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July 26, 2014

어제는 여기에 있었지만

오늘이 마누라 생일이지?” 
아이고머니나! 내 생일을 다 기억하고 결혼 30년 만에 처음이네.” 
남편이 어떻게 해주겠다는 다음 말을 기다리지만 아무 말이 없다

고마워 그동안 하루하루가 생일인 것처럼 잘해줬는데. 이 산딸기로 충분해.”
잘 익은 산딸기를 한 움큼 받아들고 이만한 생일 선물이 과연 있을까 싶다. 요즈음 아침마다 걷는 산책 길가에 산딸기가 한창이다. ‘산딸기 있는 곳에 뱀이 있다.’던 옛이야기가 생각나기도 하고 혹시 티켓을 받을까 봐 나는 길가에 서 있고 남편은 숲을 헤집고 산딸기를 따서 잘 익은 것을 골라준다. 
더 따줄까?” 
됐어요. 내일 먹을 것을 남겨 놔야지.”

오늘이 내 생일인데.” 
일 년에 마누라 생일이 도대체 몇 번이야? 어릴 때 난 말만 꺼내도 할머니와 엄마한테 혼났어. 이북사람은 생일 안 챙겨.” 
그렇게 나의 생일이 남편의 초 치는 한마디에 묻어 사라졌었다. 그런데 웬일로 남편이 먼저 물으니 감격할 수밖에. 안 하던 짓을 하는 남편을 새삼스럽게 쳐다보니 머리는 백발에 주름이 주렁주렁, 늙어서 기가 빠졌나? 그도 그렇겠지 남자로 태어나 세 식구를 먹여 살리느라 얼마나 힘들었을까?

파티, 선물 그런 번거로움보다는 산딸기를 한 움큼 따서 주는 남편이 곁에 있다는 자체가 생일 선물이다.

뛰기도 하고 남편과 함께 걷기도 했던 아침 산책의 걸음걸이가 점점 뒤처진다. 왼쪽 허리가 언덕을 오를 때 쑤셔서다. 뒤돌아보지도 않고 쏜살같이 사라져가는 남편의 등을 보면 얄미워서 따라가 잡고 그냥 머리통이라도 한 대 갈기고 싶었던 때가 있었다. 지금 남편은 뒤돌아도 보고, 기다려도 주고, 빨리 오라고 손짓도 한다.

이렇게 멀어지다 어느 날 남편이 뒤돌아봤을 때 시야에서 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닌지? 남편 또한 내 시야에서 영영 볼 수 없는 곳으로 가버리는 것은 아닐까? 따라잡을 수는 없어도 등을 보고 걸을 수 있는 것만도 감사하다. 얄미웠던 남편의 등이 어두운 밤길을 밝혀주는 등불 같다.

"다음 세상에도 남편과 함께하기를 원하느냐?"
고 묻는다면 굳이 그러고 싶지는 않다온몸을 가시로 두른 선인장 같은 남편, 가까이 다가가 물을 주고 관심을 기울이면 귀찮아하며 시들시들해진다. 돌보지 않고 무심하면 관심을 끌려고 말라 비틀면서 꽃을 피운다. 가까이도 멀리도 할 수 없는 까다로운 당신(뒤틀이)이기에 이생에서만. 다음 생은 바람이 되어 혼자 자유롭게 떠돌고 싶다.

우리는 모두 죽음에 가까이 가고 있다. 아무리 발버둥 쳐봐야 영원히 살 수 없다
어제는 여기에 있었는데.’ 
후회하지 말고 지금 저 멀어져가는 얄미웠던 등을 사랑해야지.

Friday, July 25, 2014

I am here yesterday, but

"Is your birthday today?" "Oh my god! You remember my birthday for the first time in 30 years of marriage." I’m waiting for my husband to say what he will do for me, but he says nothing. "Thank you. Every single day has been good as if it was my birthday. This raspberry is enough for the birthday gift."

Is there any good birthday present that is as good as the ripe raspberry that my husband picks? These days, raspberries are in full bloom on the promenade that I walk every morning. I remember the old story of 'There is a snake in the place of a wild raspberry,' I stand by the side of the road and my husband picks the ripe raspberries from the woods. "Do you want more?" "No thanks. I'll leave something to eat tomorrow."

"Today is my birthday." "How many times is your birthday in a year? When I was a child, my grandmother and my mother scolded me if I was talking about birthday. The North Koreans do not have a birthday party." So my birthday was buried in a word of my husband. However, my husband mentions my birthday for the first time, so I am so shock. I look at my husband. His hair was white and lost his bad temper. How hard was he to feed families?

