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December 24, 2011

아버지의 여자들

내가 만나는 여자 친구다. 인사해라.” 
고개 숙여 인사하며 여자를 발끝부터 머리끝까지 훑었다. 아버지보다는 스물다섯 살 정도는 어린듯했다. 아버지에게 이미 여자가 있었다니! 엄마가 가신지 6개월도 채 안 됐는데.

"남편을 교통사고로 잃고 아이 넷을 키우며 고생하는 여자다. 착하고, 음식 솜씨 좋고, 뜨개질도 잘하고 재주가 많은 아주머니다. 네가 미국에서 나오는 줄 알고 네 스웨터를 벌써 만들어 놨다. 먹고 싶은 것이 있으며 다 말해 만들어 줄 거다.” 
침을 튀기며 열변을 토하며 흥분한 아버지를 생전 처음 봤다.

아버지와 아줌마 그리고 갓 결혼한 우리 부부 넷은 함께 여행을 떠났다. 속리산을 거쳐 안동을 지나 경주 불국사 그리고 백암온천까지. 돌아가신 엄마에게는 미안했지만 홀로 계신 아버지에게도 효도해야 하니 어쩌겠는가. 아버지가 하자는 대로 할 수밖에.

아줌마는 아버지와 15년 넘게 잘 지내며 내가 한국에 나갈 때마다 나에게도 잘했다그러던 어느 날 그녀가 잠적했다. 아버지가 남산을 오르다 다리를 다쳐 누웠기 때문이다. 누워 있는 아버지가 다시는 일어나지 못할 것으로 생각한 듯했다. 그러나 워낙 건강하신 아버지는 곧 완쾌되었다. 아줌마를 잊지 못하는 아버지가 안쓰러워 그녀의 거처를 수소문했다. 그녀를 알고 있다는 충청도에 있는 한 식당을 아버지와 함께 찾아가서 온종일 기다렸지만, 그녀는 끝내 나타나지 않았다.

인사해라 내 걸프렌드다.” 
세련되고 참한 분을 또다시 소개했다. 아버지는 그동안 일본인 아줌마, 미국에서 살다 나간 아줌마도 사귀었다. 아마 내가 모르는 나보다 어린 아줌마도 있었을 것이다. 홀로 계신 아버지가 외롭지 않게 즐거운 여생을 보내실 수 있다면 난 누구든 다 좋았다.

몇 년이 흘러, 어느 날 밤중에 누가 문을 두들겨 내다보니 아버지를 버리고 떠난 아줌마가 엄청나게 뚱뚱한 모습으로 문 앞에 떡하니 서 있더란다. 아버지는 문 안으로 들어오려는 그녀를 제지하고 맥도날드에 가서 기다리라고 했단다. 부리나케 집안에 있는 돈을 다 챙겨 맥도날드로 나가니 아줌마는 잘못했다고 빌며 다시 돌아오겠다며 눈물짓더란다.

한번 떠난 인연은 다시 이어질 수는 없다. 어디에서든 잘 살아라.”
챙겨간 돈을 주니 서럽게 울면서 가더란다. 뉴욕에 있는 나에게도 한밤중에 국제전화로 아버지의 마음을 돌려 달라며 하소연하기도 했다.

아버지, 왜 아줌마들과 사귀기만 하고 결혼은 안 하세요. 결혼하세요.” 
오십 넘은 여인네들 크고 작은 지병들이 있다. 내가 좀 편하기를 바라고 호적에 올렸다간 되레 그들 병시중 들게 된다내 생에 결혼은 한 번으로 충분하다. 그것이 네 엄마에 대한 최소한의 나의 예의다.”  

Friday, December 23, 2011

The women of my father's

“This is the woman I’m seeing. Say hello.”

I bowed my head in greeting and looked at the woman from head to toe. She seemed about 25 years younger than my father. I couldn’t believe he already had a woman in his life—Mom had been gone for less than six months.
“She lost her husband in a car accident and raised four kids on her own. She’s kind, a great cook, and good at knitting. She’s really talented. She already made a sweater for you when she heard you were coming from the U.S. If there's anything you want to eat, just tell her—she’ll make it for you.”
I had never seen my father so excited, speaking passionately with spit flying.

My father, the woman, and my husband and I—all four of us—went on a trip together. We passed through Songnisan, Andong, Bulguksa Temple in Gyeongju, and Baekam Hot Springs. I felt sorry toward my late mother, but my father was now alone, and I had to be a good son. I had no choice but to go along with what he wanted.

That woman stayed with my father for over 15 years and treated me kindly whenever I visited Korea. But one day, she disappeared. My father had hurt his leg while climbing Namsan and was bedridden. She must have thought he would never walk again. But my father, being strong and healthy, recovered quickly. He couldn’t forget her and searched for her. We found out she might be connected to a restaurant in Chungcheong Province, so we went there and waited the whole day—but she never showed up.

“Say hello—this is my new girlfriend.”
This time, it was a stylish and elegant lady. Over the years, my father had dated a Japanese woman, a woman who used to live in the U.S., and probably others I didn’t even know about—maybe even women younger than me. As long as he wasn’t lonely and could enjoy his later years, I didn’t care who he was with.

