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August 25, 2018

걱정도 아닌 걱정

밤마다 불면증에 시달리는 불쌍한 시어머니, 50여 년을 시할머니 모시고 사느라 고생이 많으셨다.

신랑 구두 닦지 안씀메?” 
조용한 뒤뜰 야자수 밑에서 커피를 마시고 있는 나에게 다가와 시할머니가 못마땅하다고 힐난하셨. 차를 고 외출하려고 부산떨고 있었다
봅세, 닦지 않고 뭐함메? 서울 간나들은 게을러서리.” 
LA 시댁에 결혼 준비하러 가서 정신없이 바쁜 손자며느리가 될 나에게도 정도였으니. 시어머니에게는 오죽하셨을까?

김일성이 죽은 해가 1994년이다. 김일성만 죽으면 통일되는 줄 알았다. 어린 시절부터 입에서 맴돌던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 염원이었기 때문이다. 같은 해 시할머니도 돌아가셨다.

시할머니의 그늘에서 벗어난 시어머니가 편안한 노후를 보낼 것이라는 기대는 빗나갔다. 시어머니는 외출했다가도 해가 까물까물 어슴푸레 지면 돌아가신 시할머니가 집에서 기다리는 듯 집에 가야 한다며 성화시다. 지기 전까지 집에 돌아오지 않으면 시할머니에게 평생 혼이 났기 때문이다. 저승에서 시집살이시키려고 시할머니가 어마이, 어마이,’하고 부르시는지 끄떡하면 저세상으로 빨리 가겠다고 보채.

함경도에서 피난 내려와 서울 남산 아래 해방촌에 사셨다. 남산 꼭대기에 미군 쌕쌕이를 잡는다고 설치한 인민군 대공 포대를 미군 전투기가 고공에서 폭격해댔다. 서울이 점령당한 그해 여름, 온통 주변이 아비규환이었다. 시어머니는 바로 집 앞에서 폭격 맞아 푸득 푸득 튀며 피를 내뿜는 절단된 몸으로 물 달라고 울부짖으며 죽어가던 이웃을 목격하셨다. 물 길으러 문밖으로 나서는 순간, 민간복을 좀 달라고 울며불며 통사정하는 사이 인민군 따발총에 눈앞에서 쓰러져간 패잔병 국군 모습이 평생 기억 속에 각인되었다.

두려움에 옆집으로 위안 삼아 마실가기 위해 집을 나서는 순간 집은 직격탄을 맞았다. 돌아와 가재도구를 수습하는 동안 시할머니가 천정에 감춰두었던 남북한 종이돈은 완전히 부스러기가 되었다. 그것을 대바구니에 담아놓고 몇 장은 풀에 붙여 쓰다 지쳐서 쓸어 담아 쓰레기통에다 버렸단다. 그런 처절한 기억들이 빛바랜 흑백 사진처럼 머리 하얀 시어머니의 뇌리를 맴돌고 있는 것일까?

시할머니 장례식에서 가장 서럽게 흐느끼며 우시던 시어머니 뒷모습을 보면서 기분이 묘했다. 시어머니는 자신의 희로애락 대부분이 시할머니의 잔소리를 통해서 느껴서였기 때문일까? 그런데 그 대상이 사라졌기 때문에?

사람도 만나지 않고 거의 혼족(혼자서 즐기는 인간)으로 지내는 나의 걱정도 아닌 걱정거리는 과연 무엇일까? 창밖을 멍청히 내다본다.

What is my worry?

My poor mother-in-law, who suffers from insomnia every night, has had a hard time living with my grandmother-in-law for 50 years.

"Don’t shine your husband shoes?" came up to me who drinking coffee under a quiet backyard palm tree. The grandmother-in-law also said, when I was trembling to go out in the car. "Come on, do not wipe the car?”

I went to my in-law house in L.A. to prepare for the wedding. The Grandmother-in-law kept nagging a busy grandchild-in-law.  So how much did she scold her daughter-in-law?

The year of Il Sung Kim’s death was 1994. I knew that if Il Sung Kim dies, it would be unified. It is because the desire of "unification" which was circulating in the mouth since childhood. The same year my grandmother died.

The expectation that my mother-in-law would spend comfortable old age away from the shadows of the grandmother-in-law went wrong. The mother-in-law goes out and says that she should go home as if the grandmother-in-law is waiting at home at dusk. If she didn’t return home until sunset, she punished for her life. I wonder if the grandmother-in-law is calling her, she wants to go to the afterlife as soon as possible.  

She escaped from Hamkyung-do, North Korea and lived in Habangchone under Namsan in Seoul. US Army fighter jets bombed the People's Army Base, which was installed at the top of Mt. Namsan to catch US Army fighter jets. When People’s Army occupied Seoul, the surrounding area was all about hell. The mother-in-law was bombarded right in front of the house and witnessed her neighbor dying from the blood of a broken body, crying for water. The moment she stepped out of the door to draw water, the figure of the army soldier who fell down in front of the people's army guns while being crying for the civilian clothes was stamped on her memory for life.

As soon as she left home to go to next door to comfort from fear, the house was hit by a direct. While returning home, the paper money that the grandmother-in-law kept in the ceiling was completely crumbled. She put it in the basket and attached a few pieces, and got tired and threw it away. Are these pitiful memories circling the minds of the mother-in-law like a faded black-and-white photograph?

I felt strange to see the mother-in-law sobbing at the funeral of the grandmother-in-law. Is it because most of the mother-in-law's feelings were through the grandmother-in-law's nagging? And it is because the object has disappeared?

