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October 26, 2013

행콕은 이제 그만

차 문을 열자마자 스치는 찬바람에 옷깃을 여미며 강가로 내려가는 남편을 따라 나섰다

얕은 델라웨어 강 상류는 그야말로 명경지수다. 물속에서 바가지만 한 돌을 들추던 남편은 
"잡았다." 
굵직한 손가락 크기의 가제를 보여준다. 일급수에서만 산다는 가제다.

젊은 여자가 지나가다 
"하이, 이 동네 사람 아니지요?" 
물었다
"브루클린에서 왔는데요?" 
화들짝 놀라며 자기도 브루클린에서 왔다며 반가워했다. 그것도 같은 동네에서.
"작은 아파트에 세 들어 사는 것이 지쳐, 몇 년 전 이곳에 집을 사서 수리하러 주말마다 집 앞까지 연결된 기차를 타고 와요."
길에서 처음 만난 우리에게 자기 집을 보여줬다
"화가들이 서너 명 들어 오긴 했지만, 더 많은 사람이 몰려와 동네가 살아나길 바래요. 혹시 집 살 의향이 있으면 정보를 줄게요."
친절하게 e-메일을 보내왔다.

10여 년 전 늦여름, 델라웨어 강에서 카누를 타며 근처 숙소에 머물다 강의 시작은 과연 어디일까?’ 하는 호기심에 97번 도로를 따라 상류로 올라갔다. 저 멀리 산을 감싸고 낭떠러지 밑을 흐르던 강은 어느새 바로 옆을 스치듯 지나가다 다시 멀어졌다.

눈에 각인하고 싶을 만큼 아름다운 풍광에 정신 놓고 가다 멈춘 곳이 뉴욕 업스테이트 행콕(Hancock)이다. 산을 품은 강가 스산한 어둠이 깔린 로맨틱한 마을로 한때는, 블루스톤 (오래된 브루클린 인도에서 볼 수 있는 넓적한 판석)을 캐내어 번성했던 유서 깊은 곳이다. 그러나 지금은 대체 산업이 없는지 낙후된 모습으로 인적이 드물다. 뉴욕에서 3시간 넘게 가야 하는 곳이기도 하지만.

강을 사이에 두고 다리 건너편 펜실베이니아 쪽 숲은 드라이브하기에 오싹할 정도로 우거졌다. 97번 도로를 가다 행콕 가까이 골프장 옆길로 빠져들면 차 한 데 간신히 굴러갈 만한 비포장 오솔길이 있다. 그 길을 끝까지 가면 행콕 마을을 한 바퀴 돌아 다시 메인 스트릿으로 나온다. 한여름 울창한 숲 속 오솔길은 해를 볼 수 없을 정도로 진한 녹음 천지다. 요즘 같은 가을날은 사방천지가 만산홍엽으로 길옆 외롭게 흐르는 냇물이 우리를 기다릴듯한 연민에 찾아가곤 했다.

그렇게 헤매던 어느 날, 강으로 바로 연결된 집이 매물로 나왔다. 주인이 직접 판다는 집 앞 팻말에 적혀진 이름이 낯설지 않은 폴란드 이름이다. 아니나 다를까 옐로북을 뒤져보니 폴란드인이 많은 우리 동네에 사는 사람이 내놓은 집이었다
"어떻게 그곳 멀리까지 가서 자기 집을 찾아 전화했어요?
놀랬다. 행콕과의 만남은 이렇게 브루클린 그린포인트와 길고 가느다란 거미줄 같은 인연이기도 했다.

행콕은 예전보다 조금 나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보슬비 내리는 풍경 속의 쓸쓸하고 적막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처음 그곳에 갔던 날 브루클린 이웃에 산다며 반갑게 맞아줬던 그녀의 집은 때 묻은 붉은 벽돌을 간직한 채 여기저기 떼어낸 창문이 너부러져 있는 것이 아직도 수리가 진행 중이다.

