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June 29, 2013

오늘도 걷는다마는

오늘도오 걷는다마아는 정처 어업 바알~, 나온 자국마 눈물 오였~’

아버지는 나와 같은 초등학교와 대학을 함께한 친구와 내가 아버지 양팔에 매달리자 기분이 좋은지 나그네 설움을 흥겹게 불렀다. 우리도 아버지의 음정에 맞춰 흥얼거리며 인사동 거리를 걸었다. 아버지는 친구와 내가 어릴 공유했던 고통을 모르는지 노랫가락은 흥겹게 잘도 넘어갔다.

초등학교 6학년 시작과 함께 담임 선생님의 지시로 전체 아이들이 각자 목공소에서 만든 회초리 교실 한쪽에 이름을 새겨 걸어 놓았다. 그 당시 최고 명문인 K 여중에 가기 위한 목표달성을 하지 못했을 경우의 회초리다. 맞다가 회초리가 부러지면 다시 목공소에서 만들어 와야 하는 것은 K 중에 보내고 싶어하는 아버지의 몫이었다.

서울 시내 한복판에 있던 초등학교, 거기에서도 6학년 1반에 들어가 담임 선생님에게 매를 맞고 살아남은 아이는 K 여중 입학이 보장될 정도로 유명선생이 었다. 우선 성적이 떨어지면 매를 맞았지만 여러 다른 이유로도 수없이 맞았다. 선생님의 핏기 오른 서슬 퍼런 모습은 섬뜩했다. 학교에 가서 또 맞을지 모른다는 초조함에 하루하루가 암울하고 두려웠다.

6학년 여름방학이 끝날 즈음인 어느 , 침대에 누워 학교로 돌아갈 생각을 하며 괴로워하고 있었다. 갑자기 오른팔이 흔들리며 몸의 중심을 잡지 못하고 침대 밑으로 떨어졌다. 이상한 현상이 내 팔에 갑자기 일어난 것이다. 또다시 팔이 앞뒤로 흔들렸다. 30초가량 흔들리다 멈추고 다시 흔들리고를 반복했다수시로 흔들리는 때문에 나는 학교에 다닐 수가 없었다. 사색이 된 엄마는 여기저기 용하다는 양의사, 한의사를 수소문하여 병을 고치러 다녔다. 그러나 의사들은 병명을 찾지 못했다.

흔들리는 6학년 학기만 다니고 집에서 쉬었다. 생각만 해도 몸서리치던 선생을 보지 않으니 흔들리던 팔도 어느 갑자기 멈췄다. 물론 나는 아버지가 간절히 원했던 k 여중에 가지 못했다그러나 아버지의 다른 한쪽 팔에 매달려 걷는 친구는 나보다는 매집이 좋아 견딘 덕분에 들어갔다. 친구는 주로 머리를 맞아 피딱지를 떼곤 했단다. 지금도 수시로 머리를 긁적거린다니. 좋았던 머리가 그 당시 충격으로 망가져 결국에 나는 아버지가 기대했던 S 대학마저도 실패하고 2차 대학에서 우리는 다시 만나는 신세가 되었다

지금 아버지는 내가 최고가 아니어도 건강하게 살아 줘서 좋아하지 않는가. 나 자신도 최고가 아니기에 남보다 못해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하루하루 즐겁게 산다.


앞서 가는 사람들을 뒤에서 느긋이 바라보며 오늘도 정처 없는 이 발길
.  

Friday, June 28, 2013

Even if I walk today

“Todaaay I walk again, with nooowhere to go~, tears welled up in every step I took~”
My father, clearly in a good mood with me and my childhood friend hanging off each of his arms, cheerfully sang “Nagune Sorrow” as we strolled down the street in Insa-dong. My friend and I hummed along to match his tune, even though he had no idea of the pain the two of us had once shared as children.

