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October 27, 2012

‘NO’를 잘하는 사람

"언니 저 뉴욕에 가는 데요. 만나고 싶어서 전화했어요." 
전화 녹음기에 남겨진 친구도 아닌 친구 동생, 기억에도 없는 목소리였다.

오래전 볼일 보고 다 저녁에 집에 왔다. 어둠 속에서 친구 여동생이 커다란 여행 가방을 우리 집 문 앞에 놓고 기다리고 있었다. 따라 들어온 그녀는 와인 두 병을 식탁 위에 턱 하니 놓고는 어색한 분위기를 무마하려는 듯 마셔댔다. 그리고는 열흘 정도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떠났다또 우리 집에 머물겠다고 전화를 한 것은 아니겠지? ‘나보고 어쩌라고.’

본인은 여행으로 흥분된 상태인지 모르지만 녹음을 듣는 나는 기분이 썩 좋지 않다. 나도 온종일 이리 뛰고 저리 뛰어야 하는 바쁜 생활이 있다. 그리고 그동안 방문했던 사람들의 좋지 않은 기억들도 있다. 하노라고 해도 아마 슬금슬금 나도 모르게 배어 들어간 미국식이 그들을 불편하게 해서인지 재워줘도 돌아오는 소리는 섭섭하다.’였다.

대부분 방문자들은 한 푼이라도 호텔비를 아껴 명품을 하나라도 더 사 가려는 대단한 의지가 있다. 잠자리를 제공해준 사람의 개인적 프라이버시는 무시한 채 본인의 여행목적에만 투철했다. 그들이 생각하기엔 고까짓 것 가지고 그런다는 둥, 내가 오면 몇 번이나 뉴욕에 온다고, 한국 사람들끼리 매정하다는 둥, 미국 놈 다 됐다는 둥, 그렇게 사는 것이 아니라는 등등을 열거하며 섭섭해한다. 재워 줘도, 재워 주지 않아도 섭섭하기는 매일반이다. 집에 재워졌다 가 남편 뺏긴 여자도 있다는 데는 뭔 더 긴 이야기가 필요할까.

여행 떠나기 전에 전화로 은근슬쩍 잠자리를 알아보려고 연락하지 말고 
"여기 호텔인데 시간 있으면 차나 한잔하지." 
호텔 로비에서 세련되고 우아하게 전화하는 방문자는 정녕 없단 말인가! 10년에 한 명꼴로 30여 년 이상 살면서 아마 세 사람 정도였을까? 먼 여행길에 잠자리가 가장 편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이 선진국이라며.

"친구 동생아, 너 우리 집에 머무르려고 전화한 것은 아니겠지?’ 너도 이젠 나이가 들 만큼 들고 잘 먹고 잘산다니 호텔에 편하게 있다가 가기를 바란다."

재워주는 것만은 무조건 ‘NO’. 한때는 NO를 하지 않아 힘들었다. 또 한때는 NO를 불분명하게 해서 괴로웠다. 언제부터인가 나는 NO를 잘하는 사람이 되기로 했다. 처음이 어렵지 NO를 잘하자 문제 발생률이 줄었다. 그런데 마음이 왜 이리 찜찜할까?

Friday, October 26, 2012

A person who is good at NO

"Hi, I’m going to New York. I called because I wanted to see you."
That was a voicemail—not from a friend, but from a friend’s younger sister. A voice I didn’t even recognize.

A long time ago, I came home one evening after running errands. In the dark, that same younger sister was standing at my door with a huge suitcase. She followed me inside, put two bottles of wine on the table, and started drinking, maybe to ease the awkwardness. Then she stayed at my place for about ten days and left. Now, is she calling again to stay at my house? What does she expect me to do?

Maybe she feels excited about her trip, but I didn’t feel so great listening to that message. I have a busy life too—running around all day. And honestly, I’ve had some unpleasant experiences with guests in the past. No matter how much I tried to be kind, something about the way I live—maybe the little American habits I’ve picked up—must have made them uncomfortable. Even when I let them stay, they left saying they felt “disappointed.”

Most visitors seem determined to save money on hotels just to buy one more luxury item.
They come with no regard for the host’s personal space. They only focus on their own trip goals.
They say things like:
“Why are you making a big deal out of this?”
“I only come to New York once in a while.”
“Koreans shouldn't treat each other like this.”
“You’ve become too American.”
“This isn’t how people should live.”

Whether I let them stay or not, the result is the same—they always leave feeling “disappointed.”
I even heard a story of a woman who let a guest stay and ended up losing her husband. What more needs to be said?