바닥이 훤히 보이는 강물이 단풍든 붉은 산을 가득 담아 호수처럼 멈춘 듯 소리 없이 흘렀다. 단풍이 떨어지고 서리가 내리며 겨울이 오겠지. 하얀 눈 속에 묻힌 마을이 왜 그리 외롭고 차가운 모습으로 가슴에 새겨질까?
나 이제 더는 이곳에 안 올래. 너무 멀어.” 

Friday, October 25, 2013

No more Hancock

As soon as I opened the car door, a cold breeze brushed past me. I pulled my collar up and followed my husband down to the river. The upper Delaware River is so clear and shallow, it looks like a polished mirror. My husband lifted a rock about the size of a bowl from the water.
“Got it,”
he said, showing me a crayfish about the size of a thick finger—something that only lives in clean, first-class water.

A young woman walking by asked,
“Hi, you’re not from around here, are you?”
“We’re from Brooklyn,” we replied.

She lit up with surprise and joy—she was from the same neighborhood. She told us she got tired of renting a small apartment in the city, so she bought a house here a few years ago. On weekends, she takes the train straight to her front door to fix it up. She even showed us the house herself.
“A few artists have moved in, but I hope more people come so the town can come alive again. If you're ever interested in buying a place, I can send you some info.”
And she kindly emailed it to us later.

About ten years ago, in late summer, we stayed near the Delaware River and went canoeing. Curious to know where the river actually began, we followed Route 97 upstream. The river, which had been flowing far below cliffs and mountains, came close beside us, then drifted away again.

The scenery was so beautiful, I wanted to capture it in my memory forever. That’s how we ended up in Hancock, a small romantic town in upstate New York. Surrounded by mountains and river mist, Hancock once thrived from its bluestone industry—the same flat stone you see in old Brooklyn sidewalks. But now, with no replacement industry, it has become run-down and sparsely populated. It’s also over three hours from New York City.

Across the river, the Pennsylvania side was so densely wooded it felt eerie to drive through. If you turn off Route 97 near a golf course close to Hancock, there’s a narrow unpaved path where only one car can barely pass. If you follow it to the end, it loops around the town and leads back to Main Street. In summer, the thick forest is so dense, sunlight barely makes it through. But in fall, with leaves blazing red and yellow, a lonely little creek beside the road feels like it’s waiting for us with quiet sympathy.

One day while wandering, we found a house for sale—connected directly to the river. A hand-painted sign in front said “For Sale by Owner,” and the name on it looked Polish and familiar. Sure enough, when I looked it up in the Yellow Pages, the owner turned out to be someone from our own Polish neighborhood in Brooklyn.
“How did you go all the way there and find my house?”
they asked in surprise.
So, our meeting with Hancock became a long, thin thread connecting it to Greenpoint, Brooklyn—like a spider’s web.

Hancock has improved a little since then, but it still carries that quiet, rainy-day loneliness. The woman who had welcomed us so warmly on our first visit—saying she lived nearby in Brooklyn—still hasn’t finished fixing her red-brick house. Old window frames are stacked here and there, waiting.

The river, so clear you can see the bottom, held the reflection of red autumn mountains as if time had stopped. Silently, it flowed like a still lake. Soon the leaves will fall, frost will come, and winter will arrive.

Why does this town, buried in white snow, remain so deeply cold and lonely in my heart?
“I don’t want to come here anymore,” I said. “It’s just too far.”

Saturday, October 19, 2013

물의 순리

어릴 적 나도 여느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새처럼 날고 싶었다. 물 위에 누워 하늘을 보고 두 팔로 물을 저으면 나르는 것이 아닐까? 착각하며.

물에 뜨기란 좀처럼 쉽지 않았다. 답답한 마음에 수영 잘하는 지인에게 
"가장 깊은 곳에서 뛰어내릴 테니 빠지거든 건져줘요."
말하고는 물속으로 뛰어내렸다

물에 빠져도 살 수 있다.’ 는 엉뚱함이 나를 물 위에 뜨게 했는지도 모른다. 10 동안 동네 수영장에 누워 천장 스카이뷰를 보며 하늘을 나는 듯 물을 저었다.