Years passed. Then one night, someone knocked on the door. It was the woman who had left him, now very overweight, standing at the doorstep. My father blocked her from coming in and told her to wait at McDonald’s. He quickly gathered all the money in the house and went to meet her. She tearfully apologized, saying she wanted to come back.
“Once a relationship ends, it can’t start again. Live well wherever you are,” he said.
He gave her the money, and she left, crying. She even called me in New York in the middle of the night, begging me to help change my father’s mind.

“Dad, why don’t you marry one of them? Just get married.”
“Women over fifty often have health issues. If I get married and put them on my family register, they’ll expect me to take care of them. I just want to live a peaceful life. One marriage in my lifetime is enough. That’s the least I can do to honor your mother.”

Saturday, December 3, 2011

비둘기처럼 다정한…

콜록, 콜록콜록밤새 기침하느라 잠을 설쳤다. 머리가 지끈거리고 몸이 무겁다. 어릴 때부터 편도선 때문에 항상 골골했다. 나이 드니 편도선도 있을 곳이 아니라며 내 몸을 떠났는데 찬 바람이 부는 겨울이 시작되면 거르지 않고 기침 감기가 온다

세끼를 집에서 해결하는 삼식이남편에게 밥상도 차려줘야 하는데 해소 기침 소리를 내며 누워 있다. 머리에 흰 끈만 질끈 매면 영락없는 시할머니 모습이다. 

돌아가신 친정엄마가 꿈속에서 내 손을 잡아끌며 어디론가 가자고 재촉했다. 눈을 뜨니 온몸이 땀에 흠뻑 젖었다. 죽음이 별거던가 이러다 죽는 거지. 히잡을 쓴 아랍 여인네 차림으로 온몸을 둘둘 휘감고 약을 사러 밖으로 나왔다. 다리가 후들거리고 뒤통수에서 파도가 밀려오는 듯 온몸을 뒤흔들어 눈앞이 어찔했다. 후줄근한 동네 카페에 앉아 핫초콜릿을 마셨다. 길 건너 양지바른 건물 지붕 끝에 줄지어 앉아 추위를 달래는 비둘기들이 내 모습처럼 처량하고 스산하다

서로 엉겨붙어 지나가는 젊고 건강한 남녀를 멍청히 쳐다봤다. 기분이 묘하다시대의 돌림병인 양 몇몇 남편 친구들은 늙은 마누라와 이혼하고 젊은 여자들과 재혼했다. 그런데 내 남편은 늙은 나와 사느라 얼마나 지루하고 힘들까? 더군다나 해소 기침을 연중행사로 들어가며 살아야 하니. 여자인 나도 한 남자와 평생을 사는 게 힘든데 표현하지 않아서지 아마 속으로는 골골 되는 마누라 팽개치고 싶을 것이다. 남편이 젊은 여자와 눈이 맞아 떠난다고 떼쓰면 어찌 막겠느냐마는.

젊고 예쁜 공주도 아닌 내가 남편이 약을 사다 줄 때까지 누워 있어야 하겠는가? 스스로 일어나 약을 사서 먹는 것이 당연하다. 약국을 향해 휘청거리며 걸었다. 평생을 붙어 다니던 편도선도 늙은 내가 싫다고 떠났는데 남편이 안 떠난다는 보장이 있을까

사는 게 참 치사하고 서글프다. 늙은 여자가 젊은 여자 당할 재간 없고, 못생긴 여자가 예쁜 여자를, 약한 여자가 건강한 여자를, 그렇고 그런 여자가 잘나가는 여자 당할 수 없는 세상 이치가 그러니 어쩌겠는가? 누구를 탓할 일이 아니다. 스스로 알아서 기어야지.

매운탕을 끓이고 가지나물에 김을 가지런히 썰어 밥상을 차렸다
어찌 일어났어?” 
이혼당하기 전에 정신 차려야지.” 
이혼 같은 소리 하네.” 
남편이 내 밥을 듬뿍 퍼주며 
많이 먹고 일어나야지.” 
“Thank 콜록 you~ 콜록콜록.”

Friday, December 2, 2011

Friendly as a dove

Cough, cough cough. I was up all night coughing and barely slept. My head was pounding, and my whole body felt heavy. Ever since I was a child, I’ve always been weak because of my tonsils. Now that I’m older, even the tonsils decided they didn’t want to stay with me anymore and left. But as soon as the cold winter wind starts blowing, I always come down with a coughing cold.

I still had to cook for my husband, who eats all three meals at home like clockwork. But there I was, lying down, coughing like I had whooping cough. If I just tied a white cloth around my head, I’d look exactly like an old village grandma.

In my dream, my late mother appeared and pulled my hand, urging me to follow her somewhere. I woke up drenched in sweat. So this is how it happens—death isn’t such a big deal after all. You just fade away like this.

I wrapped myself up from head to toe like an Arab woman in a hijab and dragged myself outside to buy medicine. My legs were shaking, and it felt like waves were crashing against the back of my head. My vision blurred as I stumbled forward. I sat down in a shabby neighborhood café and sipped a hot chocolate. Across the street, a row of pigeons huddled together on a sunny rooftop, looking just as miserable and cold as I felt.

