

During those hard and lonely times, with nowhere to go, we often visited Dr. Jung on weekends, holidays, and special occasions. When someone said, “Let’s stop drinking now—for your health,” he would snap back,
“You don’t even know how to have fun! I’ll live longer than you. Go home, you punk.”
He said he’d live a long life… But he passed away young from pancreatic cancer.

On holidays like today, I still feel like he’ll call me, saying:
“Hey, do you have any kimchi?”

Now I say things like:
Dr. Jung is probably drinking with Mr. Lee in heaven by now, right?”

“Of course. If they were still here, we’d be having a drink together.”
Drinking doesn’t feel the same anymore.

Saturday, November 17, 2012

친구의 분노

맨해튼 첼시로 가는 길 트래픽이 몹시 심했다. 서울에 사는 동기 동창이 뉴욕 화랑 밀집 지역인 첼시에서 개인전을 했다. 드디어 한국에서 잘 나가는 작가 라더니 뉴욕까지 왔구나! 가난한 화가도 성공해서 잘 살 수 있다는 것이 뿌듯하며 자랑스러웠. 빨리 보고 싶은 마음에 조바심이 났다.

밀려든 관람객에 둘러여 있는 동기는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훤하게 변해 있었다. 그를 멀리서 바라보며 대학 시절로 되돌아갔다.

미술 대학에서의 남학생들은 여학생들과는 달리 가난했다. 특히 지방에서 올라온 그는 더욱 가난했다. 그가 등록금 낼 때면 다른 남학생들이 내일처럼 걱정과 수심에 차 있었다. 수업이 끝난 후에도 학교 실기실에서 심각한 얼굴로 앉아 있었다. 그림을 그리느라 있었던 것이 아니라 돈이 없어 갈 곳이 없어서였다.

못다 한 이야기를 하고 싶은 마음에 집으로 불렀다. 그렇게 말이 없고 우울한 모습으로 기억에 남아있던 그가 어찌나 웃기는지 우리는 밤새도록 떠들었다
, 있잖아. 
기억력을 더듬으면서
걔 있잖아
를 연발하며 학창시절로 돌아갔다. 우리 동기들이 다 아는 그의 절절한 사연, 이루지 못한 옛사랑 이야기가 결국엔 술기운에 튀어나오고 말았다.

그는 우리 일 년 후배와 오랫동안 사귀었다. 그러나 가난한 화가라는 이유로 그녀 부모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혔다. 딸과 같은 공부를 했던 그를 비하하는 모습에 얼마나 허탈했을까? 결국, 그녀는 온 집안의 반대를 극복 못 하고 돈 많은 남자를 선택했다.

결혼식장에 찾아간 그는 양팔을 잡아 끌어내는 그녀의 형부들에 의해 쫓겨났고 그녀는 결혼하고 외국으로 떠났다. 그 상처로 젊은 나날을 괴로움 속에서 보냈다. 오래된 일이지만 그의 가슴에 맺힌 한을 들으며 모두가 조용해졌다.

허나 인생길이 그리 순탄하기만 할까. 그녀는 남편이 사업에 실패하자 조용히 한국으로 돌아와 그가 성공한 화가로 이름이 알려지자 전시회에 나타나곤 했다. 그러다 얼마 전부터는 그에게 전화해서 만나자는 것을 짜증 섞인 목소리로 거절했다는 이야기다.

가난하고 희망이 없었던 화가를 믿고 결혼해준, 지금의 그를 있게 한 부인에게 도리가 아니라서 만나지 않았단다. 이루지 못한 옛사랑을 말한다기보다는 가난해서 받았던 상처를 다시 헤집어 놓은 것에 대한 분노를 말하고 있었다.

너를 선택하지 않은 것은 실수 한 거야. 복을 찬 거야. 
우리는 합창으로 위로 아닌 위로를 했
어떠한 상황에서도 우리는 우리 아이들의 결혼을 반대해서는 안 된다. 알았지. 알아들었어. 알아들었느냐니까? 
친구는 술에 취해 가슴에 맺힌 한을 토했.

Friday, November 16, 2012

The anger of friend's

The traffic on the way to Chelsea in Manhattan was terrible. A friend from back in school, who now lives in Seoul, was holding a solo exhibition in Chelsea—New York’s gallery district.
They’d been saying he was finally making it big in Korea, and now here he was, in New York!
It felt great and made me proud to know that even a poor artist could succeed and live well. I was excited to see his work and couldn’t wait to get there.

When I arrived, he was surrounded by visitors, and he looked so polished that I barely recognized him. Watching him from a distance, my mind went back to our college days.

Back in art school, most of the male students were poor—especially compared to the female students. He was even poorer than most, having come from a rural area. Whenever tuition was due, the other guys would worry as if it were their own problem. Even after class, he would sit silently in the studio—not drawing, but simply with nowhere else to go because he had no money.