At the start of sixth grade, our homeroom teacher ordered every student in class to make a spanking stick at a woodworking shop. We each had to carve our names on it and hang it on the classroom wall. It was a “motivational” stick—meant to be used when we failed to reach our goal of getting into the most prestigious middle school, K Girls’ School. If the stick broke from too much beating, our parents—mine being especially eager for me to get into K School—were responsible for having a new one made.

Our elementary school was in the heart of Seoul, and Class 6-1 had a teacher so infamous that simply surviving her beatings all year pretty much guaranteed your spot at K Girls’ School. You’d get hit if your grades dropped—but also for many other random reasons. The image of her flushed, angry face was terrifying. I lived every day in fear, anxious about when the next blow would come.

Near the end of summer vacation in sixth grade, I was lying in bed, dreading the return to school. Suddenly, my right arm started shaking uncontrollably and slipped off the bed. My body lost balance. It kept happening—my arm would twitch back and forth for about 30 seconds, then stop, only to start again. I couldn’t go to school like that. My mom, pale with worry, dragged me from one doctor to another—both Western and Eastern medicine—but none could figure out what was wrong.

I stayed home for the second half of sixth grade. And strangely, once I no longer had to face that terrifying teacher, my arm stopped shaking. Just like that. Of course, I didn’t make it into K Girls’ School, something my father had desperately hoped for.

But the friend who now walked beside me, still hanging from my father's other arm, had stronger endurance. She made it in. She told me she used to get hit on the head so often that her scalp would scab over. She still scratches her head a lot to this day. She was once incredibly smart, but the trauma she endured must have taken its toll. In the end, she couldn’t get into the prestigious S University our parents had dreamed of either. We both ended up meeting again at a second-tier college.

And now, our father is simply happy that I’m healthy and living well, even if I’m not the best. I've come to accept that I’m not someone who needs to be number one. It’s okay not to be better than others—I live each day with that in mind and enjoy life.

As I walk behind others, I take my time, slowly observing those ahead of me.
Today again, I walk this path with nowhere particular to go.

Saturday, June 22, 2013

아이들과 함께 그린 정물화

막내 동서가 지내는 시아버지 제사와 차례를 모셔온 지 서너 해가 지났건만, 난 아직도 적응 못 하고 기일이 다가오면 허둥댄다.

이렇다 할 종교도 없고 제사를 꼭 모셔야 하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지만, 멀리 떨어져 잘해드리지 못하는 시어머니를 기쁘게 해드리려고 모셔왔다.

왜 제삿날마다 바쁜 일이 생기는지. 요번 제사는 토요일과 겹쳤다. 저녁에 춤추러 가야 하는데
춤추는 것이 더 중요해 아버지 제사보다?” 
절대 아니지. 제사가 더 중요하지요.”
시원하게 대답은 남편에게 했지만, 뭔가 석연치 않아 시어머니에게 전화했다
"너 편한 데로 돌아가신 전날 아무 시간 때나 해도 된다."
어머니도 나이 들고 힘이 빠지니 며느리 눈치를 보시는 게 마음이 짠했지만, 일단은 내가 바쁘니 일찍 지내기로 했다

평상시에 아버지가 좋아하셨던 간단한 상차림에 생선전과 삼색 나물, 조기와 탕국은 끓였다. 장 봐 온 것을 풀며 탕국부터 안치고 생선을 잘라 놓으니 작은아이가 밀가루에 달걀을 묻히고 큰아이는 전을 부쳤다삼색 나물을 깨끗이 씻어 삶아 그릇에 담아 놓으니 작은아이가 볶았다. 전 부치는 것을 끝낸 큰애는 설거지, 나물을 끝낸 작은 아이는 과일을 닦아 그릇에 보기 좋게 담았다. 남편은 커다란 상에 캔버스 천을 깔고, 아버님 사진을 정 가운데 세우고 촛불을 켜고 향을 피웠다. 평상시 우리가 마시는 와인보다는 조금 비싼 것으로 준비도 했다. 그사이 조기는 마이크로 오븐에서 모양 좋게 구워졌다.

