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December 31, 2016

미안하다. 고맙다.

미안하다 아들. 쿨하지 못했던 엄마를 이해해다오.

엄마는 너희들이 좋아하는 한 사람이 될 수가 없구나. 너희들 일만큼은 쿨할 틈도 없이 마치 도마 에서 팔딱거리는 생선 모양 난리를 치니 말이다.

너희들에게는 부드럽고 냥하게 말하다가도 아빠에게는 시도 때도 없이 목소리가 나도 모르게 탁해지고 거칠어진단다. 사람들과 조곤조곤 이야기하다가도 너희들 일이라면 갑자기 열이 오르는 데야 어쩌겠니.

기억나니? 어릴 때 수영 배우러 가다 수영복을 빠뜨리고 것이 생각나서 급한 마음에 스탑 사인을 지나치다 교통사고 난 것을. 보이스카우트에 가다가도 너희가 차 뒤에 앉아 엄마~’ 하고 부르자 갑자기 차를 멈추는 바람에 뒤 차가 들이받는 사고를 냈던 것도? 우리 셋 모두 병원에 누워 있으니 아빠가 놀라서 달려왔던 거 생각나? 너희들 일이라면 평소와는 달리 매사 뒤죽박죽이 되기 일수인 엄마의 새끼 타령을 어쩌겠니.

엄마가 동부로 따라오면 다시 서부로 학교를 지원하겠다 제발 따라오지 말라.” 어떤 모자의 이야기를 들으며 저런 엄마가 ?’ 했다. 나도 너희들 가는 곳을 따라다니지만 않았지 마음은 엄마와 다를 없구. 미국판 헬리콥터 어미가 안 되려고 꾹 참느라 힘들었단다.

어제 너희 둘이 함께 엄마를 방문해 줘서 고마웠다. 피곤해 누워 있다가 너희가 온다는 전화를 받고는 어디서 그런 기운이 나던지. 벌떡 일어나 저녁 준비를 힘들이지 않고 후다닥 했단다. 너희는 엄마를 벌떡 일으키는, 용기와 기운을 그리고 행복을 주는 존재란다. 너희만 보면 없던 기운이 절로 생겨서 엄마야 좋지만, 바쁜 너희들에게 자주 전화하고 오라 가라 하지는 않으련다. 오면 반갑고 오지 않아도 섭섭하지 않으니 너희 삶에 충실해라.

너희가 떠난 후 피곤해진 몸을 누이고 많은 생각을 했단다. 혹시나 너희 둘을 차별하며 대하는 것은 아닌지? 한쪽으로만 사랑이 치우치고 지원하는 것은 아닌가? 엄마는 너희 둘에게 똑같이 해주려고 노력했다. 혹시라도 엄마가 차별을 두는 말과 행동을 했다면 말해줬으면 한다.  

고맙다. 아들들아. 어려서는 힘들어 잘 입히지도 못했다. 갖고 싶은 장난감도 못 들은 척, 그나마 힘겹게 시켜준 몇 개월간의 기타 렛슨 덕에 가끔 너희들 방에서 흘러나오는 맑은 기타 소리를 들으며 조용히 웃음을 띨 뿐이다.

음식하기 싫다고 계란후라이에 스팸을 많이 먹인 것이 몹시도 걸렸다. 그런데 너희가 기억이 나지 않는다.’니 더욱 미안하고 고맙구나.

Friday, December 30, 2016

I am sorry and thank you

I'm sorry, my sons. Please try to understand your mom, who couldn’t always be “cool.”

I know I can’t be the kind of “cool” person you like. When it comes to anything about you, I can’t stay calm. I react like a fish flopping around on a cutting board.

I speak gently and kindly to others, and even to you, but when I talk to your dad, my voice suddenly becomes harsh and sharp without meaning to. And when it’s something about you two, I get overheated and emotional — I can’t help it.

Do you remember? On the way to your swimming class, I suddenly remembered we forgot your swimsuit. In my rush, I ran a stop sign and caused a car accident. Or that time we were driving to Boy Scouts, and when you called out, “Mom~” from the back seat, I stopped the car too suddenly and got hit from behind. All three of us ended up in the hospital, and your dad came running in shock. When it comes to you two, I completely lose control — like a mother chicken clucking for her chicks.