Wanting to catch up, I invited him over to my place. The quiet, gloomy guy I remembered from school turned out to be so funny—we ended up talking and laughing all night. We kept saying, “Hey, remember that guy? You know, that guy…” as we searched our memories and brought the past back to life. Eventually, with a little alcohol, the story we all knew came out—his old heartbreak.

He had dated a classmate a year below us for a long time. But her parents strongly opposed their relationship because he was a poor artist. How painful it must’ve been to hear them belittle him, even though he studied the same thing as their daughter. In the end, she couldn’t go against her family and married a wealthy man instead.

On her wedding day, he showed up but was dragged out by her brothers-in-law.
She got married and moved overseas. That left a deep wound, and he spent his young adult years in heartbreak and sadness. Though it happened long ago, as he told the story, the room went silent.

But life rarely stays on one path. When her husband’s business failed, she quietly returned to Korea. After he became a successful and well-known artist, she began showing up at his exhibitions. And recently, she even started calling him, asking to meet. He said he refused in an annoyed voice.

He didn’t want to meet her—not because of bitterness over lost love—but because he felt it wasn’t right to his wife, the woman who had believed in him when he had nothing. His voice was filled not with nostalgia, but with anger—anger from old wounds caused by poverty, not love.
“She made a huge mistake not choosing you. She threw away her luck.”
We all chimed in, comforting him in unison, though it didn’t quite feel like comfort.
“No matter what, we must never oppose our own children’s marriages. Got it? You hear me? Do you really hear me?”
Drunk, our friend finally poured out the pain that had stayed in his heart for years.

Saturday, November 10, 2012

당신은 특별한가요?

벌써 비행기가 착륙한 건 아니겠지?’ 조바심이 나 주차를 하고 오겠다는 남편을 뒤로하고 부리나케 터미널 1, 서울에서 오는 비행기 도착지로 뛰어갔다.

드문드문 사람들이 나오고 있다. 옆에 있는 한국 여자가 손을 들어 양복 입고 나오는 남자를 반기길래 서울에서 오는 비행기가 도착했느냐고 물었다
우리 남편은 일등석을 타고 와서 잘 모르겠는데요.” 
얼떨결에 ! 일등석, 그렇지 일등석은 일반석보다 빨리 날지.’ 남편과 팔짱을 끼고 멀어져가는 그녀를 보며 아차 싶었다. 같은 비행기잖아!

젊은 혈기에 세상을 둘러보겠다고 집 떠난 아이는 온몸이 햇볕에 그을린 동남아시안 모습으로 커다란 배낭을 짊어지고 뒤늦게 나왔다. 편하냐 불편하냐의 차이지 일등석이나 일반석이나 같은 속도로 나르지 않는가!

친정아버지가 갑자기 병원에 입원했다. 급하게 서울 가는 비행기 표를 구해 공항에 갔다. 항공권을 스크린하고 탑승하러 가는 긴 통로를 지나다 먼 친척을 만날 줄이야. 매우 반가웠다.
서울 가세요? 잘됐네요. 긴 여행 이야기하면서 가면.” 
전 일등칸을 타는데요.” 
아 그러세요.” 
알래스카에서 내려서 이야기해요. 그럼 이만.”
왼쪽 일등석 통로로 들어갔다. 나는 오른쪽 일반석으로 들어가며 
기다릴게요.”
나는 알래스카 공항에 잠깐 쉬었다 가는 비행기에서 내려 그녀를 기다렸다. 그러나 그녀를 찾아 이리저리 헤맸지만 보이지 않았다.

그녀는 먼 친척으로 한국에서 어렵게 살다 꿈의 나라 미국에 와서 자영업을 열심히 일궈 나름대로 성공한 사람이다. 가족모임에서 서너 번 만났다. 만날 때마다 약간 비하하는 말투로 
아직 그곳에 사세요?”
가 그녀의 인사다오래전 그녀는 난방도 없는 나의 브루클린 스튜디오에 왔었다. 그때 내가 사는 모습을 보고 놀랐는지 그녀의 기억엔 내가 항상 추운 스튜디오에서 떨고 있는 모습으로 각인된 듯하다.

미국의 시작은 루저들의 시작이었다. 우리가 고국을 떠날 때는 너나 할 것 없이 모든 분야에서의 모자람을 채워보려는, 한마디로 잘 살아보겠다는 각오로 떠났다. 그런데 형편이 조금 나아졌다고 해서 지난날의 어려움을 되돌아볼 틈도 없이 그동안 쌓인 천박한 싸구려 선민의식을 곳곳에 내뱉는다.

