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April 22, 2022

기다리면 생긴다

 인스턴트팟, 에어프라이어 그리고 로봇 청소기만 있으면 도우미 없이도 살 수 있단다. 

 나는 부엌에 주방용품과 양념통이 밖으로 나와 눈에 띄는 것을 싫어한다. 즐겨 마시던 커피를 끊어서 커피포트를 없앴다. 토스터와 밥통도 없다. 에어프라이어는 지인들이 하도 좋다고 해서 큰맘 먹고 세일할 때 샀다. 큰 것이 싫어서 작은 것을 샀더니 별로 쓸모가 없다. 

 “엄마, 인스턴트팟 알아요. 이사 가는 친구가 줬어요. 새것이에요. 엄마가 쓰세요” 

 살림살이가 나보다 더 많은 큰아이와 남편은 필요한 것이 있으면 일단 살 생각부터 한다. 반대로 작은 아이는 나를 닮아서 물건을 사지 않는다. 공짜로 생기면 쓰고 없으면 없는 대로 산다. 옷은 패션모델 사진 찍는 친구가 샘플을 받아와서 주면 입는다. 대학 기숙사에서 살다가 나올 때도 룸메이트가 팽개치고 간 쓸만한 물건들을 챙겨올 정도다. 

 “나이키(프렌치 불독 이름)와 산책 중 버려진 멀쩡한 이케아 가구를 주워 왔어요. 나이키가 어찌나 영리한지 괜찮은 물건을 보면 멈춰서 주어갈래? 라는 표정으로 쳐다봐요.” 
작은아이가 말했다. 나도 한마디 거들었다. 
“돈 냄새 맡는 훈련한 후 산책하면 돈 있는 곳으로 데려가지 않을까? 경찰의 마약 탐지견처럼” 
“그렇지 않아도 나이키가 돈 앞에 딱 멈춰 서서 두 번 주웠어요.” 

 커다란 인스턴트 팟이 부엌에 떡하니 한 자리 차지하고 있는 것이 영 마음에 걸리지만, 공짜로 생긴 것이니 용서했다. 사용 기능을 유튜브를 보고 익힌 후 이것저것 막 때려 넣고 볶고, 지지고 끓인다. 조용히 별로 냄새도 풍기지 않고 착하게 음식을 잘 만든다. 그전처럼 지저분해진 오븐을 닦지 않아도 된다. 

 일요일마다 가구들을 이리저리 밀며 구석구석 쓰레질하는 남편이 반색하며 말했다. 
“이여사, 이번 기회에 로봇 청소기도 하나 장만하지.” 
“왜 마당쇠 은퇴하려고? ‘좋은 습관 버리기는 쉽지만, 다시 길들이기는 어렵다.’는 빅토르 위고 명언 알아요? 청소기도 기다리면 생길 거야. 그때까지 하던 일 그냥 하시지요.” 

 이상하게도 원하는 것을 사지 않고 기다리면 언젠가는 생긴다. 아이 둘은 암벽 등반하다가 만난 컴퓨터 하나만 들고 세계를 돌아다니며 일하는 친구들이 많다. 그들이 떠날 때 홀가분하게 정리하면서 버리는 쓸만한 것을 챙겨온다. 큰아이는 아마존에서 사서 주고, 작은 아이는 얻어서 주고 두 효자가 애쓴다.

Wait for it to happen

 With an Instant pot, an air fryer, and a robot vacuum, can live without a helper. 

 I don't like the kitchenware and seasoning containers to show on the kitchen countertop. I stopped drinking my favorite coffee and got rid of the coffee pot. There are no toaster and rice cooker. My acquaintances told me that the air fryer was so good. I bought it when it was on sale. I bought a small one because I didn't like the big one, so it's not very useful. 

 “Mom, do you know the Instant pot. A friend who was moving gave it to me. It's almost new. Mom uses it.” 

 My eldest son and husband think about buying anything if they need it. On the contrary, my younger son and I don't buy things. If we get it for free, we use it and if we don't get it, we live without it. He wears the clothes when a friend who takes a photo of a fashion model receives a sample and gives it to him. Even when he left the university dormitory, he brought useful things that the roommates left behind. 

 “I went for a walk with Nike (the name of the French Bulldog), and I picked up abandoned IKEA furniture. Nike is so clever that when he sees a good thing, he stops and looks at me with the expression, 'Do you want to take it?' said the younger son. I helped out with a word. 
"If you take him a walk after training in smelling money, won't he take you to where money is? Like a police sniffer dog" 
“As a matter of fact, Nike stopped right in front of the money and picked it up twice.” 

 It bothers me that a large instant pot occupies a spot in the kitchen, but I forgave it because it was free. After watching YouTube and cooking the functions, I put this and that in, saute, stir-fry, and boil. It quietly makes delicious food without smelling too much. I don't have to clean the messy oven like before. 

 My husband, who was pushing the furniture around and cleaning every corner every Sunday, said with delight. 
"Mrs. Lee, take this opportunity to get a robot vacuum cleaner." 
"Why do you want to retire the Madangsoe? Do you know Victor Hugo's famous saying, 'It's easy to get rid of good habits, but it's hard to tame them again?' If I wait, I'll get a vacuum cleaner for free. Just do what you've been doing." 

 Strangely, if I wait without buying what I want, I get it for free someday. My two sons have many friends who work around the world with only one computer they met while climbing rocks. When the friends leave, the younger son brings useful things that they throw away while tidying up. The eldest son is bought from Amazon and given to me and the younger one gives me what he gets for nothing. The two filial sons struggle for me.

