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August 31, 2013

동쪽 끝 작은 마을

갑자기 삶이 멈춰진 공간 속에 놓인 듯 공허했다.

북적거리는 관광지를 벗어나 메인 주 US 1도로를 따라 올라갔다. 캐나다 접경 해안지역, 미국에서 가장 동쪽 끝에 있는 이스트포트(Eastport)까지. 안갯속의 작은 섬들은 언젠가 가 본 남해안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인적없는 언덕진 타운 중심가에 들어서니 마치 서부영화 세트장에 들어선 느낌이다. 전봇대와 드문드문 세워진 차량만 없앤다면 말이다버려지다시피한 몇몇 붉은 벽돌 빌딩들의 양식은 대부분 브루클린에서도 눈에 익은 같은 시기의 공공건물이다

바닷가 인접한 조그만 공원에 들어서니 수많은 여자 직원들이 하얀 유니폼 속에서 작업하는 바쁜 시절 모습의 옛 사진과 팻말에 적은 내용이 타운의 비애를 들려준다.

1875, 정어리 통조림 공장이 이곳에 처음 세워졌으며, 절정기에는 13개 회사가 북적거리며 번창했던 곳이다. 서서히 산업이 몰락하며 주민의 대량 이탈로 한적하고 맥빠진 포구로 전락한 모양이다. 마치 우리가 사는 이스트 강가를 끼고 있는 북부 브루클린의 옛 시절을 보는 듯했다남북전쟁으로 남부 대부분의 설탕 공장들이 폐허 되자 세계에서 가장 큰 설탕 공장이 윌리엄스버그 다리 밑에 자리 잡았다. 도미노 설탕으로 150여 년 동안 운영하다 2004년에 문을 닫았다. 최후의 마지막 남은 공룡이 숨을 거두 듯.

고색창연한 타원형 굴뚝 하며 세월의 때를 잔뜩 머금은 건물은 이제 또 다른 도약을 기다리고 있다. 다행히 이곳은 수많은 창고 공장 건물들이 인기 있는 거주 지역으로 바뀌고 있지만, 동북쪽 끝에 자리 잡은 이스트포트는 정어리 산업 이후 대체 할 수 있는 묘안이 전혀 없는 모양새다.

관광객을 끌어들일 깨끗한 바다를 끼고 있지만, 불행히도 백사장이 없으니 안타까운 노릇이다. 그래서인지 바다가 훤히 보이는 숙소 베란다에서 마시는 술맛이 씁쓸하기만 했다.

바닷물에 콘크리트 기둥을 박고 서 있는 붉은 벽돌의 텅 빈 창고 건물에 다가섰다. 부서져 내리는 기둥 사이의 시커먼 공간에서 철석 이는 얕은 파도 소리와 갈매기 울음소리가 뒤섞여 묘한 울림이 들려온다.

그 옛날 번창하던 시절 타운의 왁자지껄하던 소리가 세월에 묻혀 둔탁하게 들리는 듯하기도 하고 옛 시절을 아쉬워하는 얼마 남지 않은 나이 든 주민들의 깊은 시름의 한숨 같기도 하다

Friday, August 30, 2013

A small village on the east end

It was empty as if I had been placed in a space where life suddenly stopped.

Away from the bustling tourist destination, I drove along the US 1 Road in Maine to Eastport, the easternmost end of the United States near the Canadian border. The small islands in the fog remind me of the Dadohae on the South Korea coast that I once visited.

Entering the heart of the deserted hillside town, I felt like it's on a set of western movies. As long as the telephone pole and the sparsely built vehicle are removed. The styles of some abandoned red brick buildings are built the same period as those of Brooklyn.

Stepping into a small park by the sea, the old pictures and signs on the busy days of thousands of women working in white uniforms tell the sorrow of the town.

In 1875, the sardine-canning factory was first established here, and at the peak of time, thirteen companies flourished. The industry gradually has declined. And turned into a quiet and despondent port due to the mass exodus of residents. It was as if I were looking at the old days of northern Brooklyn, next to the East River where I lived. When most sugar factories in the south were destroyed by the Civil War, the world's largest sugar factory was located under the Williamsburg Bridge. It was shut down in 2004 after running it for more than 150 years with Domino sugar, like the last remaining dinosaur to die.

The building, with its colorful oval chimneys is waiting for another leap forward. Fortunately, in Brooklyn, many warehouse factory buildings are turning into popular residential areas, but Eastport, located at the end of the northeast, seems to have no alternative plan after the sardine industry. Although it has a clean sea to attract tourists, unfortunately, it is a pity that there is no white sand beach. Perhaps that's why the taste of alcohol I drank on the veranda of my lodging, where I could see the ocean, was bitter.