나 또한 남들 앞에서 불쑥 튀어나오는 나의 알량한 행동과 말들이 여러 사람의 가슴을 후비고 그들의 머릿속에 각인되었을 것을 생각하면, 남들이 나에게 퍼붓는 우쭐거림은 그리 화낼만한 일은 아닌지도 모르겠다.

Friday, November 9, 2012

Are you special?

“The plane hasn’t landed already, has it?”
Feeling anxious, I left my husband—who said he’d go park the car—and rushed into Terminal 1 toward the arrivals area for flights from Seoul.

People were slowly coming out. I saw a Korean woman nearby wave to a man in a suit and asked her,

“Has the flight from Seoul arrived?”
She said,
“My husband flew first class, so I’m not really sure.”
For a second, I was caught off guard.
“Oh, right… first class. They do come out earlier.”
As I watched her walk away arm-in-arm with her husband, I suddenly realized, Wait—it's the same plane!

My child, who had left home young and full of dreams to see the world, finally appeared. His skin was dark from the sun, and he had a huge backpack on. He looked like a Southeast Asian traveler. First class or economy—it’s just a difference in comfort, not in speed. The plane flies the same for everyone!

One day, my father was suddenly hospitalized. I rushed to the airport with a last-minute ticket to Seoul. As I passed through the long corridor after security, I ran into a distant relative. I was really happy to see her.
“You’re going to Seoul? Great—we can catch up during the flight.”
She replied,
“Oh, I’m flying first class.”
“I see…”
“Well, let’s talk when we stop over in Alaska. See you then.”
And with that, she entered the first-class boarding gate on the left. I turned right, into economy, and said,
“I’ll wait for you.”

At the Alaska airport, where the plane stopped briefly, I got off and looked around to find her—but she was nowhere to be found.

This distant cousin had lived a hard life in Korea, then moved to the U.S.—the land of dreams—and worked hard in her small business. She became fairly successful. We had met a few times at family gatherings. Each time, she would greet me with a slightly condescending tone:
“Still living in that place?”

Long ago, she had visited me in my freezing studio apartment in Brooklyn with no heat. Maybe that image stuck with her. In her mind, I was probably still shivering there, wrapped in a blanket.

For many of us, life in America started as a life of struggle. When we left Korea, we did it with the hope of filling in the gaps in our lives—to live better. But some people, once they feel a little more stable, forget those hard times. Instead, they let out shallow, cheap feelings of superiority at every chance they get.

Thinking about it now, I realize that I, too, must have said or done things that left scars in others—things that came from my own small pride. Maybe the arrogance others show me now isn’t something I should be so angry about.
Maybe it’s just my turn.

Saturday, November 3, 2012

여자 넷이 모이면

60이 내일 모래인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그리고 서울 여자 넷이서 신이 났다웃음소리에 차가 휘청거렸다. 밥해 줘야 하는 남편들을 집에 두고 떠나는 23일이니 오죽하겠는가.

친구가 20년 전에 맨해튼에서 북쪽으로 두 시간 가는 코네티컷 강가에 사 놓은 집에 가서 놀기로 했다. 실내 수영장이 있어 수영복도 챙겼다. 한 달에 한 번 만나 이야기가 재미있어지려면 저녁때가 되어 남편들 챙기느라 헤어지곤 하는 사이다. 감질나는 만남에 아예 멍석 깔고 누워 못다 한 이야기를 하기로 작정하고 떠났다.

비가 부슬부슬 와도 우리는 즐거웠다. 휴게소에 들러 창밖을 내다보며 커피를 마셨다. 빗속에서 뒹구는 우리를 닮은 낙엽을 보며 잠깐 말 없이 조용하긴 했지만, 우리들의 이야기는 집에 도착할 때까지 그리고 커다란 식탁에 가져온 음식들을 올려놓고 먹으면서도 그칠 줄 몰랐다.

우리는 약속이라도 한 듯 네 명 모두 사이 좋게 한 명씩 돌아가며 이야기했다. 말과 행동이 느리다는 일반 상식과는 달리 충청도가 고향인 친구는 우리 중에서 행동이 제일 잽싸다. 항상 앞서 걷는 그녀가 우리의 대장이다.

부지런하고 붙임성있는 경상도 친구는 대장을 보조하며 우리의 만남을 편하게 해준다. 미국 산 지 30년이 지났건만 여전히 짙은 전라도 사투리를 쓰는 친구가 말할 때는 그 억양이 정겹고 재미있어 더욱 흥이 났다. 친구의 사투리는 우리를 마치 어린 시절 뛰놀던 고향 산천으로 되돌리는 듯하다.

우리는 자지러지며 웃기도 하고 심각한 이야기에는 놀라기도 하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떠들다 수영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수영할 생각은 않고 머리 넷을 맞대고 이야기는 이어졌고 덜덜 떨면서도 물속에서 나올 생각을 하지 않았다. 추운 물속에서 그리도 오래 수다를 떨 수 있다니!