I watched a young, healthy couple walk by, stuck together like glue. I just stared blankly at them. It gave me a strange feeling. Some of my husband’s friends, as if it were a trend of the times, have divorced their aging wives and remarried younger women. And I thought: how bored and tired my husband must be, living with an aging wife like me. On top of that, he has to hear me coughing all year round. Even for me, living with one man my whole life hasn’t been easy. I don’t say it out loud, but deep down, maybe he wants to leave me too, tired of his sickly wife. 

If he ever falls for a younger woman and insists on leaving, what could I really do to stop him? I’m not some young and pretty princess. Do I really have the right to lie in bed and wait for him to bring me medicine? No. It’s only right that I get up and take care of myself. So I stumbled off to the pharmacy.

Even my tonsils, which stuck with me all my life, left me because they were tired of my old body. What guarantee is there that my husband won’t do the same? Life feels so unfair and bitter sometimes. An older woman can’t beat a younger one. An unattractive woman can’t beat a pretty one.  A weak woman can’t beat a healthy one. An average woman can’t beat a successful one. That’s just how the world works. There’s no one to blame. You just have to figure out how to crawl on your own.

I made spicy fish stew, neatly sliced some steamed eggplant, and laid out the dinner table.
“You got up?” my husband asked.
“I figured I’d better pull myself together before you divorce me,” I said.
“What nonsense are you talking about?”
He scooped a big bowl of rice for me and said,
“Eat up and get better soon.”
“Thank cough you~ cough cough,” I replied.

Saturday, November 12, 2011

위대한 ‘개츠비'

옛날 옛적 한국인 처녀가 태평양 건너 단신으로 뉴욕에 왔다. 처녀는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아 키우며 점점 나이가 들어갔다. 뉴욕에 살 만큼 산 그녀는 또 다른 바다, 대서양을 건너 뉴욕과 다른 세상에 살고 싶어한다.

서울에서 미국 유학을 간다며 학교 리스트를 봤다. 알파벳 ‘A’에서 제일 먼저 시작되는 아델파이 (Adelphi) 대학이 첫눈에 들어왔다. 영화 로버트 레드포드와 미아 페로가 나온 위대한 개츠비 (The Great Gatsby)’ 배경이 롱아일랜드 가든시티  아델파이 대학이 있다는 것이다. 아름다운 영화의 한 장면에 들어가 사는 모습을 상상하니 가슴이 벅차올랐다. ‘그래! 가는 거야. 가든시티로. 그곳에서 나의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거야.’

영화에서 아름다운 집들은 어디로 사라졌는지. 나는 캠퍼스 밖의 허름한 빨간 벽돌 기숙사안내되어 짐을 풀었다. 룸메이트 또한 불루 아이에 블론드가 아닌 얼굴이 아주 검은 아프리카 어느 한 부족 추장 딸이었다. 룸메이트는 내가 상상한 가릴 부분만 옷을 걸치고 몸을 흔드는 맨발의 아프리카인들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사진을 보여줬다. 검은 얼굴과는 대조적인 베이지색 드레스와 양복을 입은 사람들이 호화로운 주택 앞에 서있는 결혼식 사진이었다. 룸메이트는 사진 속의 그녀의 남편을 가리키며 곧 미국에 온다고 했다.

미국, 그것도 뉴욕, 아니 로버트 레드포드가 주연한 위대한 개츠비의 배경인 가든시티에서, 어느 아프리카 추장 딸과 미국생활을 시작하게 되다니! 뭔가 기대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내 인생이 가고 있었다

밤에 자다 일어나 화장실을 가려면 핑크색 루프로 말아 올린 룸메이트의 머리통은 도깨비 머리처럼 울퉁불퉁했고, 검은 얼굴 사이로 나온 하얀 이빨들에서 나오는 광채는 어둠 속에서 도깨비불처럼 빛났다. 머리끝까지 뒤집어쓴 이불 속에서 뜬눈으로 밤을 지새운 후 낮에 보는 룸메이트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점잖고 지적이며 따뜻했다. 학교에서 쇼설 넘버를 받아 은행계좌 여는 것을 도와줬다. 필요한 물건도 함께 사러 다니며 나의 어려운 일들을 거들었다어느 날, 사진에서 본 그녀의 남편이 베이지색 양복을 입고 학교에 나타난 후 우리는 헤어졌다

내 나이 또래의 타일랜드인이 새로운 룸메이트가 되었다. 나와 비슷한 모습을 한 동양인이라는 기대는 하루 만에 무너졌다. 음식 여기저기에 우리나라 파처럼 마구 넣는 진한 실란트로(cilantro) 향내 때문이었다. 냄새가 토할 것처럼 역겨워 기숙사에 있지를 못하고 길거리를 방황했다. 학교 벤치에 우둑하니 앉아 있고, 스쿨버스를 타고 와야 하는 학교와 기숙사 사이를 걸으며 룸메이트의 저녁 식사가 끝나기를 기다렸다

캣츠비영화에 나왔던 아름다운 장면들은 구경 한 번 못한 채 또 다른 곳을 향해 떠나야 했다. 어디론가 가야 한다는 생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잘하면 대서양을 건너가 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엉뚱한 설렘에 어제는 과음했다.

뭐니 뭐니해도 해장으로는 월남 국수가 최고다. 남편 몫의 실란트로까지 잔뜩 넣고 매운 양념장을 골고루 풀었다. 뜨거운 국숫발을 훌훌 불며 입안 가득, 국물을 죽 들이켰다. 실란트로 향기가 입안에 좍 퍼지며 몸으로 번져간다. 그 옛날의 위대한 개츠비를 떠올리며.

