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December 28, 2013

1차선, 2차선 아니면 지방도로로

세월이 갈수록 배달되는 연말 카드 수가 점점 줄어든다. 인터넷 탓일까? 창가에 놓고 밖을 내다 때마다 들여다본다. 보내는 카드 없이 받기만 하니 마음이 편치 않다.

연말이 다가오면 카드뿐만 아니라 친구 중 한두 명이 항상 잊지 않고 조심스럽게 교회 나갈 것을 권하며 종교 서적을 보내오기도 한다. “자기는 다 갖췄는데 하나님을 영접 못 해 안타까워.’ 구원받아야 천당 가지.” 
"교회 안 나가면 지옥 가요.’"
동네 아저씨가 말했던 것보다는 훨, 아주 훨씬 낫지만.

아주 오래전 그해의 마지막 날이었다. 대학 졸업 후 마땅한 직장을 구하지 못하고 방황하던 가장 친한 친구 둘과 만났다. 촛불 아래서 술잔을 부딪치며 각자 바람을 중얼거렸다.

한 친구가 먼저 입을 열었다
"그림 같은 집에 살며 드레스를 입고 우아하게 층계를 내려와 퇴근해 돌아오는 남편을 반기고 싶어."
그저 그런 할리우드 스타일의 영화장면 같은 이야기를 했다. 친구는 소원대로 저택에 신혼살림을 차렸다.

또 다른 친구는 
"프랑스 파리에 가서 그림 그리며 자유롭게 살고 싶어." 
전쟁의 상처가 아물지 않은 50년대 독일 유학을 다녀온 전혜린은 당시 먹물 먹은 여성들의 슬픈 우상이었다. 전혜린을 흠모했던 이 친구는 결국 파리로 유학 가서 네덜란드 남자와 결혼해 암스테르담에서 작업에 몰두하며 멋진 삶을 살고 있다.

글쎄 나는 두 친구보다는 남자들이 홱 가닥 뒈잡아지는 모양새가 아니라서 거창한 소원은 바라지 못하고 선생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외국에 나가서 공부도 작업도 계속하고 싶었지만, 한국을 떠나는 것이 꿈같던 시절이라 감히 입 밖으로 뱉지 못하고 간절히 바랬었는데, 선생을 하다 뉴욕까지 왔다.

"간절히 바라며 노력하면 적어도 비슷하게는 있다."
것을 살면서 여러 번 느꼈다. 우리 집의 딱히 정해진 가훈은 아니지만 진인사대천명’, 바라기만 해서는 안 되고 온 힘을 다한 다음 하늘에 맡겨야 한다는.

나이가 든 지금도 소원이 있다. 그것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기다리는 중이다. 만약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온 힘을 다하지 않아 하늘의 뜻이 미치지 못했음을 인정해야지 어떡하겠는가! 친정아버지 말대로 
"1차선이 아니면 2차선으로 그것도 아니라면 요즘 포장도 잘 돼 있는 지방도로로 가면 되는데 뭔 걱정이냐?"

뭉쳐진 솜사탕만 눈이 쏟아지다 작아지더니 이네 그쳤다
"내리는 눈송이처럼 각각 흩어져 바삐 살아가는 독자 여러분의 원하시는 일들이 새해에는 이루어지 바라며 추운 겨울 포근하게 보내세요."

Friday, December 27, 2013

First lane, second lane, or pave roads

As the years go by, I get fewer and fewer holiday cards. Is it because of the internet? I put the cards on my windowsill, and every time I look outside, I also glance at the cards. I feel uncomfortable receiving cards when I don’t send any myself.

Around the holidays, not only cards arrive—one or two friends always remember to send me religious books. They kindly suggest I go to church.One writes, “You have everything, but it’s sad that you haven’t accepted God. Only with salvation can you go to heaven.”
An old man says, “If you don’t go to church, you’ll go to hell.”
Well… that’s still much better than what the old man in my neighborhood used to say.