Why can’t anyone just call and say,
“I’m staying at a hotel. If you’re free, let’s meet for coffee.”
Why can’t they be polite and classy, like someone calling from a hotel lobby? 
In over 30 years of living in the U.S., maybe three people have ever done that—about once every 10 years. Isn’t Korea supposed to be a developed country now? And still, people don’t think their sleeping arrangements matter much, even when they’re on a long trip.

Dear friend’s sister, You didn’t call because you want to stay at my house again… right?
You’re grown now, doing well, eating well. I hope you just stay comfortably at a hotel this time.

Let me be clear: letting people stay at my place is now a firm “No.” There was a time I struggled because I didn’t say no. Then there was a time I was vague about it—and that hurt even more.
Eventually, I decided to become someone who’s good at saying no
The first time is the hardest. But once I got better at saying it, problems started to go away. Still… why does it feel so uncomfortable in my heart?

Saturday, October 20, 2012

해피밀

성당 종소리가 아홉 번 울렸다. 지붕에 앉아 아침 햇살을 즐기던 비둘기들이 요란스럽게 회색 하늘로 날아오른다. 흐트러져 날아오른 비둘기들은 어느새 정확한 간격으로 질서 정연하게 또 다른 지붕을 찾아 날아간다.

동네 성당 앞에서 성호를 그으며 지나는 사람들을 보고 자란 우리 아이는 어릴 때 성당 옆 맥도날드 앞을 지날 때마다 성호를 그었다. 그리고는 간절한 눈으로 나를 쳐다보곤 했다. 해피밀을 먹게 해달라고.

아이는 엄마가 햄버거 사줄 돈이 없다는 것을 알았을까? 조르지는 못하고 성호를 서너 번씩 긋기만 했었는데. 하느님에게 엄마 아빠가 돈 많이 벌어 해피밀을 많이 먹을 수 있게 해 달라고 빌었던 것은 아닐까?

어른이 된 아이는 아무리 허기져도 맥도날드에서는 먹지 않는다. 가끔 비싼 레스토랑 앞에 서서 메뉴판을 들여다보는 아이의 뒷모습이 심각하다. 성호를 긋고 있는 것은 아닐지?

아이가 간절히 해피밀을 위해 기도 할 때 나도 정한수 떠 놓고 비는 심정이었다. 옛 아낙네들이 오직 복을 달라고 빌기만 했을까. 비는 정성만큼 자식을 키웠겠고 남편을 뒷바라지하지 않았을까.

오래전 멕시코 시내를 관광하다 오래된 낡은 교회에 들어갔다. 남루한 차림의 여인이 아무도 없는 복도 벽에 있는 성상 난간을 부여잡고 어깨를 들썩거리며 흐느꼈다. 이 여인의 간절한 모습에서 정한수 떠 놓고 비는 우리 어머니, 할머니의 모습을 봤다.

북적거리는 맨해튼을 거닐다 성당에 들어가 뒷좌석에 앉아 기도한다. 고요하게 착 가라앉은 어둠 속의 깊은 적막감이 나를 편안하게 한다. 기도 하는 사람들의 뒷모습을 보며 그들의 간절함이 나의 간절함이 되어 나도 모르게 경건해진다.

종로 근처 사찰 대웅전에 앉아 불공드리는 아낙네들의 뒷모습을 보면서도 기도한다. 실내의 어둡고 밝기의 차이 동양인이냐? 서양인이냐의 차이뿐이지 경건함은 성당이나 사찰이나 똑같다. 나는 그들의 간절한 기도가 모두 이루어지기를 기도 하고 싶은 심정이 되어 앉아 있다 나온다.

하던 설거지를 멈추고 창가의 푸른 잎 사이로 삐죽이 솟아오른 선홍색 제라늄을 보며 감사의 기도 한다. 아침에 눈을 떠도 하고 잠들기 전에도 한다. 눈에 보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마다 모든 것이 감사할 뿐이다.

나는 종교인이 아니다. 그러나 아이에게 해피밀을 사줄 수 없던 처지에서 비싼 레스토랑에서도 사 줄 수 있는 처지까지 왔다는 것이 오직 나의 노력만은 아닐진대 어찌 감사하지 않겠는가! 그 어떤 나도 모르는 보살핌이 분명히 있었다는 생각이 나를 끊임 없이 감사의 기도를 하게 한다. 감사합니다.

Friday, October 19, 2012

Happy Meal

The church bell rang nine times. Pigeons basking in the morning sunlight on the rooftop flapped noisily into the gray sky. Though they scattered at first, they soon flew in perfect formation, gliding toward another rooftop with orderly grace.