Friday, November 11, 2011

The Great Gatsby

Once upon a time, a young Korean woman crossed the Pacific Ocean and came alone to New York. She got married, had children, and slowly grew older. Now, after spending so many years in New York, she dreams of crossing another ocean—the Atlantic—and living in a world different from New York.

Back in Seoul, she looked at a list of schools in the U.S. to study abroad. The first one that caught her eye was Adelphi University, simply because it started with the letter “A.”
She discovered it was located in Garden City, Long Island—the setting for the movie The Great Gatsby, starring Robert Redford and Mia Farrow. The thought of living in a scene from that beautiful movie made her heart race.
“Yes! I’ll go. To Garden City. That’s where my new life will begin.”

But where were the beautiful houses from the movie? She was led to an old, red brick dorm outside campus and unpacked her things. Her roommate wasn’t a blonde girl with blue eyes, but a very dark-skinned woman who looked like she could be the daughter of an African tribal chief. However, the roommate showed her a wedding photo of people wearing beige dresses and suits, standing in front of a luxury house—nothing like the image she had in mind of barefoot tribal dancers. She pointed to her husband in the photo and said he would be coming to America soon.

There she was—starting her American life, not with Robert Redford in The Great Gatsby, but with an African chief’s daughter in Garden City. Her life was heading in a very different direction than she had imagined.

At night, when she woke up to use the bathroom, her roommate’s head wrapped in pink curlers looked like a goblin’s head, and her glowing white teeth against her dark skin sparkled in the dark like ghost lights. But in the daylight, her roommate was a completely different person—calm, intelligent, and kind. She helped her get a social security number, open a bank account, and even took her shopping for essentials. One day, her husband—wearing the same beige suit from the photo—finally arrived, and they parted ways.

Her next roommate was a Thai woman, about the same age. She was excited to be with another Asian who might be more like her. But that hope lasted just one day. The reason? CilantroThat strong smell was in everything her new roommate cooked—just like green onions in Korean food—but ten times stronger. The scent was so nauseating she couldn’t stay in the dorm. Instead, she wandered the streets, sitting stiffly on school benches, walking back and forth between campus and the dorm, waiting for her roommate to finish eating.

In the end, she left, without even getting a glimpse of the beautiful scenes from The Great Gatsby. But the feeling that she needs to go somewhere else still lingers. Maybe one day, she’ll even cross the Atlantic and live in a whole new place. Caught up in that silly excitement, she drank too much last night.

But hangovers are best cured with Vietnamese pho. She added all the cilantro, even her husband’s share, and mixed in plenty of spicy sauce. She blew on the hot noodles and slurped them down, filling her mouth with soup and warmth. The scent of cilantro spread through her mouth and into her body. And once again, she thought of The Great Gatsby, from long ago.

Saturday, October 15, 2011

마누라 미인 만들기

“신문에 난  사진 . 눈이 너무 처졌다.” 
사돈 하네, 바로 옆에 있는 마누라  처 어쩌고. 세상에 나처럼 여자도 있을까?” 
우리 와이프야 자연스럽게 지적으로 쳐졌지.” 
눈에 까풀 남편이 신문을 다가 하는 말을 참말인 양 듣고 좋아하는 나나 남편이나 그 나물에 그 밥 아닌가.’ 

솔직히 말해서 나는 눈이 심하게 처졌다. 무너져 내리는 눈꼬리를 끌어 올리기는 해야 하는데 눈을 고치고 나면 눈과 어울리지 않는 납작한 코도 고쳐야 하고, 처진 은 어찌하고. 보수공사 곳이 한두 군데인가? 엄두가 나지 않아 세월만 보내며 집 앞 뚝방이 무너져 내리기라도 하듯 혼자서 안달복달이다.

거울 앞에 앉아 눈꼬리를 위로 올리며 남편에게 
고쳐? 말아?” 
마음대로 해. 비용은 내가 조달할 테니 확 다른 얼굴로 바꾸던지.” 
옆에서 듣고 있던 큰 아이가 
엄마 얼굴에 손대지 마. 엄마 얼굴이 어때서. 난 얼굴 고친 여자 싫어요. 엄마가 얼굴 고치면 함께 밥 안 먹을래요.” 
 밥은?” 
우리 엄마 같지 않아서 밥맛이 떨어질 것 같아서요.” 

오랜만에 서울로 친정 나들이 간 여자가 공항에 마중 나온 성형한 친정엄마를 알아보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생각났다. 알아보지 못한 것은 둘째치고 엄마가 아닌 그냥 아는 아줌마 같은 느낌에 얼굴 쳐다보기가 민망했단다. 
너도 사돈 남 말 한다. 네 걸 프랜드가 성형했으면 어쩔 건데?” 
어릴 적 사진을 봤더니 지금 하고 똑같아요. 난 여자 사귀기 전에 꼭 어릴 적 사진 보여 달래요” 
아이고 우리 아들 잘났네!” 