I remember one New Year’s Eve a long time ago.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I had no job and was feeling lost. I met with my two best friends. We sat under candlelight, clinked glasses, and quietly shared our wishes for the future. One friend spoke first:
“I want to live in a beautiful house, wear a dress, and gracefully walk down the stairs to welcome my husband home from work.”
It sounded like a Hollywood movie scene. And her wish came true—she began her married life in a mansion.
The second friend said,
“I want to live freely in Paris and paint.”
At that time, many educated women admired Jeon Hye-rin, who had studied in Germany after the Korean War. That friend loved her deeply and finally went to study in Paris. She married a Dutch man and now lives in Amsterdam, happily working on her art.

Compared to them, my dream felt small. I said, “I just want to become a teacher.” I also wanted to study and work abroad, but back then, going overseas felt like an impossible dream. I didn’t dare say it out loud—but I wanted it badly. In the end, I became a teacher and even came to New York.

I’ve learned this truth many times in life:
“If you truly want something and try hard, you can at least get close to it.”
It’s not an official family motto, but in my heart, I live by “Do your best, then leave the rest to heaven.” Wishing alone is not enough—you must give it your all, and then trust the outcome. Even now, as I grow older, I have wishes. I am doing my best and patiently waiting. If my wish doesn’t come true, maybe it’s because I didn’t try hard enough—then I must accept it. As my father used to say,
“If the first lane doesn’t work, try the second. If not, take a nice country road. These days, even side roads are well-paved, so why worry?”

Outside, the snow fell like soft cotton candy. Then it got lighter and stopped. To all my readers, like snowflakes drifting in different directions, living busy lives—I hope all your wishes come true this New Year. Stay warm this winter!

Saturday, December 21, 2013

우울한 방문

"아버님이 당신에게 아파트 물려준다는 것을 확실하게 받아 공증해 놔야 해. 그렇지 않으면 돌아가시고 나서 복잡해 진단 말이야. 당신 할 수 있겠어? 오늘 해. 더 미루면 안 돼. 알았지." 

어느 여자가 남편에게 초조한 듯 간절한 목소리로 전화하는 소리가 병원 휴게실에 앉아 있는 나에게 선명하게 들렸다. 불안한 듯이 전화기를 만지작거리며 한동안 뭔가를 생각하던 여자는 확신에 찬 미소를 지으며 자리를 떴다.

아버지가 위급하다고 해서 서울에 나가 병원을 들락거렸다. 병간호인이 24시간 붙어 있어 굳이 할 일도 할 말도 없는 나는 주위 사람들 이야기에 귀가 솔깃했다. 모두가 금전 이야기이다. 그것도 내 소유가 아닌 것을 어떻게 하면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느냐였다.

돈은 은행하고만 이야기하는 뉴욕 생활에 익숙해진 나는 이런 음습한 수작을 들으며 숨죽여 긴장해야 했다. 병간호인도 그 틈을 타서 먹지도 움직이지도 못하는 환자임에도 돈을 주면 좋아한다고 은근히 효도 운운하면서 나를 꼬드겼다. 환자가 챙길 수 없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여유와 인심이 곳간에서 나오듯 항상 주저하지 않고 뒷주머니에서 꺼냈던 아버지의 두툼한 지갑과 통장의 행방은 어디로 갔는지…. 
"어딜 가느냐?"
검사받으러 이동할 때마다 혼자 버려지는 것은 아닌지 불안한 눈으로 사방을 휘둘러보곤 하셨다.

몸이 아픈 것보다 불안이 환자를 힘들게 했다. ‘그냥 목숨이 끊어질 때까지 재산을 가지고 있으면 불안하지 않을 텐데는 옛말로, ‘욕심 있는 자식이 누워있는 노인에게 강제로 자신에게 물려 주게끔 강요하는 것이 요즈음 한국의 대세란다.