그날은 보통 날과는 전혀 다른 날이었다. 탈의실로 들어가며 수영장 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 창문에 커튼이 쳐져 안이 보이지 않았다. 전에 없던 일이다. 옷을 갈아입으려고 락커를 열다 깜짝 놀라 기절할뻔했다. 블론드 가발이 잘린 목처럼 떡하니 버티고 있는 것이 아닌가! 락커마다 여자 가발이 나를 노려보듯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고 보니 수영장 안에 남자들이 전혀 없었다. 여자들만이 수영복이 아닌 온몸을 가린 긴 치마를 입고 물에 둥둥 떠다녔다. (치마가 부풀어 여기저기 공처럼 떠다니는). 모두의 시선이 유일하게 수영복 입은 작은 아시안인 나에게 모였다전혀 평상시와는 다른 수영장 안 풍경에 몹시 당황했다. 어찌 된 영문인지를 파악하려고 슬슬 수영하며 왔다 갔다 살폈다. 두부처럼 허연 여자가 다가왔다.  
“Do you need a job?”
아니, 이건 또 뭐야? 물속에서 일자리가 필요하냐고 묻다니. 당황하며 머뭇거리다 
“What job?” 
“Cleaning job.” 
잠시 머뭇거리다가 바삐 머리 회전을 시켜 돌아가는 정황을 파악하고 정리해보니 쥬이시 아줌마가 자기 집 청소를 하지 않겠느냐.’는 소리다. 이쯤 되면 나도 
“I need a cleaning lady too.(나도 청소하는 사람을 구한다.)”
웃는 얼굴로 받아넘겼다. 두부에 고추장을 휙 뿌린 듯 홍조 띤 언짢은 얼굴로 씩씩거리며 같은 무리에게 둥둥 떠 가더니 나를 힐금힐금 쳐다보며 수군거렸다.

물을 뚝뚝 흘리며 프런트 데스크에 가서 알아봤다. 매주 수요일 아침 서너 시간은 하시딕 쥬이시(Hasidic Jewish) 여자들을 위한 스케쥴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저희 모습과 다른 아시안과 함께 물속에 몸을 담고 싶든지 말든지 나는 물 위에 누워 팔을 저으며 생각에 빠졌다.
"어차피 뒤죽박죽 뒤섞여 사는 뉴욕, 그들 눈에 나 또한 낯선 모습이 아닐 텐데 굳이 이렇게까지 해서 나를 몰아내고 싶을까?"
서운함이 없는 것은 아니나 이웃 쥬이시 아줌마들의 사는 방법과 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드리니 기분이 나쁘지만은 않았다.

발버둥 치는 나를 버리고 물살을 살살 어루만지며 물의 순리에 따르면 물속에서 살아남는다. 아집을 부리며 물을 역행하면 허우적거리다 죽을 수밖에. 

Friday, October 18, 2013

The rationality of water

When I was young, I, like many children, wished I could fly like a bird. I imagined that if I lay on the water and paddled with my arms, I could take off into the sky. But floating wasn’t easy. Frustrated, I once asked a skilled swimmer friend, “I’m going to jump in at the deepest end—please pull me out if I drown.” Then I leaped into the water. Maybe that absurd bravado—believing, “Even if I drown, I’ll live,”—is what kept me afloat. For over ten years, I lay in the community pool, staring at the skylight ceiling and paddling as if I were flying.

That day, however, was unlike any other. As I entered the locker room area, I noticed the pool window was covered with curtains—I couldn’t see inside. That had never happened before. While opening my locker to change, I nearly fainted: every locker held a blonde wig, looking eerily like severed heads. They stared at me ominously.

Inside the pool, there were no men—only women dressed in long skirts, floating in the water (their skirts ballooned like round, floating shapes). Every gaze turned to me, the small Asian woman in a swimsuit. I was utterly bewildered by the surreal scene. Slowly, I swam across the pool to understand what was happening. A pale woman approached me.
“Do you need a job?” she asked from the water.
I was stunned. A job—in the pool? I stammered,
“What job?”
“Cleaning job.”
A moment’s pause, then I pieced it together—it seemed the Jewish lady was asking if I could clean her home. I smiled and replied gracefully,
“I need a cleaning lady too.”
She floated away with her group, her annoyed, reddened face glancing back at me like a tofu drenched in red chili paste.