나를 닮아 처진 눈을 더욱 늘어뜨리며 작은 아이가 별일 아닌 일로 소란스럽다는 표정이다
네 걸프랜드는 고치지 않았냐?” 
관심 없어요. 고치고 싶으면 고치는 거지요.” 
어릴 적엔 학교에서 타오라는 공부 상이 아닌 코미디 상을 휩쓸며 웃기던 아이가 머리가 컸다고 어찌나 점잖을 떠는지. 무슨 말을 하기가 불편해서야

일단은 눈이라도 올려야겠다. 운동을 오랫동안 해서 그나마 탄력을 아직은 유지하고 있는 몸과 얼굴이 따로 논다는 남편의 한마디가 고치는 쪽으로 마음을 굳히게 했다. 남편의 말이 진심인지 아닌지 확실치는 않지만.

어디 가서 고쳐야 하지? 성형외과가 너무 많다. 친구 남편이 성형외과 의사인데 남편은 아는 사람에게는 가지 말란다. 무료 봉사가 아닌 돈 받고 아는 사람 집수리해 주면 집에 하자가 생길 때마다 두고두고 욕먹는다며. 성형한 내 얼굴에 하자가 생기면 친구 원망할 거 아니냔다. 더 눈꺼풀이 무너지기 전에 가긴 가야 하는데 어디로 갈고나.

Thursday, October 13, 2011

Make a wife beautiful

“Look at this photo in the newspaper. Her eyes are so droopy.”
“You’re one to talk. What about your wife sitting right next to you? Is there anyone in the world with droopier eyes than me?”
“My wife’s eyes are droopy in an intellectual and natural way.”
With hearts in his eyes, my husband looked at the newspaper and said that, and both of us—me, who believed him, and him, who said it—were just two peas in a pod.

To be honest, my eyes are very droopy. I know I need to lift the sagging outer corners, but once I fix my eyes, then my flat nose won’t match, and what about my sagging cheeks? There are too many places that need “repairs.” Just thinking about it wears me out, so I let time pass while I stress over it, like a levee cracking little by little outside our house.

Sitting in front of the mirror, I lifted the corners of my eyes and asked my husband,
“Should I fix them or not?”
“Do whatever you want. I’ll cover the cost—go ahead and change your face completely if you want.”
Then my older kid, overhearing us, jumped in:
“Mom, don’t touch your face! What’s wrong with your face? I don’t like girls who get plastic surgery. If you get work done, I won’t even eat with you.”
“What does eating have to do with anything?”
“You won’t feel like my mom anymore, and I’ll lose my appetite.”

That reminded me of a story—about a woman who flew to Seoul to visit her family and didn’t recognize her own mother at the airport because her mom had plastic surgery. Worse than not recognizing her, she said it felt awkward to look at her mom’s face—it felt like she was just some random lady.

“You’re no better,” I told my older kid. “What if your girlfriend got plastic surgery?”
“I’ve seen her baby photos. She looks exactly the same. I always ask to see childhood pictures before I start dating someone.”
“Well, aren’t you picky!”

My younger kid, who has droopy eyes just like mine, looked unimpressed by all the fuss and rolled his eyes.
“What about your girlfriend? Hasn’t she had work done?”
“I don’t care. If she wants to fix something, that’s up to her.”
This kid used to win comedy awards at school—not academic ones. But now he’s all grown up and acts so serious that it’s hard to talk to him about anything.

In any case, I’ve decided to fix my eyes. My husband once said my face and body look like they belong to different people. I’ve worked out for years and kept my body in shape, so hearing that pushed me to make up my mind. I’m not sure if he meant it sincerely—but still.

But where should I go? There are so many plastic surgery clinics. A friend’s husband is a plastic surgeon, but mine says not to go to someone we know. He says, 
“It’s not volunteer work. If you pay a friend to fix your house and something goes wrong, you’ll hold a grudge forever. Same with surgery—if something goes wrong with your face, you’ll blame your friend.” 
really should go get it done before my eyelids sag even more… but where?

Saturday, September 3, 2011

장바구니 든 남자

꼭 살 것만 사서 빨리 나와.

차에 앉아 신문 보며 재촉할 줄 알았던 예상을 뒤엎고 남편은 카트를 끌고 앞장섰다. 나는 종종걸음으로 따라가다 방향을 달리해 세일 품목을 찾아 여기저기 기웃거린다. 남편은 채소 부로 직행했다가는 생선 부에서 오랫동안 머무른다. 

남편은 70년대 이민 초기 단 며칠간 채소 가게에서 일 한 기억을 살려 고무밴드로 묶어 놓은 파의 흰 부분을 쥐어서 굵은 단을 고르고, 배춧속을 눌러보고, 수박을 두들기며 싱싱하고 맛 좋은 것을 고르느라 애쓴다. 결국, 수박을 옮기다 박살 내는 바람에 쫓겨난 실력이지만. 생선 고르는 남편의 모습은 신중하다 못해 심각하다. 생선의 눈 그리고 때깔도 보지만 손으로 눌러보고 제쳐보고 골라 놓고는 만족한 듯 비린내 나는 손을 미꾸라지 꾸물대는 물통에다 헹군다.