저녁도 거르고 숙소로 돌아와 잠에 빠졌다. 불안해하는 아버지를 보고 침묵해야 하는 괴로움에 밥맛을 잃었다. 뱃속에서 나는 요란한 소리에 눈을 떴다. 뭔가 먹어야 한다. 허기진 배를 안고 숙소를 나와 신사동 가로수 길을 걸었다.

쇼윈도를 기웃거리는 젊은이들의 물결로 걷기조차 힘들었다. 옆길로 빠졌다. 술집이 끝없이 이어지고 철판 위에 갖다 쏟아놓은 듯한 지글거리는 붉은 음식을 놓고들 술 취해 제정신들이 아니다. 내가 들어갈 만한 곳이 없다. 모두가 젊고 싱싱한 젊은이들뿐이다.

길바닥 하수구 맨홀에서 올라오는 시쿰한 시궁창 냄새가 코를 찔렀다. 배고픔이 확 달아났다. , 돈 하는 이 어두운 터널을 지나 먼 곳으로 돌아가야 한다.

Friday, December 20, 2013

A gloomy visit

“You have to get your father to officially sign over the apartment to you. Get it notarized today. If he passes away, things will get very complicated. Can you do it? Do it today. Don’t delay. Okay?”
I heard a woman’s urgent voice clearly as she talked on the phone. I was sitting in a hospital lounge when she made the call to her husband. After fiddling with her phone and thinking for a moment, she stood up with a confident smile and walked away.

I had come to Seoul because my father was in critical condition. I visited the hospital every day. But since a nurse stayed with him 24 hours a day, there wasn’t much I could do or say. So I found myself listening to the people around me. Most of their conversations were about money—how to take something that doesn’t belong to them and make it theirs.

Living in New York, I was used to dealing with money only through the bank. Hearing these sneaky, greedy conversations made me feel tense and uneasy. Even the nurse tried to charm me. She said that my fother, though he couldn’t eat or move, still liked being treated well. She hinted I should give her money, calling it a “filial duty.” But my father wasn’t even able to know what was happening. Where did my father’s thick wallet and bankbook go? He had always been generous, giving without hesitation from his back pocket.

“Where are we going?”
Every time he was moved for a test, his eyes looked around nervously, afraid of being left alone. His illness was bad, but fear made it worse.
There’s an old saying: “If an elderly person keeps all their money until their last breath, they won’t be afraid.”
But now, children with greedy hearts pressure their sick parents to give them everything while still alive. That’s the sad reality in Korea these days.

I skipped dinner and went back to my lodging. I was so heartbroken from watching my worried father and not being able to speak up that I lost my appetite. I fell asleep. Later, my loud, growling stomach woke me up. I needed to eat. I walked out with an empty belly and headed toward Garosu-gil in Sinsa-dong. The streets were full of young people crowding around shop windows. I could barely walk. I turned onto a side street. Bars stretched on and on. On sizzling iron plates, spicy red food steamed and crackled. Drunk people were laughing and shouting.
There was no place for someone like me. The world belonged to the young and fresh.

Suddenly, the dirty smell of sewage from a manhole filled my nose. My hunger disappeared. I need to leave this dark tunnel full of people chasing money, and go far away.

Saturday, December 14, 2013

창가의 선인장

기대어 의지할 마음도 없이 가시로 온몸을 감싼 선인장은 외롭다. 단지 물을 기다리며 햇볕을 향한 몸놀림뿐이다.

누군가 이사하면서 내팽개쳐버린 잡동사니 속에서 새끼손가락만 선인장이 나를 빼꼼히 내다봤다. '제발 데려가 달라.'는 둣 쳐다보는 선인장을 그냥 지나쳤다가 다시 돌아갔다. 물기 빠져 푸석푸석한 선인장을 가져다 화실 창가에 놨다

공항 휴지통에 처박힌 꽃다발도 살릴만하다고 챙겨온다는 친구의 유능한 의사 남편이 생각난다. 사람이건 꽃이건 무조건 살려야 한다는 그의 마음 씀씀이가 경외롭다.