한 해에 여러 번 제사상을 차렸던 친정아버지한테서 들은 풍월은 있어, 상 차리는 아이들에게 홍동백서를 지시했다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이야.” 
캔버스 위에 그려진 멋진 정물화 한 폭의 제사상이 차려졌다
"완전 예술이야. 예술." 
한마디씩 하며 와인을 올리고 절을 하며 할아버지를 생각했다.

엄마, 왜 할아버지가 먹을 수도 없는데 상을 차려요?” 
"할아버지가 얼마나 너희에게 잘했니? 적어도 한 해에 한 번이라도 마음 깊이 할아버지에게 감사해야지. 훗날 너희는 제사 안 지내도 된다. 엄마 아빠는 아직도 한국 관습이 남아있고 하고 싶어서야.”

크리스마스 때마다 시아버지가 비행기 표를 보내와 우리 가족은 LA에 가서 연휴를 보냈다. 손주들과 크리스마스트리에 장식을 달고 과자를 만들어 이웃에게 돌리곤 하셨다. 은퇴자금을 손주들 대학 학자금으로 만들어 등록금을 도와주셨다. 아이들이 기억하는 할아버지는 산타클로스였다
할아버지에게 하고 싶은 말 있으면 하고 절해야지." 

유난히도 자주 내린 빗물 덕에 울창해진 뒤뜰로 놋그릇 종지에 향을 꽂느라 담았던 쌀을 흩뿌리니 새들이 재잘거리며 모여든다. 죽으면 과연 우리는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일까?

Friday, June 21, 2013

Still life painted together with children

It’s already been three or four years since I started hosting my father-in-law’s memorial services, which my youngest sister-in-law used to handle. But even now, I still haven’t fully adjusted, and I always feel flustered when the day comes around.

I don’t follow any particular religion, and I often wonder whether these ancestral rites are really necessary. But I decided to take it on to make my mother-in-law—who lives far away and whom I can’t take care of properly—happy.

Why is it that something always comes up on the day of the memorial?

This time, it fell on a Saturday—on a day I had plans to go dancing.
“Is dancing more important than your father’s memorial?” 
“Of course not! The memorial is more important.”
That’s how confidently I answered my husband—but I still felt uneasy. So I called my mother-in-law.
“Do it whenever it works best for you. Any time the day before is fine.”
Her voice sounded tired. She’s getting older now, and I could hear her trying to be understanding, which made me feel both grateful and a little sad. Still, since I was busy that evening, we agreed to do it earlier in the day.

I prepared a simple table with foods my father-in-law liked: fish pancakes, three kinds of seasoned vegetables, grilled croaker, and a soup. As I unpacked the groceries and got the soup going, I cleaned the fish. My younger child coated pieces in flour and egg, while my older child fried them. Once I finished prepping the veggies, my younger one sautéed them, and the older one washed the dishes. Then the younger one wiped the fruits and arranged them nicely on a plate. Meanwhile, my husband laid out a canvas cloth on a large table, placed Father’s photo in the center, lit a candle, and burned incense. We even picked out a nicer wine than usual for the occasion. By then, the croaker had finished grilling nicely in the microwave oven.

Thanks to what I had learned from my own father—who had prepared many memorial tables—I was able to teach my kids how to set it up properly.
“Red fruits go on the east side, white fruits on the west.”
When everything was in place, the table looked like a beautiful still-life painting.
“This is a work of art. Real art,” we said as we offered the wine and bowed, each of us thinking of Grandpa.
“Mom, why do we set all this up if Grandpa can’t eat it?”
“Grandpa was so good to you, wasn’t he? At the very least, you should take time once a year to sincerely thank him. Later, you don’t have to do this kind of ritual. Mom and Dad still do it because it’s part of our tradition, and we want to.”
Every Christmas, my father-in-law would send us plane tickets so we could spend the holidays in L.A. together. He’d decorate the Christmas tree with his grandkids, bake cookies, and hand them out to neighbors. He even used his retirement savings to help pay for their college tuition. To our children, Grandpa was Santa Claus.
“If you want to say something to Grandpa, now’s the time—say it before you bow.”
I scattered the rice from a small brass bowl in the backyard, where the rain had made the trees and grass especially lush. Birds chirped as they flocked to the scattered grains.