I once heard a story about a mother and son where the son said, “If Mom follows me to the East Coast, I’ll apply to schools on the West Coast instead — please don’t follow me.” I thought, “What kind of mother does that?” But then I realized... I may not follow you physically, but in my heart, I’m no different from that mom. It was so hard for me to stop myself from becoming a “helicopter mom.”

Thank you both for visiting me yesterday. I was tired and lying down, but when I got the call that you were coming, I suddenly felt full of energy. I jumped up and made dinner quickly and easily. You two give me strength, joy, and courage. Just seeing you brings me energy I didn’t know I had. But I promise not to call too often or ask you to visit all the time — I know you're busy. If you come, I’ll be happy. If you don’t, I won’t be upset. Just live your lives fully and well.

After you left, I lay down again, tired, and started thinking. Have I treated you two differently without realizing it? Have I loved or supported one of you more than the other? I’ve tried my best to be fair to both of you. But if there’s anything I said or did that made you feel otherwise, please tell me.

Thank you, my sons. When you were little, I struggled to dress you properly. When you asked for toys, I often pretended not to hear. I could barely afford a few months of guitar lessons, but even so, when I heard soft guitar music coming from your rooms, I smiled quietly.

I still feel guilty for feeding you too much Spam and fried eggs when I was too tired to cook properly. But then you said you don’t even remember — that made me feel even more sorry, and also so grateful.

Saturday, December 17, 2016

뭐니뭐니해도 '뭐니'

부모 그늘에서 서른 살까지 공부하고 서른에 결혼했다. 돈 버는 일과는 별 상관없는 화가와 결혼했으니 먹고 사는 일을 찾아 방황했고 기반 잡으려고 애쓰다 늦게 아이를 낳았다. 아이 둘을 키우며 작업을 고집하는 남편 뒷바라지하다 한숨 돌리고 나니 나이 60이 되었다.

만약 내가 90세까지 살 수 있다면 남은 30년은 나를 위해 살고 싶다. 그러나 몸은 쇠약해질 것이고 예전처럼 힘차게 살 수도 없지 않은가! 지금은 영원히 살 것 같지만, 내일 일을 어찌 알겠는가! 곁에 있는 남편과 사이가 좋아야 마음 편히 여생을 하고 싶은 일 하며 살 수 있겠지?

젊었을 때는 그리도 길던 인생이 나이 드니 후딱후딱 지나가 마음이 조급해졌다. 그동안 아이들과 남편 핑계 대며 못했던 일들을 더 늙기 전에 해야 한다며 여기저기 기웃거리다 우연히 법륜스님 즉문즉설을 퀸스, 맨해튼 그리고 포트리 집회에 세 번 참석했다. 멀리서나마 법륜스님을 일단 뵙고 분위기도 살피고 과연 내 마음에 와 닿나를 알고 싶었다.

작업하면서 고개를 끄떡거리며 유튜브를 통해 들은 것 중의 하나로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진 남편과 자꾸 싸워서 함께 사는 것이 힘들다는 젊은 아낙네와 스님의 즉문즉설이다. ‘남편이 없을 때를 생각해 봐라. 길어야 몇 년이다. 짧으면 내일로도 끝이 난다. 옆에 있는 것만도 얼마나 큰 복이고 행복인지. 행복은 원래 주어져 있는데 잃고 나야 행복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치로는 아는 데 가까이 있을수록 나와 다른 남편 꼬라지를 보면 밉고 갈등이 생긴다. 멀리 있으면 같은 것 (큰 것)이 보이고 가까이 있으면 다른 것(티끌)이 보이기 때문이다. 다르다는 것을 당연하게 인정하면 아무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내가 너에게 잘해 주는 만큼 나에게도 잘하라.’는 요구조건을 안 들어주니까 미워지는 것이다. 말이 사랑이지 손해 볼 바에야 혼자 사는 것이 더 낫다.며 원수가 된다. 즉 장삿속으로 사는 것이다. 내가 너를 사랑하는 것은 나의 일이지만 네가 나를 사랑하는 것은 너의 일이기 때문에 대가를 요구해서는 안 된다.’

노력하고 참는다는 것은 소중한 줄 모르는 것을 전제로 하는 해결책이지만, 주어진 기회가 영원하지 않고 순간순간이 소중한 줄 알면 노력도 참을 것도 없다.’라는 스님 말씀이다.