I approached the redbrick warehouse building standing with concrete pillars in the seawater. In the dark space between the broken pillars, a mixture of shallow wave sounds and seagull cries can be heard. It may be like a sigh of deep wretchedness of a few old people who miss the old days.

Saturday, August 24, 2013

씁쓸한 만남

! 기분 나빠. 서울에 있으면 대접받는 사람이라고. 뉴욕에서는 왜들 이러지?” 
안식년으로 뉴욕에 왔으니 서울에서 자기를 떠받들던 사람들 다리 죽 뻗고 편히 쉬고 있겠네.” 
내 입도 참을 수 없었는지 시큰둥하게 툭 뱉어냈다.  

오래전 유학시절 함께 하다 서울로 교수가 되어 떠나 한국에서 사회적 후한 대접에 익숙해진 지인이 뉴욕에 와서 한 투정이다아니 뉴욕에서 고생하며 유학생활을 하지 않았다면 몰라도 이곳 생활을 뻔히 알면서 누가 누굴 대접해야 한단 말인가? 로마에 가면 로마식은 아예 안중에도 없는 모양이다.

서로가 다른 환경에 젖다 보니 모처럼 만나도 예전 같지 않다. 서울식, 뉴욕식 어느 쪽도 만족하지 않는다. 이곳저곳에서 수시로 몰려드는 방문객에게 치일 지경인데 안식년이라고, 여름 방학이라며 뉴욕에 와서들 연락하니 나 원 참그 옛날 허심탄회하게 하던 우스갯소리도 없어지고 옛 동기 앞에서 점잖을 빼며 목에 힘을 주는 만남을 굳이 내가 왜?

? 서울에 왔을 때 연락하지 않았어?” 
말들은 잘해요. 서울에 가면 한턱 운운하며 떠벌리지만, 막상 연락하면 외국 여행 중이었다며 얼버무리기나 하고.

오래전 맨해튼 그랜드 스트릿, 커다란 스튜디오 한쪽은 룸메이트가 쓰고 우리 부부는 다른 한쪽을 쓰며 살았다. 변변한 직장을 구하는 것과 하등 쓸모없는 대학원 졸업장은 손에 쥐었다. 생계를 위해 남편은  브로드웨이와 케널 스트릿 코너에서 블라우스 장사를, 룸메이트는 크라이슬러 빌딩 거리에서 은빛 나는 핫도그 손수레를 놓고 새우롤을 튀겨 팔았다.

저녁마다 우리 셋은 머리를 맞대고 돈을 피고, 앞뒤를 맞추고 시시덕거리며 돈을 세곤 했. 매상이 좋은 날은, 차이나타운에 가서 평상시에 먹던 음식에 워터크로스 접시를 얹어 먹으며 그날 있었던 에피소드를 떠들었. 비록 궁색한 생활이었지만 삶에 대한 열정은 한여름 땡볕만큼이나 뜨거운 시절이었다.

룸메이트가 팔던 새우롤을 사서 먹던 한 흑인이 반쯤 베어먹어도 새우가 나오지 않자 불평을 하더란다
“Keep eating. The shrimp will come out. (더 먹다 보면 새우가 나온다.)” 
고 했다는 룸메이트 말에 우리는 배를 잡고 발을 구르며 웃곤 했다
새우가 너무 작다는 투덜거림이다
새우가 새우젓만 해서 ….’
정녕 우리는 그 당시의 풋풋한 모습으로 되돌아가기는 영 글러 버린 것인가?

Friday, August 23, 2013

A gloomy meeting

“Oh! This is upsetting. In Seoul, people treat me with respect. Why is everyone like this in New York?”
“I guess all the people who treated you like a VIP in Seoul are now relaxing while you enjoy your sabbatical in New York.”
I couldn’t hold back and replied with a cold tone.

This complaint came from an old friend who studied abroad with me long ago, but later became a professor in Seoul and got used to the special treatment there. But she lived through the hard life in New York too—how could she forget? Who should be treating whom now? It seems like “When in Rome, do as the Romans do” means nothing to her.

Now that we’ve lived in different environments for so long, even when we meet again, it doesn’t feel the same. Neither the Seoul way nor the New York way feels satisfying anymore. I’m already overwhelmed with visitors coming from all directions, and yet people show up in New York during their sabbaticals or summer breaks and expect me to meet them. Why should I meet up with people who act so formal and stiff now, when we used to laugh and talk so freely?