Rather than having a party or a gift, it is birthdays present that the husband who is picking up a bunch of wild strawberry is besides me.

I am gradually behind in my morning walks that I used to walk with my husband, because my left heap aches as I climb up the hill. There was a time when I wanted to grasp and hit his head that was disappearing without looking back. But now he is looking back, waits and gives a hand to come soon.  

Isn’t it that I disappeared from sight when he looks back? Isn’t he also going away from my sight where I can’t see him forever? Even if I can’t catch up him, I am grateful that I can walk and see his back. My husband's back is like a lamp that lights up a dark night road.

If someone asks, 'Do you want to be with your husband in the next life?' I don’t really want to. The cactus with thorns the whole body, if I gets closer and gives water and cares it becomes be annoying and withered. When it does not take care of it, it tries to attract attention, and it blooms. My husband is as difficult as a cactus that I can’t get close or far to him. I want to live my next life freely like the wind.

We are all dying. I can’t live forever, no matter how I struggle. Do not regret that "you were here yesterday." I am happy to be with my husband even if he is walking far away.

Saturday, July 19, 2014

자살 소동

"혹시 친정엄마가 자살하지 않았어요?"
서울에 사는 지인이 동네 사람에게 들은 이야기라며 뜸을 한참 들이더니 한다는 말에 어이가 없었다.

나는 엄마의 임종을 보지 못했다. 서울 집에 전화할 때마다 엄마는 절에 갔다고 했다. LA에 사는 사촌이 서울집에 무슨 일이 있는 것 같다는 말을 흘리면서 연락해 보라기에 혹시 
엄마에게 무슨 일이?’ 
하는 직감에 전화해서 꼬치꼬치 묻자 두 달 전에 돌아가셨다는 것이다.

엄마가 세상에 없단다. 그것도 내가 모르고 지낸 두 달 전부터. 화를 내거나 매를 든 적이 없이 나를 사랑하던 엄마를 더는 볼 수 없다니! 허구한 날 화장실에서 울며 지내다 3년 후 첫아이를 낳자 안정을 되찾긴 했다. 지금도 꿈속에서는 이 사찰 저 사찰로 찾아 헤매는 엄마의 죽음이 자살이었다니!

"친정엄마의 임종 때 없었고, 쉬쉬하다 두 달 후에나 알려 줬으니 혹시 본인만 모르는 일이 아니냐?"
"말도 안 되는 소리 하지말아요.".
버럭 화를 내려다 갑자기 멀어져 가던 하얀 구급차가 생각났다.

우리가 사는 건물 3층에 딸아이 하나 있는 부부가 살았다. 이 부부는 허구한 날 싸웠다. 물건 내던지는 소리와 여자의 비명, 아이 우는 소리가 이어지다 문이 꽝 닫치고 남자가 나가면 여자는 흐느껴 울곤 했다
"남편이 바람난 여자와 살려고 헤어지자고 때려서 죽고 싶어요."
하소연하는 그녀를 우리 엄마가 달래곤 하는 이야기를 숨죽여 엿듣곤 했다.

어느 날 학교에서 돌아오다 건물 앞 하얀 구급차 주위에 사람들이 모여 웅성거리고 아줌마가 사는 아파트 문이 훤히 열려 있었다. 나는 호기심에 아무도 없는 집 안으로 들어갔다. 하루건너 물건 부서지는 소리 우는 소리를 들으며 상상했던 집안이 궁금해서 들여다보지 않을 수 없었다들어서자마자 벽에 묻은 신선한 붉은 핏자국을 보고 섬뜩했다. 수도 없이 긁어댄 손바닥 모양의 핏자국은 벽을 따라 이어졌다. 죽음이 임박해서 살려고 애썼던 흔적들인 듯했다. 창문을 닫고 가스를 틀어 놓고 자살한 것이다.

아줌마가 죽고 얼마 후 아저씨는 앓든 이를 뽑아 버린 듯 후련한 모습으로 화장을 곱게 한 여자와 시시덕거리며 건물 앞을 지나다녔다. 훗날 어른들 말에 의하면 그 여자와 살림을 차렸다고 했다
"엄마 아빠가 싸울 때마다 복도에 나와 울던 아이는?” 
하고 물었던 기억이 퍼득났다.