다행히도 나는 남편이 매우 소중해서 노력도 참을 것도 없이 그저 남편이 내 곁에 오래 건강하게 살아 좋은 작업을 많이 만들었으면 한다. 왜냐하면, 돈 못 버는 화가 남편과 시작한 어려운 결혼생활이 점점 조금씩 여유로워졌고 남편의 수입이 다른 직업과는 달리 잘하면 나이 먹을수록 늘어나지 않을까? 하는 소망도 가져보니 더욱 소중할 수밖에! 물론 작업하지 않을 때는 허구한 날 신문만 읽고 눈치 없는 남편의 말과 행동에 화가 나다가도 소중함을 알고 수그러들며 나도 모르게 짜부라진다.

나야말로 뭐니 뭐니해도 뭐니가 최고라는 장삿속이 아닌가?

Friday, December 16, 2016

After all, money is the best

I lived under my parents' care until I was 30, studying the whole time. I got married at 30—to an artist who didn’t care much about making money. So I wandered, trying to find ways to earn a living. We struggled to build a stable life and had children later than others. While raising two kids, I supported my husband who stayed focused only on his art. By the time I finally had a moment to breathe, I was already 60.

If I live to be 90, I have 30 years left. I want to live those years for myself. But I know my body will grow weak, and I won’t be able to live with the same energy I once had. Right now, life feels endless—but who knows what tomorrow will bring? If I want to live the rest of my life doing what I love, I need peace of mind. That means keeping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 beside me.

When I was young, life felt long. But now, it passes so fast—I feel anxious. I often think: Before I get any older, I need to do the things I put off because of my kids or my husband. So I started looking around for inspiration. I ended up going to three talks by Venerable Pomnyun Sunim—one in Queens, one in Manhattan, and one in Fort Lee.
I wanted to see him in person and feel the atmosphere. Would his words really speak to my heart?

While working in my studio, I often listen to his YouTube videos. One story stayed with me.
A young woman was complaining:
“It’s so hard living with my husband now that he’s home all the time. We keep fighting.”
Sunim answered:
“Think about what it will be like when he’s gone. At most, you might have a few more years. It could even be over tomorrow. Just having someone beside you is a blessing. We only realize how precious it was after we lose it.”
He continued:
“When someone is far away, we see what we have in common—the big picture. But when they’re close, we only see the small differences—the little things that annoy us. That’s why people fight. But if you simply accept that your husband is different from you, there’s no conflict.
When we expect, ‘I treat you well, so you treat me the same,’ and they don’t—then we feel hurt. That’s not love—that’s a transaction. We become like business partners. Loving you is my choice. Whether you love me or not is your choice. Love is not about getting something in return.”

And one more thing he said:
“When you say you’re trying to endure or working to be patient, that means you don’t know how precious this moment really is. If you understand that each moment is valuable and won’t last forever, there’s no need to try or endure—it just becomes natural.”

Thankfully, I already know my husband is precious to me. I don’t need to force myself to try or be patient. I just want him to stay healthy and live a long time—so he can keep creating good artwork.

After all, our marriage started hard, since he didn’t make much money. But little by little, our life became more comfortable. And I have this small hope: maybe, unlike other jobs, an artist’s income might even increase with age. That thought makes him even more precious to me.
Of course, when he’s not working, all he does is read newspapers all day and say annoying things without any sense. Sometimes I get angry. But then I remember how lucky I am—and I calm down.
Still, I have to ask myself:
Aren’t I the one who always says, “Mone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end? Isn’t that just another kind of business thinking?

Saturday, December 3, 2016

뭘 더 어떻게

시간에 아무도 이메일을 보내올 사람이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나는 습관적으로 메일을 확인하려 드는가? 오래전 젊은 시절에도 누군가에게서 오지 않던 전화를 기다리곤 했듯이. 옛날 겪었던 기억의 흔적이 아직도 희미하게나마 의식의 한구석에  찍혀진 작은 점만큼으로 남아서인가.

그의 이름도 얼굴 모습도 이제는 기억에서 스멀스멀하지만, 그의 전화를 기다리며 조바심을 쳤던 여러 나날, 망설이다 용기 내어 어두운 방에서 들던 수화기, 귀찮다는 듯 받던 그의 싸늘한 목소리에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당황했던 순간들만은 마치 엊그제 일인 또렷하다.