I wonder—when we die, do we really return to nature?

Saturday, June 15, 2013

변해야 산다.

며칠 전에 온 비가 또 쏟아진다. 이놈의 뉴욕 날씨하곤

냉장고 속을 들여다보니 찬거리가 없다. 든든하게 비옷을 챙겨 입고 집을 나서려고 무거운 대문을 당겼다. 세찬 바람결에 빗물이 튀겨 밖으로 나가기도 전에 옷이 후줄근해졌다. 과연 저 험한 빗속을 뚫고 나가 찬거리를 사다 점심상을 차려야만 할까?

집안으로 도로 들어와 일단 멸칫국물을 우려내며 생각하기로 했다. 국수를 삶을까? 아무래도 비 오는 날엔 국수보다 수제비를 받아 든 남편의 표정이 환하겠지.

역시나, 김이 모락모락 오르는 감자 수제비를 받아든 남편은 군침을 삼키며 입맛을 다신다. 기분 좋을 때를 틈타
오늘 저녁은 감잣국으로 하면 안 될까?” 
수제비 덩어리만 건져 먹고 대충 남은 감잣국을 먹는다면 저녁 끼니도 해결될 텐데짜증 낼 줄 알았는데
“Whatever.” 
하는 게 아닌가. 반찬 투정을 심하게 하던 남편이 변했다. 밥상 앞에서 잔소리해봤자 먹히지 않았던 투정이 어느 때부터인가 시름시름 멈춰 버린 것이다. 신문에 나간 남편의 반찬 투정에 대한 내 글을 읽고 반성했나?

아예 소설을 쓰시는군. 아무튼 잘도 지어내."
남편이 내가 쓴 신문에 난 글을 보고 자기에 대한 시답잖은 줄거리라도 비치면 소설이라며 한마디 한다
무슨 소설? 나도 쓰고 싶지만 쓸 능력이 없어 안타까워하는 게 소설인데. 내가 언제 썼다는 거야있지도 않은 일을 만들어 쓸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스치는 기억을 살려내서 감정을 넣어 쓰기도 벅찬데, 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시는지?" 
"전혀 내 기억에도 없는 이야기를 썼으니 소설이 아니고 뭐야." 
그렇게 삐딱하게 굴었잖아~ 그 기억을 쓴 건데. 기억 안 난다고? 사실이잖아?” 
나 그렇게 악랄한 사람 아니야.” 
절대 그런 적이 없다며 반박한다.
"그때 참을걸, 그때 잘할걸. 후회하지 말고 좋지 않은 습관 시원하게 훌훌 털어 버리고 변하면, 새롭고 넉넉한 세상이 당신을 반길 텐데. 좋지도 않은 습관 누구를 위해 백날 껴안고 살며 사람을 괴롭혀."

신문 지상에 남편 흉보는 것이 집안 망신인 줄 왜 모르겠느냐만, 신문에 난 내 글을 읽고 그럴듯하게 변해가는 남편을 보면, 집안 망신쯤이야. 일단 나부터 편하게 살고 봐야 하지 않겠는가.

당신 참 괜찮은 사람이야. 세살적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데 많이 좋게 변했어. 훌륭해.” 
슬쩍 띄워 주며
어차피 맺어진 인연 오손도손 잘 살아보자고요.”
오랜 결혼생활 질기게 끌고 당기며 가는구나

Friday, June 14, 2013

Change is the way to live

It rained a few days ago, and now it’s pouring again. Ugh, this New York weather.
I opened the fridge—nothing to cook. I bundled up in my raincoat and headed to the door, but as soon as I pulled it open, the wind blew raindrops all over me. I was already soaked before even stepping outside.