“Why didn’t you contact me when you came to Seoul?”
They say things like that, but when I do visit and reach out, they always say they’re on an overseas trip.

A long time ago, we lived in a big studio on Grand Street in Manhattan. My husband and I used one side, and our roommate used the other. We had master’s degrees that didn’t help us find proper jobs. To survive, my husband sold blouses on the corner of Broadway and Canal Street, and our roommate sold shrimp rolls from a shiny hot dog cart in front of the Chrysler Building.

Every night, the three of us sat down, counted the money, checked the totals, and laughed together. On days with good sales, we went to Chinatown and treated ourselves to an extra plate of watercress along with our usual cheap meal. Life was hard, but our passion for it burned as hot as the summer sun.

One day, a Black man bought a shrimp roll from our roommate and complained that there were no shrimp, even after eating half of it.
Our roommate told him, 
“Keep eating. The shrimp will come out.”
We laughed so hard, clutching our stomachs and stomping our feet.
The shrimp was so small, it was like shrimp paste!

Have we really lost those fresh, youthful days forever?

Saturday, August 17, 2013

소설을 쓰고 싶지만

여행가~.” 
?” 
소설 쓰려면 뭔가 경험해야지. 하고많은 날 집에만 있으니 소재가 있어야 글을 쓰지.” 
소설은 아무나 쓰나.” 
남편의 쓴소리에 컴퓨터를 켜고 어린 시절 내 가정교사 이름을 구글에서 찾아봤다. 없다. 이리저리 아무리 찾았지만, 아예 없다.

대학준비 시절, 아버지는 입주 가정교사를 들였다. 내로라하는 대학을 다니는 여자다. 작은 키에 허리는 잘록하고 머리는 뽀글뽀글 파마해 길게 엉덩이까지 늘어트려 보기만 해도 뒤돌아보게 하는 모습의 여자다잘 가르치기는 했지만, 허구한 날 공부 끝나면 밤늦도록 돌아다니다 새벽에 들어왔다. 푸릇푸릇 새싹이 움트고 봄바람이 불자 검은 망사 스타킹에 핫팬츠를 입고 남산에 바람 쐬러 나다녔다. 핫팬츠를 입고 걸어가는 그녀의 등에 대고 남자들이 휘파람을 불어대곤 했다.

한겨울엔 속옷만 입은 위에 코트를 걸치고 다니지를 않나. 새벽에 들어오는 소리에 눈을 게슴츠레 뜨고 보면 
아이고 추워라.” 
코트를 벗는 그녀의 허연 속살이 드러났다. 어쩌다 함께 외출이라도 할라치면 남자들이 눈을 휘둥거리며 돌아보고 용기 있는 남자들은 말을 걸었다. 마음에 드는 남자가 따라오면 나를 먼저 보내고 한참 후에나 들어오곤 했다.
왜 맨날 밤늦게 그러고 다녀요?” 
최고 학벌과는 걸맞지 않은 행동을 하고 다니는 것이 너무도 이상해서 물어봤다
소설을 쓰려면 경험을 많이 해야 하기 때문이야.” 
그러고 보니 그녀는 국문학 전공으로 유명한 소설가가 되는 것이 꿈이었다
삼류 통속 소설을 쓰려나!’

나도 남들처럼 소설을 쓰고 싶지만, 소설 하면 그녀가 생각난다. 그러나 나는 이야깃거리가 될만한 경험 부족으로 쓰기는 틀렸다.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태어나 시멘트로 지어진 성냥갑 같은 공간에서 자랐으니. 부모 말 잘 듣고 뉴욕에 와 결혼해서 남편 그늘 밑에서 아이 둘 낳고 평범하게 사는 내 머리에서 소설이 나올 리가 없다. 그렇다고 상상력이 풍부한 것도 아니다.

글 잘 쓰는 사람 대부분은 지방에서 태어나 자연과 더불어 자랐고 고달픈 삶 속에서도 많은 이웃과의 소통으로 남다른 성장 과정을 통해 생기는 느낌이랄까 뭐 그런 어린 시절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나는 끽해야 두 페이지가 한계다. 누구 말대로 문학은 고통의 산물이라 하지 않는가!

소설을 쓰려면 경험을 많이 해야 한다며 오만 경험을 다 한 그녀가 과연 소설을 쓰긴 쓴 건가? 구글에 찾아봐도 없는 것을 보니 세상 경험만 하고 끝난 듯하다.