'너는 화초를 쳐다보기만 해도 죽인다.’며 탓하는 남편의 푸념이 떠올랐다. 그러나 쓰레기 더미에서도 살려고 애쓰는 선인장은 스스로 클 것이다.

집 앞마당에 주렁주렁 매달린 수세미 그늘에서 찍은 남편의 어린 시절 흑백사진이 정겹다. 남편은 시골 냄새가 진하게 밴 서울 변두리에서 자랐다. 널따란 집 앞 텃밭에 채소를 길러 먹고 꽃밭에서 뛰어놀며 메뚜기를 잡아먹었다니 농촌생활과 매한가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기억으로 대도시 뉴욕에 살면서도 화초에 대한 미련이 강하다. 인간성 또한 텃밭의 흙과 화초처럼 풋풋하다고 할까반면에 나는 땅을 밟아 본 기억도 없다. 성냥갑 같은 시멘트 공간에서 자라서인지 화초가 죽을 것이 염려되어 키울 생각을 아예 하지 않는다. 죽이느니 차라리 피하자는 식이다. 그나마 돌보지 않아도 죽지 않는 선인장이라면 몰라도.

창가 구석에 놓고 오랫동안 눈길 한번 주지 않았선인장이 엄지손가락 크기로 커져 나를 뚫어져라 쳐다보는 것이 아닌가!  인심이라도 쓰듯이 물을 줬다. 환해지며 생기가 돌았다. 아무도 돌봐 주지 않기에 스스로 자생하며 버티어오다가 갑자기 따스한 손길을 받으며 영양분이 가해지자 부쩍 크기 시작했다. 햇볕을 향해 돌아가는 몸놀림이 며칠만 소홀하면 구부러져 실로 벽에 묶어 놓았다혼자 있는 것이 안쓰러워 선인장 서너 개를 사다 친구를 만들어 . 틈틈이 음악을 틀어주며 물을 주고 싶어 안달이 났다. 급기야는 들여다보며 대화하듯 지껄이는 날이 잦아졌다.

나는 창밖을 내다보는, 온몸에 가시를 품고 빛을 향해 몸놀림 하며 물을 기다리는 선인장을 점점 닮아간다. 

Friday, December 13, 2013

Resembling a cactus

The cactus, covered in sharp spines with no one to lean on, stands alone. It waits only for water, slowly turning its body toward the sunlight.

One day, I saw a tiny cactus—no bigger than my pinky finger—peeking out from a pile of trash. Someone had thrown it away while moving.
It looked at me as if saying, “Please take me with you.”
At first, I walked past. Then I turned around and picked it up.
It was dry and rough, but I brought it home and placed it by the window in my studio.

I thought of a friend’s husband, a kind and skilled doctor. He once took a bouquet of flowers out of an airport trash bin, saying they were still worth saving. He believes every life—flower or human—is worth saving. I respect him deeply for that.

I also remembered my own husband saying,
I remembered my husband's grumbling, 
"You kill plants just by looking at them."
But I thought, Even this cactus, thrown away like trash, will find a way to survive on its own.

There’s a black-and-white photo of my husband as a child. He’s standing under the shade of sponge gourds hanging in the garden.
He grew up on the edge of Seoul, where it still felt like the countryside.
His family grew vegetables, played in flower beds, and even caught and ate grasshoppers. No wonder he still misses plants, even while living in a big city like New York. His heart is fresh and kind—just like the soil and flowers of his childhood.

But me? I don’t even remember touching real dirt. I grew up in cement apartment buildings. I never even tried to grow plants because I was afraid they would die. Better not try than kill something, I thought. Only a cactus, something that doesn’t need care, seemed okay.