Do I really need to go out in this weather just to buy groceries and cook lunch? I came back inside and started boiling dried anchovies to make broth. Should I make noodles? But no, on rainy days, my husband would much rather have handmade potato sujebi (dough soup). I could already picture the happy look on his face.

Sure enough, when I handed him a steaming bowl of potato sujebi, his mouth watered and he smacked his lips in delight. So I took my chance:
“Can we just have the leftover broth for dinner, maybe with some potatoes added?”
I figured if we just fished out the dough pieces and ate the soup later, dinner would be solved too. I expected him to complain, but instead he just said,
“Whatever.”
I was surprised. He used to be so picky about meals, always complaining. But somewhere along the way, those complaints stopped. Maybe he read that piece I wrote in the newspaper about his picky eating and felt embarrassed?

“You’ve started writing fiction now, huh?”
he said, after reading my article.
“You make stuff up so well.”
“Fiction? I wish I could write fiction. I don’t have the talent. I can barely write about my own memories and feelings. You think I’m making things up?”
“I don’t even remember half of what you wrote! If that’s not fiction, what is it?”
“You really don’t remember being that grumpy? I only wrote what actually happened. It’s the truth!”
“I’m not that awful, you know.”
He firmly denied ever acting that way.

But I told him,
“Don’t dwell on regret, don’t think ‘I should have been better.’ Just let go of those old bad habits, and life will open up in new and generous ways. Why hold on to things that only hurt you and others?”

Sure, I know airing my husband's flaws in the newspaper might be seen as embarrassing for our family. But if reading my words made him change for the better—even just a little—then so be it.
Honestly, I need to live a little more comfortably, too.

“You know, you’re a pretty decent person. They say old habits die hard, but you’ve changed a and in a good way. I’m proud of you.”
Then I added with a smile,
“Since we’re already tied together, let’s just try to live happily, hand in hand.”

Ah, marriage... Dragging it along, pulling each other forward, year after year.

Saturday, June 8, 2013

내가 그렇게도 싫은가

다른 곳도 아니고 한 주일가량을 동고동락하는 거대한 유람선 안에서 그럴 수가일부러 모른척하는 것이 더 피곤할 텐데!

크루즈에서 낯익은 사람을 만났다. 아니 그 많고 많은 배 중에 같은 배를 타다니! 매우 반가워 환하게 웃으며 인사라도 나누려 하니 웬걸, 시선을 피하며 고개를 돌리는 것이 아닌가. 잘 못 봤나. 한국사람이 많지 않은 것을 보니 중국사람인가? 분명히 아는 사람인데 하도 모른 체를 하니 헷갈렸다.

배가 아무리 크다 해도 한번 갇힌 이상 그 안에서 맴돌기 마련이다. 뷔페에서 책을 읽고 있는 그녀를 봤다. 일부러 그녀 주변 식탁에 가서 앉았다. 또다시 아는체하려 했으나 계속 시선을 책에 두고 얼굴을 들지 않았다. 자리를 맡아 놀 요량으로 읽던 책을 남겨 놓고 음식을 가지러 간 사이 슬쩍 책 겉표지를 보니 한국 책이다.

데크에 앉아 하염없이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그녀를 또 봤다. 할 일 없이 빈둥거리는 나는 가까이 가 앉았다. 정말 내가 잘못 보기라도 한 것은 아닌가 해서 이리저리 자세히 살펴봤다. 한 달에 한 번 있는 모임에서 보는 여자가 확실한데 혼자 쉬고 싶어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는 건지? 오래전 새로 이사한 동네에서 
한국사람이세요?” 
인사를 건네니 
"전 한국인과는 이야기 안 합니다."
무뚝뚝하게 내뱉던 중년 남자의 기억이 획 스쳤다