경험도 상상력도 없는 내가 우째 소설을 쓸까나? 올라가지 못할 나무에 오르려다 떨어지지나 말고 주변 정담이나 감칠 나게 써 봐야지. 소설은 무슨….

Friday, August 16, 2013

I'd like to write a novel, but

“Let’s go on a trip.”
“Again?”
“If I want to write a novel, I need some real-life experience. I can’t write stories just sitting at home every day.”
“Not everyone can write a novel.”
After hearing my husband’s sarcastic comment, I turned on the computer and searched for the name of my old tutor on Google. Nothing. No matter how hard I searched, she was nowhere to be found.

When I was preparing for college, my father hired a live-in tutor. She was a college student from a top university. She was short, had a slim waist, long curly hair down to her hips—just the kind of woman who made people turn around for a second look. She was a good teacher, but every night she went out late and came home at dawn.

When spring came and the trees started to bud, she’d go out wearing fishnet stockings and hot pants, walking around Namsan to enjoy the breeze. Men would whistle at her as she passed by. In the middle of winter, she would wear only underwear under a coat. Sometimes I’d open my eyes as I heard her come home at dawn.
“Ah, it’s freezing,” she would say, taking off her coat and revealing her pale skin.

If we went out together, men would stare at her, wide-eyed. Some brave ones would even try to talk to her. If she liked one of them, she’d send me home first and come back much later.
“Why do you go out so late every night?”
I asked her once, because her behavior didn’t match her elite academic background.
“To write a novel, you need to have a lot of experiences,” she said.

Now that I think about it, her dream was to become a famous novelist. She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Maybe she was planning to write a trashy romance novel,” I thought to myself.

I also want to write a novel like other people, but whenever I think about novels, I think of her. Still, I don’t have enough experiences to write a story. I was born in the middle of Seoul and grew up in a small concrete apartment. I listened to my parents, came to New York, got married, had two kids, and lived an ordinary life under my husband’s shadow. How could a novel come out of this kind of life? I don’t even have a good imagination.

Most good writers were born in the countryside, grew up close to nature, and had a tough life with deep relationships with neighbors—that’s what gives them that special feeling in their writing. I had none of that. At best, I could write two pages. Just like someone said, literature is born from pain.

She said she needed lots of experience to become a writer, and she really lived that way. But did she ever actually write anything? I can’t find her on Google, so maybe all she got was life experience—and nothing more.

With no experience and no imagination, how could I write a novel? Maybe I shouldn’t try to climb a tree I can’t reach. I’ll just try writing little stories about the world around me. A novel? No way…

Saturday, August 10, 2013

삼만번 밥상 차린 여자

집에서 작업하는 남편을 둔 나는 하루에 세 번, 일 년이면 적어도 천 번은 밥상을 차렸다. 결혼 생활 30년으로 접어드니 삼만 번 정도 밥상을 차렸다고 해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물론 음식 맛이 없어 먹는 사람도 즐겁지는 않았겠지만, 시어머니 말씀이
네가 음식 솜씨가 없어 아비가 그 나이 되도록 성인병에 걸리지 않았으니, 갸도 큰 복이다.” 
칭찬할 정도다.

생각만 해도 진저리나게 마켓을 보고 밥을 해서 남편에게 바쳤다. 그런데 일 년에 서너 번 그것도 조깅하고 집에 오는 길에 마켓에 들러 우유와 주스 그리고 달걀과 빵을 사자니 무거워서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럼 나는 그 무거운 것을 수시로 들고 다녀도 되고 고귀한 본인은 안된단 말인가. 본인이 죄다 먹어치울 것임에도집 앞에 있는 구멍가게에서 사자며 다섯 불럭 떨어진 신선하고 싼 물건이 많은 슈퍼마켓엔 들르지 않겠단다. 마켓을 지나치려는 찰나 다시 한 번
"안 갈래?"
"어디?"
하는 게 아닌가. 걸어오면서 들르느냐 마느냐로 의견 충돌 중임에도 어디?”라니 더는 할 말을 잃고 그냥 집으로 왔다혼자 들라는 것도 아니고 함께 나눠 들자는데도. ‘어디?’라니. 무거운 장바구니를 낑낑대며 들어 날러 삼만 번이나 해먹인 것은 하루도 거르지 않고 해우소를 통해 죄다 싸질러 나가 없어졌으니 아무것도 아니란 말인가.