I left the cactus alone for a long time by the window. One day, I noticed it had grown as big as my thumb. It was staring at me, as if trying to say something. I gave it some water, almost as an act of kindness. It brightened. It looked more alive. No one had cared for it, yet it had survived. Now, with just a little bit of love and water, it started growing faster. Its body turned to follow the sun, and when it bent too far, I tied it gently to the wall with string. Feeling sorry for it being alone, I bought more cacti—gave it some friends. I began playing music for them. I looked forward to watering them. Sometimes I even talked to them like they were people.

I realize now—I’m becoming more like that cactus. Covered in spines, looking out the window, waiting for water, slowly turning toward the light.

Saturday, December 7, 2013

생긴 대로 삽시다

형부 잘못했어요.” 
한마디에 집안 식구 모두 모여 무사히 추수감사절을 보낼 수 있었다.

지난 노동절, 언니와 여동생 부부가 우리 집에 모였다스칸디나비아와 영국 혈통인 동생 남편은 지성과 외모를 겸비했다. 그뿐만아니라 40살에 낳은 딸을 애지중지 본인이 키우다시피 하며 집안일도 거든다. 동생에게도 잘한다. 그러나 한국 남자 특히 나이 든 남자들은  떡하니 버티고 앉아 머슴 부리듯 와이프를 부려 먹는다.

자기 남편과는 다르게 언니들을 대하는, 특히 큰 형부 태도에 불만을 품고 있던 동생은 즐겁게 밥 먹다 술기운에 
"형부는 왜 언니를 그렇게 대우해요?"
한마디 했다. 내가 끼어들며 거들자 잠자는 불씨에 불이 붙기 시작하며 언니까지 끼어들었다. 가만히 듣고 있던 내 남편도 활활 타오르려는 불꽃에 
형님, 어쩌겠습니까? 세상이 이렇듯 변하니 우리도 거기에 맞추는 척이라도 해야지요.” 
형부는 당황했다. 모두의 언성이 높아졌다. 여동생 남편은 상황이 심각해지자 슬그머니 어디론가 고양이처럼 숨어버렸다.

동생은 남편이 얼마 벌고 얼마 가졌는지 모른다. 남편이 알아서 빌( Bill) 내고 동생이 일하면 생활비에 보태고 일하지 않을 때는 남편이 주는 돈으로 쓴다. 그렇다고 일하라고 강요하지도 않는다.

내 경우엔, 남편이 번 돈도 내가 관리한다. 하물며 길에서 주운 돈도 가져다준다. 남편은 대충 얼마 있는지는 알지만, 세세히는 모르고 체크 한 장 써 본 적 없다. 항상 본인이 부자라고 착각하며 산다. 나는 일하러 밖에 나가지는 않지만, 부엌일과 아이들 키우는 것은 내 차지다. 큰돈은 없어서 못 쓰고 푼돈이나 쓰면서 조금 있는 돈을 이리저리 메꾸느라 걱정한다.

그런데 언니 부부는 돈은 따로따로, 집안일과 돈 메꾸는 일은 언니가 도맡아 한다. 옆에서 보는 우리가 하도 딱해서 술김에 에라 모르겠다, 데모대가 길바닥에서 악을 쓰듯 
"언니는 억울하다."
찝쩍댔다. 형부의 화가 하와이 용암 끓듯 끓어 올랐다.

미국에 오래 살다 보니 각자 생긴 꼴대로 산다. 남의 일 참견하지 않는 것이 속 편하다. 그러나 아직도 남아있는 한국식 정서가 마치 한국 연속극 한 토막처럼 터져 나온 것이다.

요번 추수감사절은 동생이 초대하기로 했다. 그러나 화를 풀지 못한 형부가 오지 않겠다고 버티고 언니만 오겠다니! 내 남편이 나설 수밖에. 터키를 못 먹는 남편은 
형님 제가 직접 요리하는 왕새우 튀김에 해물 전골 그리고 사시미 어때요? 우리 집에서 한잔합시다.” 
언니가 가져온 샐러드와 백김치, 동생이 구운 사과와 호박파이에 우리는 모두 언제 싸웠냐는 듯 먹고 마시며 히히히.