와인을 곁들인 저녁상에서도 지칠 줄 모르고 떠들었다. 드디어는, 목에서 쇳소리가 났다. 넷 모두 쉰 허스키 소리를 내면서도 새벽 세시를 넘기고야 잠자리에 들었다.

우리의 수다는 시어머니와 남편 흉도 그리고 자식 자랑도 아니었다. 친구의 험담은 더더욱 아니었다.

근께 고거이 우리가 따따부따 징허게 해 싼 것이 나이 들어 어찌케혀면 욕보지 않고 옹삭하지 않게 니캉 내캉 건강하고 즐겁게 살 수 있을까 였당께. 그렇고럼혀서 씨잘데 없는 꺽정일랑 말고 심 닿는 데까정 살다 디질때는 거시기 허게 콱 디져부러야 헌다는 야기였지라잉.” 

내 혀는 친구의 짙은 전라도 사투리에 익숙해져 갔다.

Friday, November 2, 2012

When the four women get together

Four women, each from a different region of Korea—Gyeongsang-do, Jeolla-do, Chungcheong-do, and Seoul—were excited, laughing so loudly the car almost shook. No wonder—we were off on a 2-night, 3-day trip, leaving our husbands behind at home to cook for themselves.

One friend had bought a house 20 years ago near the Connecticut River, about two hours north of Manhattan. It had an indoor pool, so we even packed swimsuits. Normally, we meet once a month, but the conversations barely get going before we have to say goodbye and go home to take care of our husbands. This time, we decided to stretch out on the floor, let loose, and talk until we’d said it all.

Even though it was lightly raining, we were happy. We stopped at a rest area, sipped coffee while looking out the window, and for a moment we fell quiet, watching the autumn leaves tumble around in the rain—just like us, blown around by life. But our chatter picked right back up and didn’t stop until we got to the house, sat around a big table, and laid out all the food we’d brought to share.

As if we had rehearsed it, we each took turns talking—one at a time. Despite the stereotype that people from Chungcheong-do are slow, our friend from there is the fastest and most energetic of us all. She always walks ahead and is our unofficial leader.

Our friend from Gyeongsang-do is hardworking and outgoing. She supports the leader and makes our gatherings run smoothly. The friend from Jeolla-do still speaks with a strong regional accent, even after living in America for over 30 years. Her way of speaking is warm and fun—it made everything livelier. Her dialect reminded us of home, of our childhood days running around in the Korean countryside.

We laughed until we cried, were shocked by some of the more serious stories, and before we knew it, hours had passed. Then we moved to the swimming pool—not to swim, really, but to keep talking. With our heads close together, we kept chatting even as we shivered in the cold water. Amazing how long we could talk in there!

At dinner, with wine in hand, the stories continued. By the end, our voices were hoarse and raspy. Even so, we stayed up talking until 3 a.m., only going to bed when we couldn’t stay awake any longer.

Our conversations weren’t filled with complaints about mothers-in-law, gossip about husbands, or bragging about our kids. And we definitely didn’t talk badly about other friends.

Instead, the Jeolla-do friend said—in her thick accent that I was now getting used to:
“So basically, what we were talking about is how we’ve lived such busy lives, and now that we’re older, how can we live well—without being a burden, staying healthy, and enjoying what’s left of our lives together. So we said, enough with all the nonsense. Let’s just live true to our hearts, and when it’s time to go, let’s go quick and clean, no regrets. That’s all we were saying, you know?”

Saturday, October 27, 2012

‘NO’를 잘하는 사람

"언니 저 뉴욕에 가는 데요. 만나고 싶어서 전화했어요." 
전화 녹음기에 남겨진 친구도 아닌 친구 동생, 기억에도 없는 목소리였다.

오래전 볼일 보고 다 저녁에 집에 왔다. 어둠 속에서 친구 여동생이 커다란 여행 가방을 우리 집 문 앞에 놓고 기다리고 있었다. 따라 들어온 그녀는 와인 두 병을 식탁 위에 턱 하니 놓고는 어색한 분위기를 무마하려는 듯 마셔댔다. 그리고는 열흘 정도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떠났다또 우리 집에 머물겠다고 전화를 한 것은 아니겠지? ‘나보고 어쩌라고.’

본인은 여행으로 흥분된 상태인지 모르지만 녹음을 듣는 나는 기분이 썩 좋지 않다. 나도 온종일 이리 뛰고 저리 뛰어야 하는 바쁜 생활이 있다. 그리고 그동안 방문했던 사람들의 좋지 않은 기억들도 있다. 하노라고 해도 아마 슬금슬금 나도 모르게 배어 들어간 미국식이 그들을 불편하게 해서인지 재워줘도 돌아오는 소리는 섭섭하다.’였다.