Friday, April 8, 2022

사백 번째 이야기

 이백 번째 이야기를 썼을 때까지만 해도 브루클린에 사는 생활고에 찌든 화가 부부의 애환을 썼다. 상처의 고름을 짜내듯 한자씩 뱉어냈다. 삼백 번째 이야기부터는 지난 과거의 어두운 삶에서 벗어나 서서히 평상심을 일궈가는 과정을 썼다. 

 2008년 6월부터 중앙일보 지면에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는 왜 그리 힘들게 살던 기억이 떠오르든지! 어느 순간부터는 고달팠던 삶의 기억이 그다지 떠오르지 않았다. 물론 이따금 뒤틀며 올라올 적도 있지만, 힘든 기억을 다 뱉어내고 나니 상처가 치유된 듯 더는 생각나지 않았나 보다. 

 글 쓰는 일은 내면을 열어젖혀 자신과 대면하고 치유하며 생각을 깨우치는 일이다. 내 안에 웅크리고 있는 응어리진 실타래를 끌어내어 풀고 어두운 과거를 청산해서인지 마음이 가벼워졌다. 더는 아파할 일이 없어져 서서히 변화가 일어났다. 아픔과 슬픔으로부터 해방되어 자유로워졌다. 

 남편의 시선도 달라졌다. “이 여사, 중앙일보에 글 쓴 지 몇 년 됐지?” “올 6월이 오면 벌써 14년이나 썼네?” “질기네. 글이 좋고 나쁨을 떠나 사백 개 글을 시간에 맞춰 보냈다는 것만도 대단해. 마누라에게 한번 걸리면 끝장나는 것은 예전부터 알고 있긴 했지만, 아무튼 질겨. 수없이 망할 듯 말 듯 하던 조선 518년의 끈질긴 전주 이씨 조상의 DNA를 받았기 때문일 거야” 

 “원래 내가 가늘고 길게 가는 것을 선호하잖아. 지면에 거창하게 많은 것을 쓰려고 하면 오래 쓸 수 없어. 맛있는 것 한꺼번에 다 먹지 않고 아껴 뒀다가 조금씩 먹듯이 쓰니까. 심오한 글은 쓸 줄도 모르고 그냥 내 주위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수다를 쓰니까 지금까지 버텼지. 

 예전엔 소재가 떠오르지 않아 신문사에 제때 글을 보내지 못하면 어떡하나 걱정했어. 지금은 그 걱정도 없어졌어. 산책하다가 문득 소재가 떠오르기도 하고, 친구와 수다 떨다가도, 자다가도 탁 떠올라. 가만히 기다리며 소재가 문뜩 떠오르는 순간을 놓치지 않고 잡으려고 조금만 신경 쓰면 되니까. 

 솔직히 독자들에게는 미안해. 타성에 빠진 내 글이 지루할 수도 있잖아. 어떻게 개인사를 그렇게 까발릴 수 있냐는 말까지 지인들에게 여러 번 들었지만, 뭐 그런 소리 좀 들으면 어때. 내가 골방에서 광장으로 나간 듯 변화하고 좋아지는데. 글 쓰는 일이 나에게는 좋거든. 인간은 무척이나 이기적인가 봐.” 

 지난 14년 동안 내가 글을 쓰지 않았다면 지금의 나의 모습은 어떨까? 이따금 궁금하다.

Four hundredth story

 Until I wrote the two hundredth story, I had written about the suffering from the hardships of life of the struggling artist couple living in Brooklyn. As if squeezing pus from the wound, I had been spit out one character at a time. From the 300th story, I wrote the process of gradually developing my normal self away from the dark life of the past. 

 When I started writing in the Korea Daily in June 2008, Why do I only remember the memories of living so suffering! After spitting out all the hard memories, the wound seems to have healed and I guess I didn't think of it anymore. 

 Writing is about opening up my inner self, facing myself, healing, and awakening my thoughts. Maybe it was because I pulled out the tangled thread that was curled up inside me, untied it, and cleared the dark past. There was no more pain, and the change took place gradually. I was freed from pain and sorrow. 

 My husband's perspective has also changed. "Mrs. Lee, how long have you been writing for the Korea Daily?" "It's already been 14 years." "You are so persistent. It's great that you write 400 articles on time,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good or bad. I've known for a long time that once I get caught by my wife, it's over. It must be because you received the DNA of the tenacious Jeonju Lee clan of the 518 years of the Joseon Dynasty.” 

 "Originally, I prefer to go thin and long. If I try to write grand stories, I can't write for long. I don't eat all the delicious things at once, I save them and write them as if I was eating them little by little. I don't know how to write anything profound. I have survived until now because I just kept writing small chats around me, so far. 

 In the past, I was worried that I couldn't write to the newspaper on time because I couldn't think of the subject. Now that worry is gone. While taking a walk, the subject suddenly comes to mind, even while chatting with a friend, or even while sleeping. All I need to do is pay a little attention to catch the moment when the subject comes to mind. 

 To be honest, I'm sorry for the readers. My writing, which has fallen into inertia, might be boring. I've heard so many times from my acquaintances that I've been told how can you reveal your private stories so much, but I don't mind. It changes and improves as if I went out of the small room to the square. Writing is good for me. I guess humans are very selfish." 

 If I hadn't written for the past 14 years, what would I be like today? Sometimes I wo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