차만 몰고 나가면 사고를 내는 이 못난 나를 위해 차 타고 멀리 가야 하는 한국장이나 미국장은 함께 가주기는 한다. 신문이라면 미제, 국산 가리지 않고 환장하는 남편은 차 안에 앉아 신문을 보며 빨리 사 가지고 나오라고 성화를 했다. 마켓에만 들어가면 조바심이나 허둥대는 버릇이 생길 정도로 조금만 지체하면 성질을 부렸다. 허둥대다 집에 오면 제대로 장을 보지 않아 빠진 품목으로 안타까워하며 다음 장 보러 갈 날만 기다리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좀처럼 기회를 주지 않았다. 그러다 어느 때부터인가 고맙게도 마켓에 함께 들어와 도와줘서 조바심 병이 나아가는 중이다.

다른 남편들은 요리도 잘한다던데. 밥상을 차려 놓고 밥 먹자고 단 한 번이라도 한 적이 있다면 내가 왜 이리 긴 하소연을 할까? 그냥 넘길 수도 있는 일이지
"어디 가서 일 잘한다는 말 하지 마라. 부엌데기 된다."
던 돌아가신 엄마가 허구한 날 밥이나 해대는 내 곁에서 거들지도 못하고 빙빙 도는 듯하다.

다시 태어난다면 여자로는 아니다. 태어나도 삼만 번 이상이나 밥을 해다 바쳤는데도 그닥 고마워하지 않은, 밥을 안 하면 얼굴이 소화 불량이라도 걸린 듯 어두워지는 남자의 마누라는 절대로 아니다다음 세상엔, 강이 보이는 드넓은 들판에 보일 듯 말듯 핀 잡초로 태어나 바람에 흔들리다 떨어지는 작은 풀잎이었으면 한다.

Friday, August 9, 2013

A woman who set the table for thirty thousand times

I have a husband who works from home, so I prepared meals three times a day—at least a thousand times a year. We've been married for almost 30 years, so I must have made meals about 30,000 times. I can’t deny it. Of course, the food might not have tasted great, so he probably didn’t enjoy it much. But even my mother-in-law once said:
“You’re lucky. Your wife’s cooking might not be the best, but that’s why you haven’t gotten any health problems at your age.”

I’ve done endless grocery shopping and cooking just for my husband. But when I ask him to stop by the store—just three or four times a year—he says, “It’s too heavy to carry things like milk, juice, eggs, and bread after jogging.”
So I can carry heavy bags all the time, but he can’t? Even though he’s the one eating most of it? He says we should just go to the corner store near our house, not the big supermarket five blocks away that’s fresher and cheaper. Just as we passed the supermarket, I asked again,
“Don’t you want to go in?”
And he answered,
“Where?”
Even though we were just arguing about whether to stop or not!
I had nothing more to say and just went home. I wasn’t even asking him to carry everything—just to help a little. But “Where?”? Seriously?

I’ve carried heavy bags and made meals for 30 years. And every single meal ended up in the toilet, gone forever. Does that mean it meant nothing?

Even though I’m not good at driving and often cause accidents, he still goes with me to Korean or American markets that are far away. While I shop, he stays in the car reading newspapers—he loves both Korean and American papers—and rushes me:
“Hurry up!”
Because of that, I got nervous whenever I went grocery shopping. If I took too long, he got annoyed. When I forgot something, he complained, but never gave me time to go back. Lately, though, he’s been kind enough to come inside with me and help. My anxiety is slowly getting better.

Other husbands cook too. But has mine ever set the table and said, “Let’s eat”? If he had, would I be complaining like this now? Maybe I could’ve let it go. I remember what my late mom used to say:
“Don’t go bragging about being a good worker. You’ll just end up stuck in the kitchen.”
I can still feel her spinning around me, watching me cook every day without helping.

If I could be born again, I wouldn’t be a woman. And I definitely wouldn’t be the wife of a man who didn’t truly appreciate the 30,000 meals I made. The kind of man whose face looks upset, like he has indigestion, just because I skipped cooking one day. 

In my next life, I’d rather be a small wildflower in a wide field by a river. A little leaf dancing in the wind until it gently falls.

Saturday, August 3, 2013

말도 안 돼

잡고 가던 엄마 손을 갑자기 놓치고 길을 잃은, 어디로 가야 하는 걸까?

"말도 안 돼."
친구의 텍스팅이 들어왔다. 최월희 선생님이 심장마비로 돌아가셨다는. 갑자기 검은 물체가 얼굴을 확 덮쳐 숨이 막혀오는 느낌에 말도 안 돼.만 웅얼거렸다.