함께 탄 남편이라고는 캐빈에서 나오지도 않고 발코니에서 출렁이는 바다만 보고 있으니 일주일 이상 망망대해를 달리는 배 안에서 말할 상대라도 있으면 좋겠는데.
고만해. 싫대잖아 왜 자꾸 아는 체하는데.” 
드디어 남편이 견디다 못해 소리를 질렀다. 확 뭉개진 자존심으로 더 이상은 마주쳐도, 옆으로 스쳐도 모른 체했다. 수영, 조깅 요가, 춤추러 다니다 저녁엔 극장으로, 바삐 혼자 스케줄에 따라 돌아다녔다. 잘 놀다가도 출렁이는 파도를 보면 왜 일그러져 anger ()로 가득 찬 그 여자 얼굴이 떠오르며 울렁이는지
"우울증인가? 사업이 망했나? 이혼했나? ‘왜 모른척하느냐고."

남편도 드넓은 바다를 보며 무슨 생각을 하는지 말이 없다. 60년대 말 시아버지는 마이애미에서 떠나는 크루즈에서 3년간 셰프로 일하셨다. 가족들을 부양하느라 배 안에서 일만 한 아버지를 회상하고 있는 것일까? 나는 풀리지 않는 기분 나쁜 현실을, 남편은 지나간 과거를 되새기며 즐겁지 않은 여행은 끝났다.

한 달에 한 번 있는 모임에 그녀가 나타났다. 크루즈에서의 그 옷차림으로. 눈 한번 주지 않는다. 살다 보면 삶이 참을 수 없이 버거워져 사람들과 아는체하기 싫을 때가 있다. 그래도 그렇지 사람으로서의 기본 감정까지 팽개치면서 자신을 웅크리는 것은 너무한 것 아닌가. 배에 탄 생면부지의 사람들도 눈인사 정도는 나눴는데. 나도 미국에 살 만큼 살아서 인사한다고 계속 방해하지는 않는다고요.

Friday, June 7, 2013

You don't like me that much?

How could she act like that — not somewhere else, but on a cruise ship where we’d be together for a whole week? Pretending not to know someone is even more tiring than just saying hello!

I saw someone familiar on the cruise. Out of all the cruise ships in the world, we were on the same one — what are the chances? I was happy to see her and smiled, ready to say hello. But to my surprise, she turned her head and avoided my eyes. Maybe I was wrong. Since there weren’t many Koreans on the ship, I thought maybe she was Chinese. But no — I was sure I knew her. Still, she acted like she didn’t know me at all, and it made me doubt myself.

Even on a big ship, once you’re on board, you run into the same people. I saw her reading a book at the buffet. I sat at a table near her on purpose. I tried again to say hello, but she kept her eyes on her book and never looked up. When she went to get food, she left her book to save her seat. I quietly looked at the cover — it was a Korean book.

Later, I saw her sitting on the deck, staring out at the ocean. I had nothing to do, so I sat near her again. I looked closely, just to be sure. Yes, she was definitely the woman from our monthly meeting. Was she pretending not to know me because she wanted to be alone?

Then I remembered something from long ago — when I moved to a new neighborhood and said to a middle-aged Korean man,
"Are you Korean?"
He coldly replied,
"I don’t talk to other Koreans."
Just like that.

Even my husband, who was the only person I came with, never left the cabin. He just sat on the balcony staring at the waves. On a ship sailing across the endless sea for over a week, it would be nice to have someone to talk to.
“Stop it. She clearly doesn’t want to talk to you. Why do you keep trying?”
Finally, my husband got annoyed and shouted at me.

My pride was completely crushed. After that, even when I saw her again, I ignored her like a stranger. I kept busy — swimming, jogging, yoga, dancing, going to the theater at night. I followed my own schedule and had fun by myself.

But even when I was enjoying myself, whenever I looked at the rolling waves, her angry, twisted face came back to my mind, and I felt sick inside.
“Is she depressed? Did her business fail? Is she divorced? Why is she pretending not to know me?”

My husband also stayed silent, staring at the wide ocean. In the late 1960s, his father worked as a chef on a cruise ship leaving from Miami for three years. Maybe he was remembering his father, who worked hard at sea to support the family. I was stuck in an uncomfortable, confusing situation. He was lost in memories. The cruise ended without much joy.