거의 40여 년이 다 돼가는 옛적 자살 소동이 아직도 사람들 입에 오르내린다는 것도 신기하지만 3층 아줌마의 자살이 4층 우리 엄마에게로 와전되다니아동 소설책에 흔하게 나오는 사설탐정이라는 직업에 관심이 많았던 어린 시절 이웃집과 일가친척들에게 일어난 온갖 사건들을 두루 참견하고 어찌 해결되는가를 지켜보았기에 망정이지 남의 일에 민감한 동네 아줌마들 입방아에 찧어질 뻔했다.

Friday, July 18, 2014

A suicide disturbance

"Did your mother kill herself?"
I was shocked when a friend from Seoul said this. She said she had heard it from someone in the neighborhood and waited a long time before bringing it up.

I didn’t see my mother when she passed away. Every time I called the house in Seoul, they said she had gone to the temple. One day, my cousin in LA told me something seemed wrong at the Seoul house and suggested I check in. I had a strange feeling and called again. After I asked many questions, my father finally told me—my mother had passed away two months ago.

She was gone. And I didn’t even know for two whole months. I couldn’t believe I would never see my mother again—the one who loved me so much and never yelled or hit me. I cried in the bathroom every day. Three years later, after I had my first child, I slowly began to heal. But now someone was saying my mother died by suicide? I still dream of her, wandering from one temple to another.

"You weren’t there when your mom died, and they only told you after two months. Maybe there’s something you don’t know?"
"Don’t say such a terrible thing!" I wanted to shout, but then I suddenly remembered the white ambulance driving away.

A couple with a daughter lived on the third floor of our building. They argued all the time. We often heard things breaking, the woman screaming, and the child crying. Then the man would slam the door and leave, and the woman would cry quietly.
"My husband wants to leave me for another woman. I want to die," 
she once said. My mother used to comfort her, and I would listen quietly from the side.

One day, coming home from school, I saw people gathered in front of our building. A white ambulance was parked there, and the door to the third-floor apartment was wide open. I was curious and went inside. I had always imagined what the apartment looked like because of all the noise. Inside, I was shocked. There were fresh red blood stains on the wall. Handprints smeared along the wall showed she had tried to stop herself from dying. She had closed the window, turned on the gas, and taken her own life.

A short time after her death, her husband walked around in front of the building smiling, holding hands with a woman with makeup. Later, I heard from adults that he started a new life with that woman.
I also remembered asking, “What happened to the little girl who used to cry in the hallway when her parents fought?”

It’s amazing that people still talk about what happened nearly 40 years ago. But it’s even more shocking that people mixed up the third-floor woman’s suicide with my mother on the fourth floor. As a child, I loved reading mystery novels and wanted to be a detective. I used to watch and get involved in stories of neighbors and relatives. That helped me avoid getting caught up in gossip spread by the neighborhood ladies.

Saturday, July 12, 2014

쑥 타령 후편

쑥 티와 족욕이 좋다는 나의 쑥 타령글로 인해 나는 강적을 만났다

그늘에 말린 인진쑥의 붉은 줄기까지 끓여 수시로 마신다는 독자 그리고 그녀의 남편은 내가 즐기는 족욕이 아니라 공기욕( 알몸을 햇볕에 내놓고 뛰는)을 한다는 숲 속을 찾아가서.

아름드리 거목으로 둘러싸인 입구에 독자의 남편이 얼룩무늬 군용 복을 입고 트랙터에 앉아 우리를 맞았다. 끝이 말려 올라간 눈썹 밑에서 예리하게 빛나는 눈빛, 단단한 몸매, ‘한때 영화배우가 아니었을까?’ 하는 호기심으로 트랙터 뒤에 매달은 달구지에서 한동안 흔들리며 숲으로 들어갔다. 여기저기에 조각 작품이 흩어져 있는 넓은 공터가 나타났다. 그 조각 중의 한 작품인양 독자는 어안이 벙벙한 채 머뭇거리는 우리를 반갑게 맞았다.

독자는 나보다 6살 많고 그녀의 남편은 띠동갑이었지만, 보톡스를 맞지 않았나 착각할 정도로 머리숱도 엄청 많고 피부가 탱탱했다. 시궁창 도랑에 사는 물고기와 망망대해에 사는 물고기의 차이랄까? 혼탁한 대도시에 사는 우리와는 달리 맑은 공기 속에서 무공해 채소를 가꾸며 짙은 숲을 거니는 자연인이다. 전기도 없이 이동 하우스에 살며 태양광선을 받아 밤에만 잠시 사용하고 냉장고도 없이 촛불을 켜고 산다니!