"James Joyce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다음 북클럽 모임에 읽고 가야 할 책)을 더는 못 읽겠어. 무엇을 붙들고 살아. 참으로 인격의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지식의 겸손이 어떤 것인지 느끼게 해 주신 분이셨는데. 달력 보고 읽으며 이번 책은 제대로 읽고  공감하려는 희망에 부풀어 살았는데. 나의 마음에 선생님이 많이 차지하셨나 봐. 세상에서 헤어지기 싫은 사람이란 느낌 오랜만이야. 붙잡고 싶은데 나의 이기적인 생각일까? 선생님도 가실 수 있다는 생각을  했을까? 나 그냥 보내드릴 수 없어.’"
친구의 훌쩍이는 소리를 들으며 나는 할 말을 잃었다.

친구가 북클럽 선생님 죽음이 너무 안타까워 발을 동동 구를 때 나는 정신 나간 여자처럼 마룻바닥에 쭈그리고 앉아 떨어진 머리카락이나 줍다 방구석에 멍하니 앉아 말도 안 돼.만 중얼거렸다. 아마도 친구가 나와 똑같은 심정으로 슬퍼하니 그나마 침묵을 지킬 수 있었나 보다.

컴컴한 어둠 속에서 길을 찾아 헤매다 희미한 불빛을 보고 기뻐하는 찰나 갑자기 빛이 사라지고 다시 어두운 동굴의 끝 없는 바닥으로 떨어지는, 훤하게 타오르는 불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재 속을 헤집으며 타다 남은 불씨를 애타게 찾으며 아쉬워하는, 갈 길을 잃었다.

"우리는 모두 예술가(Being Artist)로 습관적인 삶에서 벗어나 무의식적 기억(involuntary memory)으로 삶을 재창조해야 한다. Bad and goodjudge(비판) 하지 말고 오픈마인드로 나 자신에서 벗어나 남들과 화합해야 한다." 
등등의 수많은 열정의 강의를 들었던 우리 회원 모두의 모습은 선생님을 닮아 자유로운 영혼들이다.

선생님은 가셨지만 북클럽 회원들마저 잃고 싶지는 않다. 다시 좋은 분을 모시고 싶다. 지식만이 풍부한 박사님이 아니라 학식과 겸손을 겸비한, 배운 사람 배우지 못한 사람, 가진 사람 가진 것이 없는 사람, 지위가 높은 사람 낮은 사람에게도 fair (공정)한 분을, 큰소리 내는 제자들에게만 귀 기울이지 않고 작은 소리로 구석에 앉아 경청하는 제자에게도 따뜻한 눈길과 위로의 말을 건네는 분을 모시고 북클럽을 오래오래 이어가고 싶다.

최월희 선생님, 다음 세상에서도 그대의 제자로 다시 만나고 싶습니다.

Friday, August 2, 2013

No way

Where should I go, when I suddenly lost my mother's hand?

A email from a friend said, "No way. That doesn't make any sense. Wol-Hee Choi died of a heart attack." Suddenly, a black object hit my face and I felt suffocated. I couldn't believe it.

"I could't read James Joyce's 'Portrait of Young Artist’ (a book to read at the next book club meeting). What hold me alive? Wol-Hee Choi was the one that made me feel what the beauty of personality is and the humility of knowledge. Every month, I was filled with hope that I would read book properly and empathize with it. I guess the teacher must have taken a big part in my heart.  It's been a long time since I felt like there are people in this world that don't want to break with. I want to hold on, but is it my selfish idea? Why didn't I think she could go? I can't just let her go," I was speechless when I heard my friend's whimpering and muttering.

When my friend was stamping her feet because she felt so sad about the death of our book club teacher, I crouched on the floor like a crazy woman, picking up my fallen hair and sitting in the corner of the room blankly, "No way.' Only muttered. Perhaps I was able to keep silent because she grieved the same way I felt.

As happy as I was looking for a dim light in the dark, I suddenly lost my way, falling back into the endless floor of the dark cave.

"We should all be artists, moving away from habitual life and reinventing our lives with unconscious memories. Instead of judging on bad and good, we should get out of myself with an open mind and unite with others," she said. All of our members, who have attended her numerous lectures on passion, etc., resemble her and are free spirits.

The teacher is gone, but I don't want to lose book club members. I want to meet a good teacher again. Not only is rich in knowledge, but a teacher of both learning and humility, a fair person to all.

Teacher Wol-Hee Choi, I want to meet you again as your student in the next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