My child, who grew up watching people make the sign of the cross in front of the neighborhood church, used to do the same every time we passed the McDonald’s next to the church. Then, they would look up at me with pleading eyes—asking for a Happy Meal. Did my child know I couldn’t afford a hamburger? They never begged, just made the sign of the cross two or three times. Were they praying to God, asking for their mom and dad to make enough money so they could eat a Happy Meal?

Now grown up, my child never eats at McDonald’s, no matter how hungry.
Sometimes I see them standing in front of an expensive restaurant, studying the menu with a serious look. And I wonder—are they making the sign of the cross again?

Back then, when my child prayed so earnestly for a Happy Meal, I, too, prayed just as earnestly—like old mothers who used to place a bowl of water out and pray with all their heart. Didn’t those women raise their children and care for their husbands with the same devotion they put into their prayers?

Years ago, while touring Mexico City, I stepped into an old, worn-out church. There, I saw a poorly dressed woman in an empty hallway, holding onto the railing beneath a statue and sobbing quietly, her shoulders shaking. In her desperate prayer, I saw the image of my mother and grandmother, praying over bowls of water in our home.

When I walk through busy Manhattan, I sometimes step into a church and sit quietly in the back to pray. The deep stillness and gentle darkness bring me peace. As I watch the backs of those praying, their earnestness becomes my own—and I find myself becoming reverent without even realizing it. I also pray when I sit in a Buddhist temple near Jongno, watching the women offering their prayers. The setting may be different—dim lighting, cultural contrasts—but the sincerity is the same. Whether in a church or a temple, the earnestness feels no different. And as I sit there, I find myself quietly hoping that all their prayers come true.

Sometimes, I pause in the middle of doing the dishes to offer a prayer of thanks, looking at the bright red geranium blooming through the green leaves outside the window. I pray in the morning when I open my eyes, and at night before I go to sleep. Everything I see, hear, feel, and think fills me with gratitude.

I am not a religious person. But how could I not feel thankful, having come from a time when I couldn’t buy my child a Happy Meal to now being able to treat them to a meal at a fine restaurant? It wasn’t only my own effort that brought me here. There must have been some unknown grace or care watching over me—and this belief keeps me offering quiet prayers of gratitude.

Thank you.

Saturday, October 13, 2012

그 여자

어두운 표정으로 검은 옷을 입은 사람들이 한 명씩 장례식장으로 들어오고 있다. 내가 찾는 여자도 나처럼 맨 뒷줄에 앉아 형님의 죽음을 확인하고는 서둘러 일어날 것이다. 나는 맨 뒷좌석에 앉아 수상한 행동을 하는 여자를 포착하기 위해 두리번거렸다.

이리저리 살펴보지만 누가 누구인지 모르겠다. 단지 돈 꿔 간 사람이 여자라는 것만을 그리고 죽음을 확인하러 꼭 나타날 것이라는 직감뿐이다. 짐작 가는 사람이 있다고 한들 어쩔 것인가. 증거가 될만한 종잇조각 하나 없는데.

형님은 젊은 이에 세상을 떠났다. 알고 지내던 여자에게 적지 않은 돈을 빌려 줬다가 받지 못하자 신경을 곤두세우고 돈을 받으러 다녔다. 그리고는 내출혈로 쓰러졌다. 시아주버니조차도 누구에게 얼마의 돈을 꿔 줬지 모른다.  

칠십 년대 초, 천국이라도 가는 듯 희망에 부푼 형님은 재미교포인 아주버니와 결혼해서 미국에 왔다. 그 당시, 교포와 결혼해서 미국에 오는 여자들은 일단은 외모가 받쳐줘야 했다. 그래야 교포입네 하고 남자들이 한국에 나가 예쁜 색시들을 데려오곤 했던 시절이었다.

시어머니 왈 신붓감이 예쁘다고들 이구동성이었다고 한다. 인물만 좋은 것이 아니라 성격도 상냥하고 음식솜씨 또한 좋았다.

형님은 항상 화려한 차림으로 선글라스에 음악 볼륨을 높이고 드라이브하기를 좋아했. 그래야 미국에 실감이 난다나. 손이 큰 형님은 주말엔 빠짐없이 마켓에 들러 고기를 잔뜩 사다 바비큐를 즐겼다. 고기 먹는 맛이 미국 사는 재미 중의 또 다른 하나라며.