대부분 방문자들은 한 푼이라도 호텔비를 아껴 명품을 하나라도 더 사 가려는 대단한 의지가 있다. 잠자리를 제공해준 사람의 개인적 프라이버시는 무시한 채 본인의 여행목적에만 투철했다. 그들이 생각하기엔 고까짓 것 가지고 그런다는 둥, 내가 오면 몇 번이나 뉴욕에 온다고, 한국 사람들끼리 매정하다는 둥, 미국 놈 다 됐다는 둥, 그렇게 사는 것이 아니라는 등등을 열거하며 섭섭해한다. 재워 줘도, 재워 주지 않아도 섭섭하기는 매일반이다. 집에 재워졌다 가 남편 뺏긴 여자도 있다는 데는 뭔 더 긴 이야기가 필요할까.

여행 떠나기 전에 전화로 은근슬쩍 잠자리를 알아보려고 연락하지 말고 
"여기 호텔인데 시간 있으면 차나 한잔하지." 
호텔 로비에서 세련되고 우아하게 전화하는 방문자는 정녕 없단 말인가! 10년에 한 명꼴로 30여 년 이상 살면서 아마 세 사람 정도였을까? 먼 여행길에 잠자리가 가장 편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이 선진국이라며.

"친구 동생아, 너 우리 집에 머무르려고 전화한 것은 아니겠지?’ 너도 이젠 나이가 들 만큼 들고 잘 먹고 잘산다니 호텔에 편하게 있다가 가기를 바란다."

재워주는 것만은 무조건 ‘NO’. 한때는 NO를 하지 않아 힘들었다. 또 한때는 NO를 불분명하게 해서 괴로웠다. 언제부터인가 나는 NO를 잘하는 사람이 되기로 했다. 처음이 어렵지 NO를 잘하자 문제 발생률이 줄었다. 그런데 마음이 왜 이리 찜찜할까?

Friday, October 26, 2012

A person who is good at NO

"Hi, I’m going to New York. I called because I wanted to see you."
That was a voicemail—not from a friend, but from a friend’s younger sister. A voice I didn’t even recognize.

A long time ago, I came home one evening after running errands. In the dark, that same younger sister was standing at my door with a huge suitcase. She followed me inside, put two bottles of wine on the table, and started drinking, maybe to ease the awkwardness. Then she stayed at my place for about ten days and left. Now, is she calling again to stay at my house? What does she expect me to do?

Maybe she feels excited about her trip, but I didn’t feel so great listening to that message. I have a busy life too—running around all day. And honestly, I’ve had some unpleasant experiences with guests in the past. No matter how much I tried to be kind, something about the way I live—maybe the little American habits I’ve picked up—must have made them uncomfortable. Even when I let them stay, they left saying they felt “disappointed.”

Most visitors seem determined to save money on hotels just to buy one more luxury item.
They come with no regard for the host’s personal space. They only focus on their own trip goals.
They say things like:
“Why are you making a big deal out of this?”
“I only come to New York once in a while.”
“Koreans shouldn't treat each other like this.”
“You’ve become too American.”
“This isn’t how people should live.”

Whether I let them stay or not, the result is the same—they always leave feeling “disappointed.”
I even heard a story of a woman who let a guest stay and ended up losing her husband. What more needs to be said?

Why can’t anyone just call and say,
“I’m staying at a hotel. If you’re free, let’s meet for coffee.”
Why can’t they be polite and classy, like someone calling from a hotel lobby? 
In over 30 years of living in the U.S., maybe three people have ever done that—about once every 10 years. Isn’t Korea supposed to be a developed country now? And still, people don’t think their sleeping arrangements matter much, even when they’re on a long trip.

Dear friend’s sister, You didn’t call because you want to stay at my house again… right?
You’re grown now, doing well, eating well. I hope you just stay comfortably at a hotel this time.

Let me be clear: letting people stay at my place is now a firm “No.” There was a time I struggled because I didn’t say no. Then there was a time I was vague about it—and that hurt even more.
Eventually, I decided to become someone who’s good at saying no
The first time is the hardest. But once I got better at saying it, problems started to go away. Still… why does it feel so uncomfortable in my heart?

Saturday, October 20, 2012

해피밀

성당 종소리가 아홉 번 울렸다. 지붕에 앉아 아침 햇살을 즐기던 비둘기들이 요란스럽게 회색 하늘로 날아오른다. 흐트러져 날아오른 비둘기들은 어느새 정확한 간격으로 질서 정연하게 또 다른 지붕을 찾아 날아간다.

동네 성당 앞에서 성호를 그으며 지나는 사람들을 보고 자란 우리 아이는 어릴 때 성당 옆 맥도날드 앞을 지날 때마다 성호를 그었다. 그리고는 간절한 눈으로 나를 쳐다보곤 했다. 해피밀을 먹게 해달라고.