Friday, December 6, 2013

Let's live as it is

“Brother-in-law, I’m sorry.”
That one sentence brought the whole family back together for a peaceful Thanksgiving.

It started on Labor Day. My older sister, my younger sister, and their husband came to our house. My younger sister’s husband is a mix of Scandinavian and British. He’s smart and handsome. He also helps take care of their daughter, whom they had when he was 40. He cooks, cleans, and treats my sister well. But many older Korean men are not like that. They sit around and expect their wives to serve them like maids.

While we were eating and drinking, my younger sister—who had always been upset about how her brother-in-laws (especially the oldest one) treated her sisters—suddenly said,
“Why do you treat my sister that way, Brother-in-law?”
She was tipsy and emotional.

I added my own thoughts, and things quickly got heated. My older sister joined in too. My husband, who had been listening quietly, saw the tension rising and said,
“Brother, what can we do? The world is changing. We should at least try to change with it.”
My brother-in-law looked shocked. Everyone was raising their voices.
My younger sister’s husband quietly disappeared like a cat.

My younger sister doesn’t know exactly how much money her husband earns or owns. He pays the bills. If she works, she adds to the household money. If she doesn’t, he gives her money, no questions asked. He never pressures her to work.

In my case, I manage all the money my husband earns. Even if he finds a dollar on the street, he brings it to me. He has a general idea of how much we have, but not the details. He’s never written a check. He lives thinking he’s rich. I don’t work outside the home, but I cook and take care of the kids. We don’t have a lot, so I worry about how to stretch every dollar.

But my older sister and her husband keep their money separate. Still, she does all the housework and fills in the financial gaps. We couldn’t stand it anymore. With the help of some drinks, we exploded like a protest on the street, shouting:
“It’s not fair to our sister!”
My brother-in-law’s anger boiled like a volcano in Hawaii.

Living in America for a long time, we each live our own way. It’s easier not to get involved in others’ lives. But sometimes, that Korean drama spirit still comes out.

This year, my younger sister offered to host Thanksgiving. But my brother-in-law was still upset and said he wouldn’t come. Only my sister would. So my husband had to step in. He doesn’t even eat turkey, but he said:
“Brother, how about I cook some fried king shrimp, seafood stew, and sashimi? Let’s have a drink at our place.”
My older sister brought salad and white kimchi. My younger sister brought baked apples and pumpkin pie.

And just like that—laughing and eating together—we forgot all about the fight.

Saturday, November 30, 2013

떠나가는 후배

노랗게 물든 나뭇잎이 다 떨어진 초겨울, 가장 아끼는 후배가 뉴욕생활을 청산하고 한국으로 간단다. 좋아하는 사람들이 낙엽 지듯 슬금슬금 떠난다. 나이 든 선배들은 이미 저세상으로, 후배들은 한국으로. 남편과 나만 남겨지는 것은 아닌지?

백 팩에서 주정뱅이 보따리처럼 막걸리와 안주들이 쏟아져 나왔다
"무겁지 않으면 더 사올 수 있는 긴데."
술이 들어가면 목청이 올라가며 속 시원히 할 말 다하고 선배인 우리 부부에게도 평소 불만을 안주 삼아 토해내는 후배다.

술이 약해졌나? 취했는지 경상도 사투리 억양이 점점 찐해졌다. 화장실 가는 줄 알았는데 긴 부스에 다리를 쑤셔 넣느라 낑낑거리며 간단다. 하기야 한소리하고 또 하는 선배와 술 마시는 것도 시들하겠지. 예전엔 술 마시다 한잠 자고 일어나도 새벽까지 술상을 지키고 앉아있더니만.

"전화해봐. 올 수 있는지?” 
남편과 술 마시다 흥이 나면 
, 와라. 우리 한잔하는데?” 
이미 술 취한 목소리로 
나도 지금 한잔하고 있어요.” 
작작 좀 마셔라.” 
선배님 싸랑해요.”