꿈의 나라 미국에서 남 부럽지 않게 떵떵거리며 잘 살 살아보겠다고 형님은 돈도 열심히 벌었고 모았다. 돈이 있다는 것을 안 주위 사람의 감언이설에 속아 이자 받는 즐거움에 돈을 꿔줬다. 부자지간에도 돈 이야기는 하지 않는 미국에서 이런 황당한 일을 당한 것이다. 모국식과 미국식이 뒤엉킨 1세 중심의 사적 금전거래로 교민사회에서 종종 벌어지는 혼탁함에 말려들어 간 것이다.

엄마를 잃은 어린 아들이 그녀의 영정 사진을 가슴에 안고 울면서 걸어 나왔다. 손에 물 한번 묻히지 않고 남 보란 듯이 키우겠다던 아이는 통곡을 했다. 형님을 순식간에 잃은 가까운 일가친척들은 망연자실했다.

뒷간에 들어갈 때와 나올 때가 다르다고, 빌려 갈 때는 구걸하듯 빌려 가서 빌려 간 후에는 큰소리치며 갚지 않은 그 여자, 결국엔 한 사람을 죽음으로 몰고 간 그 여자는 지금쯤 두 다리 죽~ 펴고 편안히 살고 있을까? 아닐까? 아니길 진심으로 바란다.

Friday, October 12, 2012

The woman who borrowed money

People dressed in black with somber expressions were entering the funeral hall one by one.
The woman I was looking for would be sitting in the back row, just like me. After confirming my brother’s death, she would quietly get up and leave. I sat in the last row, scanning the room, watching for a woman acting suspiciously. 
I looked around, but I couldn’t tell who was who. All I knew was that the person who borrowed money from my brother was a woman—and I had a strong feeling she would show up to make sure he was really gone. But even if I suspected someone, what could I do? There wasn’t a single scrap of paper to prove anything.

My sister-in-law died young. She had lent a large sum of money to a woman she knew, and when she didn’t pay her back, she became stressed and anxious, chasing her down for the money. Eventually, she collapsed from a brain hemorrhage. Even her own husband didn’t know who the woman was or how much money she had lent her.

In the early 1970s, full of hope as if heading to heaven, my sister-in-law came to America after marrying a Korean-American man. Back then, women who married Koreans living abroad and moved to the U.S. usually had to be attractive. It was common for Korean-American men to return to Korea and bring back beautiful brides. My mother-in-law used to say everyone agreed she was a beautiful bride. She wasn’t just pretty—she was kind and had great cooking skills, too.

She always dressed stylishly, wore sunglasses, and liked to drive with loud music. She said it made her feel like she was really living in America. She was generous, and every weekend she’d go to the market, buy lots of meat, and host BBQs. She used to say that eating meat like that was one of the joys of living in the U.S.

In this land of dreams, she worked hard and saved money, determined to live well and be successful. But once people around her found out she had money, they sweet-talked her into lending it out—promising interest in return. She fell for it. In America, where even family members are careful about discussing money, this kind of thing is almost unthinkable. She got caught up in a messy, private financial deal—a mix of Korean and American ways—that often happens in immigrant communities.

Her young son, now motherless, came out of the funeral hall holding her framed photo and crying. Her daughter, whom she once proudly said would never have to touch a drop of water while growing up, wailed in grief. Her sudden death left close family and relatives in complete shock.

As the saying goes, people act one way when they’re asking for help and another once they’ve gotten what they want. The woman who once begged for money, but then refused to repay it—raising her voice, ignoring responsibility— That woman who ultimately drove my sister-in-law to her death...

Is she now living comfortably, stretching out her legs without a care in the world? Maybe. Maybe not. But I truly, sincerely hope not.

Saturday, October 6, 2012

사자와 하이에나

 어머! 헤어스타일이 완전 나이 든 사자처럼 근사하네요.” 
오랜만에 서울서 만난 친구가 긴 곱슬머리에 반백이 된 남편에게 한마디 하며 나에게 눈을 찡긋했다
그러면, 나는 뭐 주변서 눈치 보며 어슬렁거리는 하이에나냐? 