점심을 먹으며 들려주는 진솔하면서도 유머감각이 넘치는 이야기는 어디에서도 비슷하게도 들어본 적이 없는, 아니 이럴 수가? 이런 일이? 영화로 만들면 좋게 구나 생각하다 아니 영화로는 짧아서 연속극으로.

사슴들이 갑자기 나타났다 사라지는 우거진 숲에서 엉덩방아를 찧으며 달구지에 온몸을 휘둘리다 돌아온 우리 부부는 저녁도 거르고 잠에 빠졌다가 새벽에 눈을 떴다. 깨끗한 공기를 맡아서일까? 배가 전혀 고프지 않았다. 밥에 물을 말아 그녀가 싸준 온갖 장아찌들을 상에 죽 늘어놓고 무슨 맛인가를 천천히 음미했다. 독자 부부의 모습을 새록새록 떠올리면서.

도시 정원수와는 대조적으로 떨어질 듯 수줍고 겸손한 모습으로 숨어서 빠끔히 내다보는 작은 잡초 꽃들이 신기하다며 보여주던 그녀, 살아보니 다 필요 없고 자연 속에서 마음 편히 사는 것이 최고라던 남편분을 통해 나의 온실과도 같은 대도시의 삶은 보잘것없는 번거로움의 연속이 아닐까

그들의 파란만장한 인생사를 누군가가 기록해 놔야 하는데하는 안타까움이 들었지만, 나로서는 전하려 해도 전할 수 없는 이야기라 일기장에 묻었다
아 나도 이분들처럼 살면 더 좋은 글이 나올 텐데.’
아쉬움으로 한 보따리 얻어 온 어째 절간 냄새 같기도 한 쑥 냄새를 맡으며 새벽을 맞았다

Friday, July 11, 2014

The latter part of mugwort’s song

I met a strong opponent because of my 'mugwort’s song writing on Newspaper that says I have good taste in mugwort tea and footbath is good. The reader drinks the boiled red stalks of dried wormwood in the shade. Her husband runs in the forest to enjoy air with a naked body instead of a footbath I enjoy.

At the entrance surrounded by giant trees, the reader's husband who sat on a tractor wearing a camouflage uniform greeted us. His eyes shone sharply underneath his thick eyebrows. His solid figure, I was wondering if he was once a movie star. We went into the forest, shaking for a while in a cart hanging behind the tractor. A wide-open space with sculptures scattered all over the place. The readers like one of the sculptures welcomed us. My husband and I vacantly dumbfounded.

The reader is six years older than me, but she has a lot of hair and her skin is resilient enough to misunderstand that she was mistaken for Botox. Is it the difference between a fish living in ditch and a fish living in an ocean? Unlike us who live in a busy metropolis, they are natural people who grow vegetables without pollution in clear air and walk through dense forests. Living in a mobile house without electricity, using sunlight and lighting candles without a refrigerator!

I have never heard have true and humorous stories while eating lunch. How could this be happen? Was this really happening? I think it would be good to make it into a movie.

In the thick forest where the deer suddenly appeared and disappeared, we sat on the cart and smashing our buttocks and flapping our whole body on the cart we came back home. We were skipping dinner and falling asleep. I woke up at dawn. Was it taking on clean air? I wasn’t hungry at all. I poured water on steamed rice slowly appreciate the taste of all kinds of pickles that she wrapped. Remembering the image of the reader’s couple.

In contrast to urban gardening, shy, modest figure of weeds are amazing. The reader’s husband who told me that they don’t need everything and that it is the best to live comfortably in nature? It occurred to me that isn’t my life in a big city like a greenhouse a series of insignificant hassle?

Saturday, July 5, 2014

불꽃놀이 사랑

야그들 대단하네! 남산에서는 한 방 터지고 한참을 기다려야 또 한 방인데 쏘나기 퍼 붙는 것이 마~ 전쟁터가 따로 없네!”

브루클린 그린포인트 이스트 강가, 내가 살던 곳에서는 독립 기념일마다 불꽃 구경을 한다며 지붕으로 올라가는 요란한 소리가 나곤 했다. 뉴욕에 와서 이곳저곳 옮겨 다니며 살다 운 좋게도 불꽃 구경을 바로 머리 위에서 하는 곳에 살았다.

길거리엔 구경하기 좋은 곳을 찾아 우왕좌왕 흥분한 사람들로 넘쳐났다. 우리는 한 층만 올라가면 볼 수 있는 지붕 밑에 산다. 생전에 무얼 해도 이기거나 당첨되는 일이 없던 나에게도 구경 복만은 있었나 보다 .