A month later, I saw her again at our regular meeting. She was wearing the same clothes from the cruise. She didn’t even look at me. I understand — sometimes life gets so heavy that we don’t want to talk to anyone, even people we know. But still, isn’t it too much to throw away even the most basic human kindness and just shrink away like that?

Even strangers on the ship nodded and smiled. I’ve lived in America long enough — I know when someone doesn’t want to be bothered. I wasn’t trying to push or annoy her. I just wanted to say hello.

Saturday, June 1, 2013

사랑이란 두 글자는...

자기 왜 이렇게 예뻐졌어?” 
친구의 해맑아진 뽀얀 얼굴에서 요염한 분위기를 발산한다파운데이션이 허옇게 뜬 얼굴은 윤기 흐르는 민얼굴로, 자다 나온 듯한 엉클어진 뒤통수와 부스스했던 머리카락은 야들야들한 머릿결로 아침 햇살을 받은 물결처럼 빛난다. 마지못해 미소 짓던 입은 소녀처럼 발그스름한 뺨 밑에서 앵두 입술로 연실 생글거리니 뭔가 있다.

워낙에 남의 사생활을 캐지 않는 나인지라 알고 싶어 입이 근질거려도 참고 관찰만 한 것이 언제부터였든가? 하늘을 나는 깃털 같은 친구의 경쾌한 움직임은 반짝반짝 광채를 발하며 행복의 기를 전한다
자기 연애하지?” 
친구가 한 옥타브 높은 큰 소리로 깔깔 웃는 것이 내 추측이 맞았나 보다. 
내가 살면서 가장 큰 실수가 결혼이고, 가장 잘한 일이 이혼이었잖아. 드디어 나의 이상형을 만났다는 것 아니야. 이렇게 뒤늦게 만날 줄이야!” 
어쩐지 빛이 나더라. 좋겠다.”

우리 나이에도 사랑할 수 있다니. 사랑의 힘이야말로 위대하다. 보지 못하고 느끼지 못하는 것을 보고 느끼게 해, 축 처진 감정을 일으켜 세운다. 애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자신의 'ego'를 버리고 상대를 위해 희생할 수 있는 용기를 준다.
"이상형을 너무 늦게 만나 아쉽지만, 96세까지 함께 알콩달콩 행복하게 살자 고 약혼자가 말했어."
왜 하필 96. 아마도 지금 나이에다 40을 얹어 놓은 모양이다. 즐거운 비명에 옆 사람들이 눈살을 찌푸렸지만 우리는 사춘기 소녀처럼 생기발랄하게 재잘거렸다.

친구의 로맨틱한 사랑 이야기에 왜 내가 사랑에 빠진 양 흥분하는지? 어릴 적부터 간접사랑에 익숙해진 나는 남의 사랑도 내 사랑이거니 착각하며 행복해하는 취미가 있긴 하지만.

벚꽃이 만발하던 23살 봄날도 또 다른 친구의 사랑 타령을 듣다 흥분한 나는 친구를 꼬드겨 진해로 가는 기차에 올라탔다

진해 해군기지에 장교로가 있던 친구의 보이프렌드를 찾아 나선 것이다. 군인들의 시선이 부끄러워 우물쭈물 서로 등을 떠밀며 해군사관학교 정문에서 서성거렸던 장면까지는 생각나는데…, 그다음 기억은 희미하다가 어두운 밤하늘, 눈꽃 송이처럼 빛나던 벚꽃 아래 머리를 맞대고 사랑을 나누던 남녀, 저만치 떨어져 남의 사랑에 가슴 설레던 내 모습은 선명하다.

친구가 살면서 가장 잘한 일이 이혼이었다고 했지만, 더욱더 잘한 일은 혼자 외롭게 지내지 않고 이상형을 만나 사랑하며 행복한 삶을 재창조한 일이다. 연예는 친구가 하는데 왜 내 가슴이 콩닥콩닥 뛰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