함경도가 고향인 시집식구들의 생선에 대한 열정은 대단하다. 시어머니는 장 볼 때마다 가자미를 사다 신문지를 깔고 구부리고 앉아 한나절은 다듬는다. 소금에 절여 식혜도 만들고 작은 텐트처럼 생긴 망에 넣어 생선이 꾸둑꾸둑할 때까지 말린다. 식탁에서 시집식구들은 생선 먹는 소리 이외는 아무 대화가 없다. 생선 눈알, 껍질, 생선살 한점도 남기지 않을뿐더러 생선 머리 또한 형체도 없이 해치운다. ‘동물의 왕국을 연상하면 된다. 사자에게 잡힌 얼룩말이 본래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이 해체되듯 나는 젓가락만 든 하이네가 되어 남편 눈치만 볼뿐이다. 가끔은 몰두해 먹다가 미안한지 커다란 살점을 떼어 줄 때도 있다.

정육점 선반을 기웃거리는 내가 못마땅한지 고기를 싫어하는 남편 이마에 팔자 주름이 선명해지며 나를 삐딱한 눈으로 쳐다본다
세일도 안 하는 고기를 왜 집어.”
깜짝 놀라 돌아보니 옆에서 갈비 한 팩을 들던 어느 중년 여자 남편의 외침이었다. 주위에서 장 보던 아낙들이 놀라 돌아다보며 소리죽여 킥킥거렸다. 들었던 갈비 팩을 슬그머니 내려놓는 여자와 왠지 난 같은 배를 타고 향해 하는 동료의식에 씁쓸했다.

좋지도 않은 라면을 왜?” 
인상 쓰며 째려보는 남편의 눈길을 피했다. 가뭄에 콩 나듯 하는 남편의 저녁 외출 때, 밥할 걱정 없이 라면을 끓여 냄비째 놓고 TV 보며 한가로이 먹고 싶어선데. 라면의 얼큰하고 시원한 국물이 식도를 내려갈 때 한동안 쌓였던 스트레스도 함께 쓸려 내려가는 듯한 기분을 맛보기 위함인데. 남편이 다른 곳에 신경 쓸 때, 라면 한 팩을 슬쩍 카트 깊숙이 담았다.

껍질을 벗겨 다듬어 놓은 가자미를 보자 구세주를 만난 듯 몽땅 도리 했다. 가자미가 집안 냉동실에 가득 찼다. 한동안은 찬거리는 물론 식사 준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가자미만 있으면 남편은 행복하다. 조려 먹고, 지져 먹고, 튀겨 먹고, 먹고 싶은 데로 점심에도 저녁에도 꺼내 먹는다. 끌고 다니는 애완견 주인들 모습이 개와 닮았듯이 넓적하게 생긴 남편은 넓적한 가자미가 그리도 좋을까! 난 꽁치가 더 좋던데. 그리고 보니 나는 꽁치처럼 생겼네

Friday, September 2, 2011

A man with a shopping cart

"Just buy what we need and come out quickly."
I expected my husband to stay in the car reading the newspaper and rush me, but instead, he surprised me by grabbing a cart and leading the way. I walked fast to keep up with him but soon wandered off to look at sale items in other aisles. My husband went straight to the vegetable section and then spent a long time at the fish counter.

He once worked at a vegetable store for a few days when he first immigrated in the 1970s. Using that old memory, he squeezed the white part of green onions tied with rubber bands to choose the thickest bunch, pressed napa cabbage to check for freshness, and tapped watermelons to find the best one. He once got kicked out of a store after dropping and smashing a watermelon! Still, when picking fish, he becomes extremely serious—he checks the eyes and color of the fish, presses and flips them, then finally chooses one. He rinses his fishy hands in the tub where live fish are swimming, looking very satisfied.

My husband’s family is from Hamgyeong Province in North Korea, and they have a real passion for fish. Every time my mother-in-law goes shopping, she brings back flounder, lays out newspaper on the floor, squats down, and spends the whole afternoon cleaning them. She salts them, makes fermented rice drinks with them, and dries the fish in net bags shaped like small tents until they become chewy.

At the dinner table, no one talks. They focus only on eating fish. They don’t leave behind a single piece—no eyes, no skin, no meat, not even the fish head. It’s like watching a scene from Animal Kingdom. Imagine a zebra torn apart by lions until it’s unrecognizable—that’s what it’s like. I just sit quietly, like a guest with chopsticks in hand, watching my husband. Sometimes, he feels a little sorry and gives me a big piece of fish.

When I stop at the meat section, my husband frowns. He hates meat and looks at me sideways with wrinkles deepening on his forehead.
“Why are you picking meat that’s not even on sale?”
I turned around, startled, only to find out a man was yelling at his wife holding a pack of ribs. The women nearby giggled quietly. The woman who was holding the ribs slowly put them back, and somehow I felt a sad kind of friendship with her—as if we were in the same boat.

“Why are you picking up ramen that is not good for your health??”
He glared at me. I looked away. I just wanted to eat ramen one evening when he goes out, without having to cook a full dinner. I imagined eating straight from the pot while watching TV—feeling relaxed as the spicy broth went down and washed away the stress. I waited for him to get distracted and then quietly slipped a pack of ramen deep into the cart.

When we saw pre-cleaned flounder, he lit up like he saw his savior and bought them all. Now our freezer is packed with flounder. For a while, I don’t need to worry about what to cook. As long as he has flounder, he’s happy. He steams it, fries it, braises it—eats it for lunch and dinner, however he wants. People say pet owners start to look like their pets. My husband, with his flat face, really does resemble his favorite flounder! As for me, I like mackerel better. Come to think of it, maybe I look like a mackerel!