아이는 엄마가 햄버거 사줄 돈이 없다는 것을 알았을까? 조르지는 못하고 성호를 서너 번씩 긋기만 했었는데. 하느님에게 엄마 아빠가 돈 많이 벌어 해피밀을 많이 먹을 수 있게 해 달라고 빌었던 것은 아닐까?

어른이 된 아이는 아무리 허기져도 맥도날드에서는 먹지 않는다. 가끔 비싼 레스토랑 앞에 서서 메뉴판을 들여다보는 아이의 뒷모습이 심각하다. 성호를 긋고 있는 것은 아닐지?

아이가 간절히 해피밀을 위해 기도 할 때 나도 정한수 떠 놓고 비는 심정이었다. 옛 아낙네들이 오직 복을 달라고 빌기만 했을까. 비는 정성만큼 자식을 키웠겠고 남편을 뒷바라지하지 않았을까.

오래전 멕시코 시내를 관광하다 오래된 낡은 교회에 들어갔다. 남루한 차림의 여인이 아무도 없는 복도 벽에 있는 성상 난간을 부여잡고 어깨를 들썩거리며 흐느꼈다. 이 여인의 간절한 모습에서 정한수 떠 놓고 비는 우리 어머니, 할머니의 모습을 봤다.

북적거리는 맨해튼을 거닐다 성당에 들어가 뒷좌석에 앉아 기도한다. 고요하게 착 가라앉은 어둠 속의 깊은 적막감이 나를 편안하게 한다. 기도 하는 사람들의 뒷모습을 보며 그들의 간절함이 나의 간절함이 되어 나도 모르게 경건해진다.

종로 근처 사찰 대웅전에 앉아 불공드리는 아낙네들의 뒷모습을 보면서도 기도한다. 실내의 어둡고 밝기의 차이 동양인이냐? 서양인이냐의 차이뿐이지 경건함은 성당이나 사찰이나 똑같다. 나는 그들의 간절한 기도가 모두 이루어지기를 기도 하고 싶은 심정이 되어 앉아 있다 나온다.

하던 설거지를 멈추고 창가의 푸른 잎 사이로 삐죽이 솟아오른 선홍색 제라늄을 보며 감사의 기도 한다. 아침에 눈을 떠도 하고 잠들기 전에도 한다. 눈에 보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마다 모든 것이 감사할 뿐이다.

나는 종교인이 아니다. 그러나 아이에게 해피밀을 사줄 수 없던 처지에서 비싼 레스토랑에서도 사 줄 수 있는 처지까지 왔다는 것이 오직 나의 노력만은 아닐진대 어찌 감사하지 않겠는가! 그 어떤 나도 모르는 보살핌이 분명히 있었다는 생각이 나를 끊임 없이 감사의 기도를 하게 한다. 감사합니다.

Friday, October 19, 2012

Happy Meal

The church bell rang nine times. Pigeons basking in the morning sunlight on the rooftop flapped noisily into the gray sky. Though they scattered at first, they soon flew in perfect formation, gliding toward another rooftop with orderly grace.

My child, who grew up watching people make the sign of the cross in front of the neighborhood church, used to do the same every time we passed the McDonald’s next to the church. Then, they would look up at me with pleading eyes—asking for a Happy Meal. Did my child know I couldn’t afford a hamburger? They never begged, just made the sign of the cross two or three times. Were they praying to God, asking for their mom and dad to make enough money so they could eat a Happy Meal?

Now grown up, my child never eats at McDonald’s, no matter how hungry.
Sometimes I see them standing in front of an expensive restaurant, studying the menu with a serious look. And I wonder—are they making the sign of the cross again?

Back then, when my child prayed so earnestly for a Happy Meal, I, too, prayed just as earnestly—like old mothers who used to place a bowl of water out and pray with all their heart. Didn’t those women raise their children and care for their husbands with the same devotion they put into their prayers?

Years ago, while touring Mexico City, I stepped into an old, worn-out church. There, I saw a poorly dressed woman in an empty hallway, holding onto the railing beneath a statue and sobbing quietly, her shoulders shaking. In her desperate prayer, I saw the image of my mother and grandmother, praying over bowls of water in our home.

When I walk through busy Manhattan, I sometimes step into a church and sit quietly in the back to pray. The deep stillness and gentle darkness bring me peace. As I watch the backs of those praying, their earnestness becomes my own—and I find myself becoming reverent without even realizing it. I also pray when I sit in a Buddhist temple near Jongno, watching the women offering their prayers. The setting may be different—dim lighting, cultural contrasts—but the sincerity is the same. Whether in a church or a temple, the earnestness feels no different. And as I sit there, I find myself quietly hoping that all their prayers come true.