Later, dripping wet, I went to the front desk and asked. They told me the pool had changed its schedule: every Wednesday morning, a few hours were reserved exclusively for Hasidic Jewish women. These women follow strict modesty rules and cannot swim in mixed-gender spaces. I lay back in the water, paddling gently, pondering: “In this mixed-up, diverse New York, I’m not the only stranger here—so why the need to push me out like this?” It stung a bit, but understanding their way of life and cultural needs softened the discomfort.

As I floated, I reflected: if I resist the natural flow of water, I’ll drown—but if I let go and move with it, I’ll survive.


Saturday, October 12, 2013

208번 도로를 달려가면

NJ- 4W를 타고 가다 208번 도로를 만나면 갑자기 차가 미끄러지듯 달린다. 라디오의 볼륨을 한껏 올리고 매끄러운 도로를 신 나게 달려가면 60여 종류의 허브가 심어진 작은 동산에 도달한다.

푸른색 보우 타이를 맨 장난기 넘치는 바깥주인인 정원사가 허브 한 잎 한 잎을 따서 주며 효능을 일일이 설명했다향기로운 허브향에 몸과 마음이 편안해졌다

그뿐만이 아니다. 돼지고기숙주찜, 해물쟁반국수, 허브꽃밥, 냉두부, 고추기름소스해물냉채, 생강소스참치회, 새싹탕평채, 아스파라거스 Vinaigrette, 모듬수육, 우족편, 오이소박이로 정성껏 차려진 식탁이 우리를 기다렸다.

우아하게 어깨선을 드러낸 검은 드레스를 입은 안 주인의 피아노 연주를 시작으로 15명의 연주자와 관객이 한 무대에 선 듯 아늑한 분위기에 너나 할 것 없이 하나가 되었다. 일 년에 한 번 음악인과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초대하는 와이코프 홈 콘서트.

20여 년 전에 끝난 인연이 또 다른 만남으로 이어졌으니! 나는 이 부부를 따로따로 알게 됐다. 남편은 나의 보스로 와이프는 북클럽 친구로 지내다 우연히 지인의 오프닝에서 두 사람이 부부라는 사실을 알았다.

오래전 남편이 대학에서 강의한다며 서울로 떠나고 나는 유치원 그리고 초등학교 1학년 아이 둘을 데리고 학군이 좋다는 북부 뉴저지로 이사 갔었다. 홈 콘서트를 주체하는 분이 바로 그 당시 내가 다니던 직장의 보스 그리고 여직원으로 만난 것이다.

미국에서 나이는 그저 숫자일 뿐.’이라며 경험도 없고 나이도 많은 나를 채용했다. ‘역시 뭔가 쫌 다른 사람’. 이라는 인상을 남겼다. 일 년 후 한국생활에 녹다운된 남편의 귀국으로 예전에 살던 브루클린으로 돌아와 끝난 인연인 줄 알았는데 부인을 만나 벌써 몇 년째 이어지고 있는 홈 콘서트에 초대받게 될 줄이야.

그곳에서 연주했던 한 분과 함께 돌아오는 차 안에서 
예술가로 뉴욕에서 살아가기 힘들지요?”
남편의 질문에 
"파트타임으로 음악과 거리가 먼 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 해요."
씁쓸한 대화를 나눴다. 그나마 이렇게 예술가를 초대해 용기와 위로를 주는 분이 있어 즐거운 하루를 보낼 수 있다는 것에 우리는 모두 감사했다.

연주회가 끝난 후 초대받은 사람들의 손에 올해 처음 수학한 허브 티 백 (Herb tea bag)까지 들려줬으니.
"돈을 벌면 이렇게 멋지게 쓰며 살아야 해."
남편이 한마디 했다. 돈으로만은 할 수 없는 두 분의 성의와 정성 그리고 희생, 이루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사랑과 노력이 가슴을 울렸다.