Saturday, August 6, 2011

너싱홈 블루스

상의를 하얀 옷으로 통일한 22명의 단란한 가족사진이 어두운 원룸에 걸려 있다시어머니와 시아버지, 다섯 명의 딸과 아들, 다섯 명의 사위와 며느리 그리고 10명의 손주가 담긴 사진이다. 그 가족사진을 끝으로 더는 다 함께 찍지 않았다. 증손주가 있는 가족사진은 없다.

시아버님은 오래전부터 매년 가족사진 찍기를 즐기셨다. 가족이 모두 모여 화목한 시간을 갖고 늘어난 가족의 사진을 담기 위해 해에 뉴욕에 사는 우리에게 아예 발뺌을 못 하게 비행기 표를 보내주셨다LA 시집에 도착하기가 무섭게 아이들은 트리가 우거진 뒤 뜰 수영장으로 뛰어들며 사촌들과의 해후를 즐겼다. 요리하는 것을 즐기는 시아버지는 손주들을 위해 장만한 음식을 들고 바삐 움직이며 뿌듯한 표정을 지으셨다.

매년 사진에 담긴 팜 트리 밑의 화기애애했던 남편 형제들이 자라고 모였던 집은 지금 없다. 시아버지가 돌아가신 시어머니는 집을 팔고 원룸에서 혼자 사신다. 시어머니의 눈이 어두워지자 예전의 광채 나던 시집의 모습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적지 않은 노인들이 길을 잃고 집을 찾지 못하는 것이 현재 사는 곳은 기억 못 하고 예전에 살았던 곳의 기억만을 더듬다가 길을 잃고 헤맨단다. 시어머니도 최근 일은 기억 하고 옛날 남산 밑에 살면서 폭격으로 처참해진 광경을 아직도 엊그제 일인 생생하게 이야기하고  하는 것이 심상치 않다.

친구의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혼자 계신 아버지를 누군가가 모셔야 했다. 어느 형제도 모시려 하지 않자 막내인 친구가 
아버지 양로원에 가면 좋데요.” 
먼저 말을 꺼내자 다른 형제들도 용기내어 아버지를 설득했다. 한인이 운영하는 곳 만원이고 오래 기다려야 하므로 외국인 너싱홈으로 셨다아버지를 너싱홈에 맡기고 괴로워하는 친구와 함께 방문했다. 엘리베이터 문이 열림과 동시에 수많은 노인의 방문객을 향한 눈빛에 놀랐다. 엘리베이터를 타려고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혹시 오늘은 오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품고 가족을 기다리는 노인들이었다.

친구 아버지는 너싱홈에서 밥을 준다.’ 배고프다고 하소연 하셨다. 방금 식사하는 것을 봤는데 아버지가 정신까지 놓으신 아닌가 걱정하며 집에 오는 길에 생각해보니 아버지가 말하는 이라는 것이 한국 음식을 말하고 있음을 깨달았다. 즐기는 담배도 피울 수 없었다. 언어소통도 불편했다. 모든 불편함에 노인이 소리를 지르니 양로원 측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노인을 제압했으리라는 것을 보지 않아도 느낄 수 있었다. 양로원에 들어가기 전엔 건강했던 친구 아버지는 '늙으면 밥심으로 산다.'는데 한국 식사도 못 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도  하고 얼마 후에 돌아가셨다.

시어머니를 보는 순간 친구의 이야기가 나의 이야기로 다가오고 있음을 느꼈다. 가장 믿는 며느리인 나에게 
내가 아프면 어찌해야 하느냐?”
고 물으셨다. 나의 구체적인 방안을 기대하는 시어머니에게  
어머니 걱정하지 마세요. 아직 건강하신데요.”
라고 나는 책임을 회피하는 대답을 했다어머니 죄송해요. 제가 어머니를 돌볼 테니 남은 삶을 편히 사세요.’라고 말할 수 없어서

Friday, August 5, 2011

Nursing home blues

A warm family photo of 22 people, all dressed in white clothes, hangs on the wall of a dark one-room apartment. In the picture are my parents-in-law, their five children, five in-laws, and ten grandchildren. That was the last photo we ever took together. There are no family pictures with great-grandchildren.

My father-in-law loved taking family photos every year. To make sure everyone came together, he would even send us plane tickets from New York. As soon as we arrived in LA, the kids would run to the backyard pool, happy to see their cousins again under the palm trees. My father-in-law, who loved to cook, busily carried the food he had prepared for his grandchildren, smiling with pride.

The cheerful house where my husband and his siblings grew up, full of love under the palm trees, is no longer there. After my father-in-law passed away, my mother-in-law sold the house and now lives alone in a small studio apartment. Her vision is getting worse, and the bright, joyful atmosphere of the old family home is now gone.

Many elderly people forget where they currently live and only remember places from the past. This leads them to get lost. My mother-in-law is the same. She can’t remember recent events, but she clearly remembers living near Namsan and the tragic bombings during the war, as if it just happened yesterday. She talks about it often.

A friend of mine lost her mother, and her elderly father needed someone to take care of him. None of her siblings wanted to take him in. So the youngest sibling finally said,
"Maybe it's best if Dad goes to a nursing home."