Sometimes, I pause in the middle of doing the dishes to offer a prayer of thanks, looking at the bright red geranium blooming through the green leaves outside the window. I pray in the morning when I open my eyes, and at night before I go to sleep. Everything I see, hear, feel, and think fills me with gratitude.

I am not a religious person. But how could I not feel thankful, having come from a time when I couldn’t buy my child a Happy Meal to now being able to treat them to a meal at a fine restaurant? It wasn’t only my own effort that brought me here. There must have been some unknown grace or care watching over me—and this belief keeps me offering quiet prayers of gratitude.

Thank you.

Saturday, October 13, 2012

그 여자

어두운 표정으로 검은 옷을 입은 사람들이 한 명씩 장례식장으로 들어오고 있다. 내가 찾는 여자도 나처럼 맨 뒷줄에 앉아 형님의 죽음을 확인하고는 서둘러 일어날 것이다. 나는 맨 뒷좌석에 앉아 수상한 행동을 하는 여자를 포착하기 위해 두리번거렸다.

이리저리 살펴보지만 누가 누구인지 모르겠다. 단지 돈 꿔 간 사람이 여자라는 것만을 그리고 죽음을 확인하러 꼭 나타날 것이라는 직감뿐이다. 짐작 가는 사람이 있다고 한들 어쩔 것인가. 증거가 될만한 종잇조각 하나 없는데.

형님은 젊은 이에 세상을 떠났다. 알고 지내던 여자에게 적지 않은 돈을 빌려 줬다가 받지 못하자 신경을 곤두세우고 돈을 받으러 다녔다. 그리고는 내출혈로 쓰러졌다. 시아주버니조차도 누구에게 얼마의 돈을 꿔 줬지 모른다.  

칠십 년대 초, 천국이라도 가는 듯 희망에 부푼 형님은 재미교포인 아주버니와 결혼해서 미국에 왔다. 그 당시, 교포와 결혼해서 미국에 오는 여자들은 일단은 외모가 받쳐줘야 했다. 그래야 교포입네 하고 남자들이 한국에 나가 예쁜 색시들을 데려오곤 했던 시절이었다.

시어머니 왈 신붓감이 예쁘다고들 이구동성이었다고 한다. 인물만 좋은 것이 아니라 성격도 상냥하고 음식솜씨 또한 좋았다.

형님은 항상 화려한 차림으로 선글라스에 음악 볼륨을 높이고 드라이브하기를 좋아했. 그래야 미국에 실감이 난다나. 손이 큰 형님은 주말엔 빠짐없이 마켓에 들러 고기를 잔뜩 사다 바비큐를 즐겼다. 고기 먹는 맛이 미국 사는 재미 중의 또 다른 하나라며.

꿈의 나라 미국에서 남 부럽지 않게 떵떵거리며 잘 살 살아보겠다고 형님은 돈도 열심히 벌었고 모았다. 돈이 있다는 것을 안 주위 사람의 감언이설에 속아 이자 받는 즐거움에 돈을 꿔줬다. 부자지간에도 돈 이야기는 하지 않는 미국에서 이런 황당한 일을 당한 것이다. 모국식과 미국식이 뒤엉킨 1세 중심의 사적 금전거래로 교민사회에서 종종 벌어지는 혼탁함에 말려들어 간 것이다.

엄마를 잃은 어린 아들이 그녀의 영정 사진을 가슴에 안고 울면서 걸어 나왔다. 손에 물 한번 묻히지 않고 남 보란 듯이 키우겠다던 아이는 통곡을 했다. 형님을 순식간에 잃은 가까운 일가친척들은 망연자실했다.

뒷간에 들어갈 때와 나올 때가 다르다고, 빌려 갈 때는 구걸하듯 빌려 가서 빌려 간 후에는 큰소리치며 갚지 않은 그 여자, 결국엔 한 사람을 죽음으로 몰고 간 그 여자는 지금쯤 두 다리 죽~ 펴고 편안히 살고 있을까? 아닐까? 아니길 진심으로 바란다.

Friday, October 12, 2012

The woman who borrowed money

People dressed in black with somber expressions were entering the funeral hall one by one.
The woman I was looking for would be sitting in the back row, just like me. After confirming my brother’s death, she would quietly get up and leave. I sat in the last row, scanning the room, watching for a woman acting suspiciously. 
I looked around, but I couldn’t tell who was who. All I knew was that the person who borrowed money from my brother was a woman—and I had a strong feeling she would show up to make sure he was really gone. But even if I suspected someone, what could I do? There wasn’t a single scrap of paper to prove anything.

My sister-in-law died young. She had lent a large sum of money to a woman she knew, and when she didn’t pay her back, she became stressed and anxious, chasing her down for the money. Eventually, she collapsed from a brain hemorrhage. Even her own husband didn’t know who the woman was or how much money she had lent her.