누구야~” 
대낮인데 자다 깬 목소리로 전화받는지 신소리로 대꾸한다
, 너 어제 또 펐구나? 아직 뻗어 자게?” 
그러고 보니 예술보다는 애술 빙자로 오랜 세월 함께 했다. 선배가 돼서 좋은 본보기도, 도와주지도 못하고 떠나보내는 것이 미안해 엉뚱한 곳만 쳐다보고 행설수설.

혼자 뉴욕에서 고생하며 사는 것이 안되어 외국인을 배필로 중매 서려고 했는데 '한식을 마음 편히 먹고 살아야 한다.’고 고집해서 그나마도 무산됐다. 그래, 한국이 잘 산다는데 가라. 가서 한식 실컷 먹고 좋은 작업 많이 하고 외롭지 않게 잘 살아라.

남편과 셋이서 어깨동무하고 이리저리 함께 흔들리며 지하철 정류장까지 걸었다
선배님 싸랑해요. 내가 좋아하는 것 알지요?” 
야 취했냐?” 
싸랑해요.” 
지하철 입구로 들어가는 등에 대고 
나도 너를..."

다 가고 우리 둘만 남는 거 아니야? 우리 동창 중에 제일 먼저 와서 끝까지 남아 뉴욕을 지키는 사람은 우리뿐인가 봐.” 
우리야 갈 곳도, 오라는 사람도 없어 어쩌다 남았지.” 
왜 하필이면 나뭇잎이 우수수 다 떨어진 이 스산한 초겨울에 가냐고 심란하게.”
"당신 건강히 오래 살아야 해. 내 술친구 해주려면. 자기가 나의 Best friend.” 
손을 슬그머니 잡았다. 잡은 손을 빼더니 대꾸도 하지 않고 저만치 간다.

민망한 손은 외투 주머니 깊이 숨어버리고 짧은 다리는 부지런히 움직인다.

Friday, November 29, 2013

A leaving junior

In early winter, when the yellowish leaves are gone, one of my favorite junior is leaving in New York and going to Korea. My favorite people slipped away like leaves. Older seniors were already gone to the other world. Younger seniors ones are in Korea. Isn't it left just my husband and me?

Makgeolli and Korean snacks poured out of the junior's bag-pack like a pack of drunkards. "I can buy more if it's not heavy." grumbled. When she got drunk, Her voice went up and says what she wanted to say. 

"Are you drunk already?" Her Gyeongsang-do dialect has become more and worse. I thought she was going to the bathroom, but she was struggling to squeeze her legs into a long booth. It was sad that she leaves early. She used to sit around the table drinking until dawn.

Whenever I had a drink with my husband, I called her. "Hey, why don't you come here? We're having a drink?" She also said in a drunken voice, "I'm having a drink, too." "Drink a little." "I love you, seniors."

"Who is it?" she answers with a groaning voice, "It's me. Did you drank again yesterday, didn't you? Are you still sleeping?" Come to think of it, we spent a lot of time together by drinking rather than art. I'm sorry I couldn't help you or set a good example.

I tried to match her a foreigner with a husband, but she insisted that she should live comfortably in Korean food, so I failed. Go. Go eat enough Korean food, do a lot of good work, and live a good life without being lonely.

My husband and three of us walked to the subway station, shoulder-to-shoulder and swaying together. "Seniors, you know I like you guys a lot." "Are you drunk?'' She was entering the subway entrance and I said to her back "Me too."

"Isn't it just the two of us left? I guess we're the first ones in our class to come all the way to New York. We don't have any place to go back. Why does she go to this dreary early winter when the leaves are all gone?" "You have to live a long, healthy life to be my drinking friend. You're my best friend."

I slipped hold his hand. He pulls out his hand and doesn't answer back. Embarrassed my hands hide deep in the pockets of my coats, and short legs move dilig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