불꽃이 얼굴을 향해 떨어지듯이 퍼붓다 마지막 몇 분간은 남은 폭약을 몽땅 쏟아붓는지 쉴 틈 없이 터지는 것이 그야말로 전쟁터가 따로 없다. 이렇게 우리의 74일 불꽃 구경은 1984년부터 이어졌다. 길다면 긴 에피소드가 많다. 불꽃을 혼자만 보기 아까워 그동안 수많은 사람과 보며 즐겼다. 함께 했던 지인들을 돌이켜 보니 이미 저세상으로, 한국으로 돌아 간 사람들도 꽤 된다.

지붕에 올라가 어둠 속에서 불꽃 구경하는 이 친구 저 친구의 뒤 모습을 관찰하는 것 또한 그날의 즐거움이다. 특이한 점이 서로 죽고 못 살 것처럼 진한 감정을 드러내며 좋아서 껴안고 보던 커플들은 대부분 주위에서 사라져 소식이 묘연하다. 덤덤히 옆에 앉아 보던 커플은 그런대로들 함께 잘살고 있는데 말이다.
야그들 대단하네!’ 
흥분했던 지인도 딸과 부인을 버리고 젊은 여자와 재혼해 아들딸을 또 낳았다는 소식이 멀리서 들려온다. 다른 한 커풀도 이혼하고 다른 연인과 또 불구경 와서는 폭음이 터질 때마다 진한 포옹을 반복하곤 했지만 그들의 연정도 그리 길지 않았다. 같은 사물을 보고 좋아 난리 치는 사람들은 싫증도 빨리 내는지 신의로 살아야 할 삶을 흥분으로 살고 끝내고를 반복하나 보다.

불꽃이 폭음을 내며 오르다 더 높이 타오르며 하늘을 황홀하게 물들인다. 그리고는 갑자기 사라진다. 언제 그랬냐는 듯 검푸른 하늘에 희뿌연 연기만 허무하게 남긴다. 쉽게 타오르는 사랑 또한 빨리 시들해지며 또 다른 사랑을 찾아 흥분하고 시들해지기를 반복하다 끝내는 어두운 공허함을 남긴다.

독립 기념일이 오면 우리와 함께하다 헤어진 커풀들은 어디에서 어떻게 누구와 새로운 사랑을 나누고 있는지? 아니면 끝난 사랑의 공허함을 안고 괴로워하는지? 몹시 궁금하다.

Friday, July 4, 2014

Fireworks love

"Those guys are something else! In Namsan, Seoul you have to wait a long time between each firework, but here it’s like a downpour—boom, boom, nonstop! It feels like a warzone!"

In Greenpoint, Brooklyn, by the East River there were always loud footsteps on the stairs on Independence Day. People would go up to the rooftop to watch the fireworks.

After moving around different places in New York, I was lucky enough to live somewhere where the fireworks exploded right above my head.
The streets were packed with excited people looking for the best spot to watch. But for us, we just needed to go up one floor to the roof. I’ve never been lucky in life—never won anything—but I guess I was lucky when it came to watching fireworks.

The fireworks seemed to fall right toward my face. At the end of the show, it was like they used every last bit of gunpowder—one explosion after another, nonstop. It really felt like a battlefield. We've been watching these fireworks every July 4th since 1984. So many stories over the years.

I didn’t want to enjoy the fireworks alone, so I invited many friends over the years. Some of them have passed away, and some have returned to Korea. Watching the backs of friends in the dark while we sit on the roof—that’s part of the joy. One funny thing I noticed: couples who were very affectionate, hugging tightly and acting like they couldn’t live without each other—most of them eventually disappeared and we never heard from them again. But the quiet couples, just sitting side by side, are still together.

“Those guys are something else!”
One of those excited friends later left his wife and daughter and remarried a younger woman. Now he has new kids. Another couple also divorced. They came back to watch the fireworks with new partners, hugging again with every explosion. But even that love didn’t last long. Maybe people who get too excited about the same things lose interest quickly. Maybe they live on excitement, not trust.

The fireworks rise with loud bangs, then burst high in the sky, lighting it up in beauty—then suddenly disappear. Just like that, the dark blue sky is left with only faint smoke. A love that burns quickly often fades just as fast. Then they get excited again with someone new… and again it fades. In the end, only emptiness remains.

Every Independence Day, I wonder where those former couples are now. Are they sharing new love with someone else? Or are they suffering from the emptiness of love that 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