In the early 1970s, full of hope as if heading to heaven, my sister-in-law came to America after marrying a Korean-American man. Back then, women who married Koreans living abroad and moved to the U.S. usually had to be attractive. It was common for Korean-American men to return to Korea and bring back beautiful brides. My mother-in-law used to say everyone agreed she was a beautiful bride. She wasn’t just pretty—she was kind and had great cooking skills, too.

She always dressed stylishly, wore sunglasses, and liked to drive with loud music. She said it made her feel like she was really living in America. She was generous, and every weekend she’d go to the market, buy lots of meat, and host BBQs. She used to say that eating meat like that was one of the joys of living in the U.S.

In this land of dreams, she worked hard and saved money, determined to live well and be successful. But once people around her found out she had money, they sweet-talked her into lending it out—promising interest in return. She fell for it. In America, where even family members are careful about discussing money, this kind of thing is almost unthinkable. She got caught up in a messy, private financial deal—a mix of Korean and American ways—that often happens in immigrant communities.

Her young son, now motherless, came out of the funeral hall holding her framed photo and crying. Her daughter, whom she once proudly said would never have to touch a drop of water while growing up, wailed in grief. Her sudden death left close family and relatives in complete shock.

As the saying goes, people act one way when they’re asking for help and another once they’ve gotten what they want. The woman who once begged for money, but then refused to repay it—raising her voice, ignoring responsibility— That woman who ultimately drove my sister-in-law to her death...

Is she now living comfortably, stretching out her legs without a care in the world? Maybe. Maybe not. But I truly, sincerely hope not.

Saturday, October 6, 2012

사자와 하이에나

 어머! 헤어스타일이 완전 나이 든 사자처럼 근사하네요.” 
오랜만에 서울서 만난 친구가 긴 곱슬머리에 반백이 된 남편에게 한마디 하며 나에게 눈을 찡긋했다
그러면, 나는 뭐 주변서 눈치 보며 어슬렁거리는 하이에나냐? 

남편이 좋아하는 나무토막처럼 냉동된 가자미 두 마리에 파와 간장을 넣고 지졌다. 입맛을 다시며 젓가락을 들고 기다리는 남편 앞에 지글거리는 프라이팬 뚜껑을 열었다. 김이 뽀얗게 오르는 가자미가 먹음직스럽다. 남편의 눈은 획득한 먹이를 만난 듯 빛이 났다. 잽싼 젓가락질로 가자미는 삽시간에 뼈만 앙상히 드러났다. 난 한점의 살점도 건드려 보지 못하고 아쉬운 듯 뼈에 붙은 부스러기를 찾아 뒤적였다. 우리의 결혼생활은 이렇게 먹이를 놓고 먹어치우고, 먹지 못해 섭섭해하며 시작했다.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모처럼 모국 방문길에 이리저리 핑계를 대며 마뜩잖은 표정의 남편을 구슬려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다. 결과, 결혼생활 28년에 내가 얻은 것은 단백질 부족, 남편은 체중 과다.

요즈음 나는 남편 앞에 가자미를 올려놓기가 무섭게 젓가락을 들고 내 몫을 차지하며 한마디 내뱉는다
나 단백질 부족인 거 알지.” 
남편은 아쉬운 듯 커다란 살점을 슬그머니 내 쪽으로 밀어준다.

남편이 앞장서서 걸어갔다. 짧은 다리를 부지런히 움직여 따라가 잡고 나면 또다시 뒤로 처졌다. 남편은 나와 사는 동안 함께 걷지도, 앞서 가다 기다리지도 않을뿐더러 아예 가버린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숲 속에서 먹이를 포착하고 달려가듯 빠른 걸음으로 사라졌다. 나는 애타게 남편을 찾아 헤매다 지쳐 돌아오면 남편은 대자로 누워 자고 있었다. 아마 쫓아오다 사라져주길 원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렇게 내 시야에서 벗어나려고 바삐 걸었던 것일까?

그런 남편이 나이가 들자, 빨리 오라고 손짓도 하고 길모퉁이에서는 기다려도 준다. 나는 평생 앞서 가는 남편을 놓치지 않으려고 열심히 따라가며 남편의 얄미운 뒷모습에 익숙해졌는데.

입에 맞는 음식을 먹을 때 말 거는 것도, 젓가락을 들이대는 것도 싫어하는 남편이 내 앞에 없다면, 나는 어떤 모습으로 혼자서 밥을 먹을까? 남편의 미운 등을 보며 걸을 수 없는 날이 온다며 난 뭘 보고 걸어야 할까?

앞서 가는 남편의 등을 보며 건강한 다리로 뒤처져서라도 따라갈 수 있는 것에 감사한다. 그리고 잘 따라오고 있나 되돌아보는 남편이 고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