What is my worry about staying alone almost without meeting people? I stare vacantly out of the window.

Saturday, August 11, 2018

선인장을 닮은

도시의 골목마다 솟아오른 건물에서 뿜어내는 매연에 찌들고, 도로 위를 끊임없이 질주하는 차들이 쏟아내는 소음에 시달린다. 특히나 앰블란스의 악을 쓰는 듯한 사이렌 소리에 한밤중에 잠에서 깨어난다.  

어릴 적 그 날도 한밤중이었다. 잠결에 뭔가가 가까이 오는 느낌이 들었다. 눈을 뜨고 귀를 곤두세웠다. 누군가 대문을 통과해서 창문 가까이 오고 있었다. 이불 속을 빠져나와 발뒤꿈치를 들고 소리 죽여 창가로 다가갔다. 작고 마른 남자가 조심조심 현관으로 다가오고 있다. 왜 이 밤중에 까치발로 우리 집 문으로 다가오는 것일까? 좀도둑질하려고? ‘도둑이야~’ 소리치려다 멈췄다. 자세히 보니 낯익은 동네 아저씨다.

바보 같은 모양새로 문 가까이 살살 다가오는 그를 불에 덴 듯 화들짝 골려주고 싶었다. 옆에 있는 다듬잇방망이를 집어 들어 온 힘을 다해 캐비닛 문을 두들겼다. 고요한 적막 속에서 갑자기 찢어지듯 깨지는 소리에 질겁한 그는 혼비백산하여 줄행랑을 쳤다. 내가 지금껏 살면서 만들어 냈던 가장 크고 괴기한 소리가 아니었을까?

그 후로도 대낮, 길에서 도둑 아저씨와 가끔 마주쳤다. 혹시라도 눈치챘을까 봐 나는 먼 산을 보는척하며 부지런히 발길을 옮기다가 빠른 몸짓으로 골목 안으로 숨어들었다. 훔칠 것을 찾는지 주위를 살피며 두리번거리는 뒷모습은 초라하고 작았다. 그래서였을 까? 아무에게도 그 아저씨가 손버릇 고약한 좀도둑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나는 어릴 적부터 잠귀가 밝았다. 잠귀만 밝은 게 아니라 오감은 항상 긴장 상태로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조금만 추우면 춥다 더우면 덥다고 난리를 떨었다. 누가 쳐다만 봐도 쳐다본다고 난리, 누가 가까이 앉는 것도 눕는 것도 싫어했다. 오감을 오뚝 세우고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에 온갖 트집을 잡으며 엄마를 힘들게 했다. 오죽하면 친정엄마는 나에게 신경 죽이는 한약을 먹이려고 했을까?

나이든 지금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예전과는 다르다. 부모가 세상을 떠난 후 나의 오감 난리를 받아 줄 사람이 없다. 남편은 글쎄? 아니다. 힘겨운 결혼생활로 오감이 소금에 절인 오지지나 파김치처럼 짓눌려 쭈그러져 곤두세우기가 힘들어졌다고나 할까? 병 안에 오이지를 꽉 누르고 있는 둥근 차돌 닮은 남편에 눌려 예민한 감각이 조금은 밋밋하게 변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나마 아직은 나 자신을 오이지나 파김치보다는 선인장에 비유하고 싶다. 온몸에 가시를 뒤집어쓰고 빛을 향해 몸을 돌리며 창가 한 귀퉁이를 차지한 채 뭔가를 기다리는 선인장으로.

Cactus-like

Every alley in the city is polluted with smoke coming from tall buildings. The cars are constantly pounding on the road, suffering the noise they pour out. Especially I wake up in the middle of the night, in the siren sound of the ambulance.

It was midnight when I was a child. I felt something close to me. I opened my eyes and ears. Someone was coming near the door through the gate. I got out of a bed and killing the sound and I approached the window. A small, skinny man is approaching the front door with care. Why does he come to our door with tiptoe in the middle of the night? Try to steal? I tried to shout ‘thief!' But I stopped. On closer look, he is a familiar neighbor.

As he slowly approached the door with his stupid looks, I wanted to make him jump as if he were burnt. I grabbed a round fulling stick next to me and knocked on the cabinet door with all my strength. A sudden tear in the silence made him run away with his heart broken. Was not it the loudest and grotesque sound I've ever made?

Ever since, in the broad daylight, I have met the thief from time to time on the street. I thought he might have noticed, so I pretended to see the distant mountain and moved away diligently to hide into the alley with a quick gesture. He was looking around and looking for something to steal. His back looked so shabby and small. Was that why? I did not tell anyone that he was a thief.

I have been a light sleeper since I was a child. It was not only a light sleeper, but the five senses always reacted sensitively to what was happening around in tension. Even if it was a little cold or hot, I was frightened. Whoever looked at me, I was nervous. I did not like anyone sitting close to me or lying down, I made it difficult for my mother to find fault with all kinds of things the happening around me. Even my mother tried to feed me a nerve-killing herbal medicine to me?

The same is true of old age. But it is not what it used to be. There is no one who can accept my five senses panic after my parents have passed away. What about my husband? No. I wonder if it is hard to make a bristle because it is crushed like pickled cucumbers with a strange marriage. My sensitive sensation may have changed slightly due to pressure of my husband, who resembled a round stone pressing cucumbers tightly in a jar.

Still, I want to compare myself to a cactus rather than a pickled cucumber. As a cactus with thorns all over its body turning toward the light, occupying the window corner waiting for some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