"화창한 초가을 저녁 파티에 오는 하객들을 위해 새로 부드럽게 아스팔트까지 깔아 놓은 정성에 감복했어요."
나이 지긋한 색소폰 연주자의 능청스런 농에 모두 웃음꽃이 핀 그곳으로, 또다시 208번 도로를 달려가고 싶다.

Friday, October 11, 2013

If drive down road 208

As soon as you hit Route 208 from I‑78 West in New Jersey, the car glides smoothly across the road. Turn up the radio and enjoy the ride—before long, you reach a small hill planted with more than sixty varieties of herbs. A playful gardener, the owner, with a blue bow tie, plucked a herb leaf one by one for us, explaining each one's benefits. The scent of those herbs relaxed my body and mind.

But that was just the beginning. Waiting for us was a beautifully arranged table filled with dishes like pork and bean sprout steam, seafood noodle platter, herb‑flower rice, chilled tofu, seafood with chili‑oil sauce, tuna sashimi with ginger sauce, sprout tangpyeongchae, asparagus with vinaigrette, assorted boiled pork, ox trotter slices, and stuffed cucumber kimchi.

Then the hostess, wearing an elegant black dress with bare shoulders, began to play the piano. In that cozy atmosphere, it felt like 15 performers and the audience all shared the same stage. It was the annual “Wyckoff Home Concert” — a warm gathering where musicians and music lovers are invited into their home.

Our connection with this couple goes back over twenty years! I met the husband as my boss at work—and the wife through a book club. Only later, at a friend’s event, did I discover they were married.

Years ago, when my husband moved to Seoul to teach at a university, I relocated north to a good school district in northern New Jersey with our two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he couple hosting the home concert were my former boss and coworker — the same folks who hired me back then, despite my lack of experience and my age. They told me, "In America, age is just a number." They must have thought I was a little different but worth the chance.

A year later, when my husband, worn out by life in Korea, returned, we moved back to Brooklyn. I thought our connection had faded, but instead, it re-emerged and grew. Now, I've been invited to attend their home concert for several years.

On the drive home after that performance, one of the musicians said to my husband,
“Is it hard to live in New York as an artist?”
I replied bitterly,
“I survive by doing part-time work unrelated to music.”
We were all grateful to spend such a wonderful day thanks to two people who invite artists into their home, offering encouragement and comfort.

After the concert, they even sent us home with herb tea bags harvested that very year.

“That's how you live when you earn money—by spending it beautifully,” 
my husband remarked. It wasn’t just the expense—it was their care, sincerity, and selfless effort. The invisible love and attention they poured into everything left us deeply moved.

I admire the way they even repaved their driveway with smooth asphalt just for a warm, early-autumn evening party. When the elderly saxophonist made a playful joke, everyone laughed so wholeheartedly. I’d love nothing more than to ride down Route 208 again and go back to that place.

Saturday, October 5, 2013

또 혀

간단한 상추 쌈 점심 초대라고 했다.

허나 정성이 깃든 최고의 상차림이었다.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쌈 종류가 이렇게 많다니! 모든 쌈이 밭에서 갓 가져온 거란다. 작은 텃밭에 앉은 듯 풀밭 위의 식사는 즐거웠다.

지난 추석, 아는 지인이 음식을 장만해서 또 다른 지인의 집에 가지고 가 함께 한 점심이다. 조금만 먹으면 불러오는 배가 원망스러울 경우가 바로 이런 상차림 앞에 서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갓 김치에 케일 된장국도 그 이외도 일일이 기억할 수 없을 만큼 요리가 많았다. 배가 불러 젓가락질도 못 한 귀한 음식이 지금도 눈에 아른거려 군침을 삼킨다.

지인은 상차림만이 아니라 집주인에게 폐가 되지 않게 사람 숫자대로 용도에 따라 그릇도 준비해 왔다. 게다가 우리가 즐겁게 먹고 떠드는 동안 아무 말 없이 후식을 준비하고 남은 채소는 간장 쌈장에 절이고 설거지를 하고 뒷마무리까지나.