남편이 좋아하는 나무토막처럼 냉동된 가자미 두 마리에 파와 간장을 넣고 지졌다. 입맛을 다시며 젓가락을 들고 기다리는 남편 앞에 지글거리는 프라이팬 뚜껑을 열었다. 김이 뽀얗게 오르는 가자미가 먹음직스럽다. 남편의 눈은 획득한 먹이를 만난 듯 빛이 났다. 잽싼 젓가락질로 가자미는 삽시간에 뼈만 앙상히 드러났다. 난 한점의 살점도 건드려 보지 못하고 아쉬운 듯 뼈에 붙은 부스러기를 찾아 뒤적였다. 우리의 결혼생활은 이렇게 먹이를 놓고 먹어치우고, 먹지 못해 섭섭해하며 시작했다.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모처럼 모국 방문길에 이리저리 핑계를 대며 마뜩잖은 표정의 남편을 구슬려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다. 결과, 결혼생활 28년에 내가 얻은 것은 단백질 부족, 남편은 체중 과다.

요즈음 나는 남편 앞에 가자미를 올려놓기가 무섭게 젓가락을 들고 내 몫을 차지하며 한마디 내뱉는다
나 단백질 부족인 거 알지.” 
남편은 아쉬운 듯 커다란 살점을 슬그머니 내 쪽으로 밀어준다.

남편이 앞장서서 걸어갔다. 짧은 다리를 부지런히 움직여 따라가 잡고 나면 또다시 뒤로 처졌다. 남편은 나와 사는 동안 함께 걷지도, 앞서 가다 기다리지도 않을뿐더러 아예 가버린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숲 속에서 먹이를 포착하고 달려가듯 빠른 걸음으로 사라졌다. 나는 애타게 남편을 찾아 헤매다 지쳐 돌아오면 남편은 대자로 누워 자고 있었다. 아마 쫓아오다 사라져주길 원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렇게 내 시야에서 벗어나려고 바삐 걸었던 것일까?

그런 남편이 나이가 들자, 빨리 오라고 손짓도 하고 길모퉁이에서는 기다려도 준다. 나는 평생 앞서 가는 남편을 놓치지 않으려고 열심히 따라가며 남편의 얄미운 뒷모습에 익숙해졌는데.

입에 맞는 음식을 먹을 때 말 거는 것도, 젓가락을 들이대는 것도 싫어하는 남편이 내 앞에 없다면, 나는 어떤 모습으로 혼자서 밥을 먹을까? 남편의 미운 등을 보며 걸을 수 없는 날이 온다며 난 뭘 보고 걸어야 할까?

앞서 가는 남편의 등을 보며 건강한 다리로 뒤처져서라도 따라갈 수 있는 것에 감사한다. 그리고 잘 따라오고 있나 되돌아보는 남편이 고맙다

Friday, October 5, 2012

Lion and Hyena

“Oh my! Your hairstyle looks just like an old lion’s—so majestic!”
A friend I hadn’t seen in ages winked at me as she made this comment to my husband, whose long, curly, half-gray hair had grown out.
“So what does that make me? A hyena slinking around, watching from the sidelines?” I replied.

I pan-fried two frozen flounders—my husband's favorite—adding green onions and soy sauce. As I opened the lid, the steam rose, and the fish sizzled invitingly. My husband, chopsticks in hand, eyes gleaming like he had just spotted prey, was ready. In no time, the fish was picked clean—only bare bones left. I hadn’t even had a single bite. I found myself poking around for scraps still clinging to the skeleton. That’s how our married life began: fighting over food, one devouring it, the other feeling a little left out.

Taking advantage of our rare trip to Korea, I convinced my not-so-willing husband—under all sorts of excuses—to get a full medical check-up. The result after 28 years of marriage?

Me: protein deficiency. Him: overweight. Nowadays, the moment I place a flounder on the table, I quickly grab my share with my chopsticks and say,
“You know I’m protein deficient, right?”
Then he, a bit reluctantly, slides a big, juicy piece over to my side.

He walks ahead of me. I try to keep up, legs moving fast to match his pace, but I fall behind again. Throughout our life together, he never really walked with me, never waited, and often left me behind completely—like an animal that spots prey and charges into the forest, disappearing in a flash. I’d search and search until I was too tired, only to come home and find him sprawled out, asleep. Maybe he actually wanted me to give up and vanish. Maybe that’s why he walked so quickly—trying to get out of my sight.

But now that he’s older, he waves for me to hurry, and he even waits at street corners. I’ve grown used to that annoying back of his, always just ahead, and I’ve spent a lifetime trying not to lose sight of it.

He doesn’t like anyone talking or reaching for food when he’s eating something he enjoys. So if one day, he’s not there in front of me anymore—what will I be like, eating alone? If there comes a day when I can no longer walk behind him, staring at that familiar back, what will I look at to keep going?

I’m grateful that, even if I have to lag behind a little, I still have strong legs to follow him. And I’m thankful that now, from time to time, he turns around to check if I’m still t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