여보세요.” 
그가 전화를 받았다
….” 
그가 말이 없다. 얼음기둥처럼 몸은 굳어지고 고드름 끝처럼 머리카락은 솟았다. 입술을 잔뜩 이를 간신히 떼어내고 
연락이 없어서….” 
내가 연락해야 하냐는 반응이 없다
무슨 일이 있는 아닌지요?” 
바빠서요.” 이쯤 해서 그만둬야 했는데
주말에 한번….” 
바쁜 일이 있어서.” 
차가운 목소리로 더는 질질 끌고 싶지 않다는 투였다.

볼멘소리로 
"~" 
상대의 수화기가 조용히 찰칵하더니 뚜뚜뚜. 짧은 순간에 온갖 생각이 난무하다 그와의 짧은 인연이 이렇게 끝난다는 것을 뼛속 깊이 느꼈다.

씁쓸한 맛을 보고 정리돼야만 잊을 있다.’ 한때의 연애 지론은 이유도 모른 갑자기 연락을 끊은 그에게 전화했고 수화기를 놓는 순간 이별에 적응하기 시작했다. 더는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는 후련함이 밀려오며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쉽게 잊힌 없는 만남이 되었다.

인간관계라는 것이 갑자기 싫어질 때가 있다. 어릴 적엔 치열하고 끈질기게 이유를 확인하곤 했지만, 지금은 아니다. 분명히 이유가 있을 수도 있지만, 그게 어쨌단 말인가. 싫어서 보기 싫다는데. 돌아선 사람 되돌릴 있는 일도 아니고 되돌린들 오래 관계일 없다.

고민하느라 밀린 잠을 몰아 자고 일어나 고개 숙여 잠깐 생각하다 머리채를 좌우로 서너 흔들고 나면 싫다는 사람과 아무런 사이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추운 겨울 찬바람 맞고 나면 오는 봄에 이끌려 가듯이 우리는 이제 끝이야.’

절대 잊지 못할 같았던 사람과 순간들이 쉽게 잊힐 있다는 것을 나이가 들면서 깨달았다어차피 만남이 시작되는 순간 이별도 서서히 다가오니까.

Friday, December 2, 2016

That's no big deal

Why do I habitually check my e-mail, knowing that nobody will send it at this timeJust as I used to be waiting for a phone call that did not come when I was youngIs the trace of the memories that it had suffered from the old days still remain as a tiny dot which is faintly imprinted in a corner of consciousness?

His name and face even now feel faint in my memory. Howeverthe days when I was impatient waiting for his phone. The moment when I hesitated, and encouraged to call him in a dark room wondering what to say to his cold voice are as clear as the last days.

He picked up the phone. "It’s me." He was silent. Like the ice pillars, my body stiffened and the hair rose like the tip of an icicle. I just managed to pull my mouth open and said, "I haven’t heard from you.” "I'm busy." I had to quit because of this. "Can I see you this weekend?” "I have a busy weekend, "he said, not wanting to get any more in a cold voice. 

There was a moment of silence, and then He hung up the phone quietly. In a moment, all kinds of thoughts were flying around and I felt in my bones that this was how the short relationship with him was over.

'I can not forget something unless I feel the bitter taste of it.’ Once my love theory made me to call him who had lost contact, without knowing why, as soon as he hung up the phone, I began to adjust to the breakup. The feeling of relief came around that no longer had to wait. it was a worthless encounter that was easily forgotten.

There is a time when the relationship is suddenly disliked. I used to be fiercely and persistently trying to determine why, but not now. Surely there may be a reason, but that's no big deal. It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turned back, nor the returnees cannot be a relationship that will last long.

When I wake up with a heavy sleeping after without sleep in agony, I realize that I have nothing to do with someone who don’t like me. As the spring comes after the cold winter is overA little smile and whisper, ‘ We’re finished.'

As I grew older I realized that those people and moments that seemed to never forget could easily be forgotten.

As soon as the meeting begins, the separation begins slowly.

Saturday, November 19, 2016

할아버지의 브렉퍼스트

사촌들은 너희가 챙겨라. 엄마는 이제 나이 들고 힘들어 쉬어야 해.”

아이들이 어릴 적엔 매년 연말에 LA 시댁에 갔다. 그러나 세월이 가면서 반대로 LA 조카들이 뉴욕을 수시로 방문한다.