"음식 준비하는 것은 힘들지 않았으나 그 많은 종류의 쌈을 씻는 것이 힘들었다."
는 이야기를 들으며 보통 사람으로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을 찾아서 온 정성을 쏟는 이분은 과연 깨달음의 경지에 오른 사람이 아닐까? 이분 앞에만 서면 고개가 절로 숙여지는 것이 나 자신이 부끄럽다.

너무 고마우면 미안해진다. 미안하면 말을 잃는다. 고맙다는 말도 못하고 조용히 옛 생각에 빠졌다.

아이들이 어릴 때 학부모 협회에서 일한 적이 있다. 학교 행사 때마다 할 일도 많지만, 그 이외도 잡다한 일이 많았다. 항상 준비물을 잘 챙겨 가도, 일하다 보면 도구를 가져오지 않아서 일이 느려지고 당황할 때가 종종 있었다. 생각 같아서는 교무실에 가서 빌려다 쓰면 편할 텐데. 아이들을 위해 일하는 학교 직원들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며 함께 일하던 분은 주위의 문방구점에서 사다 쓰곤 했다.

준비 없이 일하다 없으면 대충 빌려 쓰는, 나 편하자고 남들을 힘들게 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이 생각났다.

또 혀” 
엘리베이터 문 앞에서 배웅하던 집주인의 사투리 유모에 우리는 엘리베이터 안이 터져나갈 정도로 웃었다. 정겹고 아름다운 사람들과 함께 풀밭에서 웃고 떠들며 쌈밭 속에 묻힌 신 나는 소풍이었다.

또 혀.’면 좋겠지만, 고맙고 미안혀서. 인자 내가 혀야 하는디.

Friday, October 4, 2013

Let's do it again

"Just a simple lunch with lettuce wraps," she said. But it turned out to be one of the most thoughtful, elaborate meals I’ve ever had. I had no idea there were so many different types of wraps we could eat! She said they were all freshly picked from the garden. Sitting at the table on a patch of green grass, it felt like dining in a cozy backyard farm—it was a joy.

It was during Chuseok (Korean harvest festival) when a friend brought homemade food to another friend’s house, and we all shared lunch together. It was one of those meals where your stomach feels full too soon, and you start to resent it—because you want to keep eating. Not just the wraps: there was freshly made kimchi, kale doenjang soup, and so many other dishes I can’t even remember them all. The food I couldn’t finish still lingers in my mind, and I find myself swallowing back a little drool just thinking about it.

My friend didn’t just prepare the food—she also brought the exact number of plates and utensils for everyone so as not to trouble the host. While we laughed and enjoyed the meal, she quietly prepared dessert, pickled leftover veggies in soy sauce, did the dishes, and even tidied up afterwards.

She later said,
“Making the food wasn’t hard. Washing all those greens was.”
Hearing that, I couldn’t help but wonder—doesn’t it take someone with a truly enlightened heart to put so much effort and care into something most people wouldn’t even think to do? Just standing in front of her makes me lower my head in humility. I’m embarrassed by my own lack of thoughtfulness in comparison.

When you’re too thankful, you start to feel guilty. And when you feel guilty, you become speechless. I couldn’t even say thank you—I just quietly drifted into old memories.

I used to work on the PTA when my kids were young. There was always a lot to do for school events, and even more behind-the-scenes tasks. We’d bring what we thought we needed, but inevitably, someone would forget something and it would slow down our work. I always thought, “Why not just borrow things from the teacher’s office?” But one of the moms insisted that we not inconvenience the school staff—they were working for our kids too. She’d go out to the nearest stationery store and buy what we needed.

That moment taught me a lasting lesson: When you come unprepared and rely on others for convenience, you’re only making things harder for them.

“Come again sometime,” said the host, waving us off with a sweet accent that made us burst into laughter inside the elevator. It was a joyful outing, like a picnic wrapped in fresh greens, filled with friendly chatter and warm-hearted people.
I’d love to “come again.”
But I feel so grateful—and a little guilty too. Maybe now, it’s my tu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