Since Korean-run facilities were full and had long waitlists, they placed him in a non-Korean nursing home. When I visited with my friend, I was surprised by how many elderly people were just waiting near the elevator. They weren’t trying to leave — they were simply hoping, “Maybe today, someone will come visit me.”

My friend’s father complained, “They don’t feed me,” even though we had just seen him eat. At first we thought he was confused. But on the way home, we realized he meant he couldn’t eat Korean food, which was what he considered a real meal. He couldn’t even enjoy smoking, something he liked. He couldn’t speak the language either. With all these frustrations, he often yelled. And though we didn’t see it, I could imagine the staff using various ways to control him. Before entering the nursing home, he had been in good health. But without Korean food, unable to adjust to a new life, he passed away not long after. 

When I saw my mother-in-law, I felt my friend’s story could soon be mine. She looked at me, the daughter-in-law she trusts the most, and asked,
“What will happen to me if I get sick?”
She was looking for a real answer. But all I could say was,
“Don’t worry, Mom. You’re still healthy.”
I avoided the responsibility. I couldn’t bring myself to say,
“Mom, I’m sorry. I’ll take care of you. Please spend the rest of your life peacefully.”

Saturday, July 9, 2011

장사꾼과 봉투

친정 집에서 내려다보면 큰 울안에 주홍색 감이 탐스럽게 열린 집이 보였다. 그 집에 얼굴이 희고 점잖은 아저씨가 음악 선생님이다. 사모님도 키가 훤칠하고 빼어난 미모로 동네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집이다. 우리 아버지도 선생님이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오래전, 아버지도 한때는 수학 선생을 하려 했으나 조직 생활이 맞지 않아 포기하셨다. 자격증을 친구에게 넘기고(팔고?) 장사꾼이 됐단다. 엄마 뱃속에서 나온 내가 갑자기 환한 세상을 보고 놀라 울부짖던 그 순간에도 아버지는 돈을 세고 있지 않았나 할 정도로 친정아버지는 천생 장사꾼이다.

대학 졸업 후 부지런히 이력서를 여기저기 내봤지만 오라는 곳이 한 군데도 없었다취직이 안 되면 장사라도 하랄까 봐 선생이 되는 순위고사를 보려고 공부를 열심히 했다

아버지 아무래도 서울 순위고사는 힘들 것 같아요. 경기도 순위고사를 볼까 봐요. 
다른 사람도 다 너 같은 생각으로 경기도 순위고사를 본다고 그곳으로 몰릴 거. 이럴 때 너는 서울 순위고사를 보는 거야. 
아버지 말이 맞았다. 경쟁률이 오히려 경기도가 높았다. 난 운이 좋게 높은 순위 안에 들어 집에서 가까운 남자 중학교 교사로 채용됐다.

이수임 선생님 혹시 아버지 성함이? 
발령받고 얼마 있지 않아 교무주임이 물었다.
어떻게 우리 아버지를. 
나 몰라요? 
모르겠는데…” 
감나무 집! 
생각이 났다
"코흘리개가 커서 이렇게 선생이 되다니 혹시나 해서 선생 기록부를 보니.

담임도 맡지 않은 나에게 물 공세가 쏟아져 나를 곤란하게 하는 일이 종종 생겼다. 다른 과목은 시험으로 결정이 나는데 미술과 음악은 선생님의 재량으로 점수가 매겨진다. 공부를 잘하는 아이도 예능점수가 낮으면 평균점수가 낮아지므로 타격이 크게 작용하는 과목이라는 것이다. 돈 봉투를 거절하니 제일모직니트 원피스를, 사파이어 목걸이를, 랑콤 화장품을 학부형들로부터 전해 달라고 담임 선생님들이 가져왔다. 받지 않겠다고 극구 사양해도 자기 체면을 봐서라도 받아달라며 놓고 갔다

뇌물을 준 대부분 학생이 공부도 잘하지만 그림도 잘 그려 높은 점수를 줘야지 했던 학생들이다. 아이들이 뇌물을 받은 내 속을 훤히 들여다보는 것 같아 가까이 가서 지도하기가 불편했다. 높은 점수를 주는 것도 망설여져 괴로웠다. 결국엔 물이 아이에게 역효과를 가져왔다. 뇌물을 거절하면 담임선생님들과의 인간관계가 힘들어지고 받자니 아이들의 시선이 두려웠다.

안정된 직업도 있겠다. 결혼해서 행복하게 사는 길만이 남았는데 점점 학교 가기가 싫어졌다. 결국, 나도 그 아버지의 딸로 조직생활을 견디지 못하고 유학을 핑계로 학교를 떠났다.

유학 중 한국을 방문했을 때, 감나무 집 선생님을 찾아갔다. 사모님이 주시는 차를 마시며 함께 했던 선생님들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명절 때인지 학부형으로부터 선물이 배달된 모양이다. 80년대 초 선물로는 마이크로 오븐이 대세였는지 
옆 선생은 마이크로 오븐도 받았다던데 마이크로 오븐은 없나?
라는 선생 말에 조용히 찻잔을 놓고 바삐 갈 곳이 있다며 나왔다.

주렁주렁 매달린 나무 사이 사이로 보이는 파란 하늘을 올려다보며 아버지가 자주 하던 이야기가 생각났다. 누가 뭐래도 장사꾼이 제일 양심적으로 돈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