젊은이들이 꾸역꾸역 모여드는 브루클린 강변이라 아이들이 해외로 떠돌다가도 돌아와 살고 싶어 하고 조카들까지 몰려오니 가뜩이나 비실비실한 내가 떠나는 수밖에. 브루클린 집을 떠나 맨해튼으로 도망치듯 나왔다. 함께 살면 끼니 걱정에 시시콜콜한 잔소리 타령이 다 큰 놈들에게 좋을 리 없을 것 같아 힘든 결정을 했다.

좁은 아파트에서 6 (87, 88, 89, 90, 91, 93년생)이 뒹굴며 자고 놀며 지내다 때가 되면 조카들은 방을 얻어 나가 독립했다. 함께 여행도 가고 주말에는 맥주 마시며 잘 어울린다니 얼마나 다행인가. 매년 연말이면 흩어져 있는 손주들을 불러모아 시끌벅적한 모습을 카메라에 담기를 즐기셨던 시아버지의 바램이 이루어진 셈이다. 지금은 저 하늘나라에서 흐뭇하게 바라보시고 계실는지!

가끔 밥 한 끼 해주는 것으로 땡인 내가 지난번 아이들 6명과 센트럴파크에서 피크닉을 했다. 자리 깔고 먹고 누워 하늘에 떠가는 구름을 쳐다보다 그중 하나가 할아버지가 만든 브렉퍼스트가 먹고 싶다고 하자 모두가 수긍하며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실타래 풀듯 쭉 늘어놓았다.

이른 아침 일어나시자마자 커피를 끓이고 시나몬 번을 만드시던 할아버지. 커피와 시나몬 향이 가득한 부엌에서 하얀 앞치마를 두르고 바삐 움직이시던 할아버지가 왜 그립지 않겠는가추수감사절엔 듬직한 터키를 여러 마리 구워 사돈댁에 돌리고 크리스마스에는 요리사 모자를 쓴 손주들과 함께 쿠키 하우스를 만들던 자상한 할아버지를 어찌 잊겠는가.

할아버지를 닮아 아이들 모두가 음식 만드는 것을 무척 좋아할 뿐만 아니라 제법 잘 만든다. 특히나 10여 년 만에 LA에서 온 93년생 막내는 육 척 장신의 헌헌장부가 되어 입안에서 살살 녹는 피치 코불러 (peach cobbler)을 피크닉에 구워왔다. 다들 잠든 이른 아침에 혼자 베이컨과 해시부라운을 준비해 아침상을 차려놓는다니.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고스란히 담아내는 듯하다.

남편도 시아버지의 반만이라도 닮았으면 얼마나 좋을까. 유전은 가끔 건너뛰면서 흘러가는가?

Friday, November 18, 2016

Grandfather’s breakfast

"Take care of your cousins .Mom is now getting older and needs to rest."

When my children were young, we went to LA 's in-laws house every year. But as time goes by, their cousins from L.A. visit New York City from time to time.

My two sons were born and grew up by the East River in Brooklyn where young people flocked. They still want to live here even adults, and their cousins too. I left my Brooklyn home and ran to Manhattan. I made a tough decision because I am the person who have a nagging worries about their meals did not think it would be good for the big guys If we lived together,

When my two sons and four cousins were sleeping and playing in a small apartment, the cousins got a room and became independent. I'm glad they're traveling together, drinking beer on the weekend and getting along well. The wish of my father-in-law has come true. Every year at the end of the year, my father-in-law, who used to gather his scattered family and to capture them on camera.

I had a picnic at Central Park with six kids. When we lay down and looked at the clouds floating in the sky, one of them said that he want to eat a breakfast made by grandfather. Everyone agrees, releasing memories of the grandfather.

The grandfather used to boil coffee as soon as he woke up early in the morning. And he made cinnamon burn. Why do not they miss their busy Grandpa wearing a white apron in a kitchen full of coffee and cinnamon scents?

On Thanksgiving, how would they forget about grandfather, who baked several reliable turkeys to his in-laws and made cookie houses with his grandchildren who wore white chef hats?

Not only do children like their grandfather very much, they also quite good at cooking. Especially the youngest cousin baked a peach cobbler that melts in our mouth for a picnic. In the early morning when everyone was asleep, prepared bacon and hash browns and set up the morning table. It seems like it captures the memories of the grandfather.

Wouldn’t it be nice if my husband resembles half of his father? Does genetics flow by skipping some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