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September 29, 2012

파김치 아리랑

정신 차려. 애가 소금에 푹 절인 파김치 같네. 그 못된 성질 다 어디 갔어? 미국 가기 전에는 제 성질대로 안되면 방바닥을 뒹굴며 난리 치던 애가, 미국 가더니 성질 다 죽고 사람 됐네뉴욕 물이 세기는 센가 보다. 미국 가기 잘했지. 공부해서 좋, 못된 성질 고쳐 좋지, 결혼비용 안 들었으니 일 석 삼조다. 너 한국에서 결혼했으면 돈 엄청나게 깨졌다. 모르긴 해도 유학 비용보다 훨씬 더 들었을걸.” 
오래전, 한국을 방문하니 친정아버지가 기뻐하시며 하신 말씀이다. 

이종사촌 언니가 한국 음식이 가득 든 커다란 박스를 뉴욕으로 가는 나에게 시카고에 사는 시누이에게 전해 달라며 공항에 가져왔다
"언니, 시카고가 어디야?"
물었더니 뉴욕과 가까운 곳이란다연락하면 가지러 올 거라며 짐 부치는 곳에 밀어 넣었다

JFK공항에 학교에서 나온 말레이시아 여학생이 내 이름이 쓰인 종이를 들고 서 있었다. 박스에서 한국 음식 냄새가 솔솔 새는 것이 아닌가! 가뜩이나 못 하는 영어가 더 귀에 들어오지 않았다
학교 등록을 마치고 박스를 가지러 오라고 시카고에 전화했다. 시카고에서 뉴욕이 얼마나 뭔 곳인데 가지러 가느냐며 우편으로 부치란다. 차도 없고, 우체국도 모를뿐더러 어떻게 붙일 줄도 모르는 나에게 왜 가져 왔느냐?’며 귀찮다는 듯 전화를 끊었다.

미국에 유학 간다니까 교수님이 미국에 사는 지인의 전화번호를 줬다. 번호가 적힌 종이를 꺼내 보기만 하고 망설이다 용기를 내어 전화했다. 조심스럽게 
저 서울에서 온 이수임인데요. 
난 한국 사람 안 만납니다. 
차가운 목소리로 단칼에 잘라 밀어냈다. 쇠몽둥이로 머리를 심하게 얻어맞은 몸이 굳어져 전화 수화기를 내려놓을 수 없었다.

한국 아줌마를 우연히 만났다매우 반가웠다
나는 서울에서 방금 온 약아 빠진 아가씨는 무서워서 상대 안 해요. 
깊은 늪으로 빠져들며 허우적거렸다.

외로움에 절은 내가 한국 남자와 차를 마실 일이 있을 줄이야! 잘 보이려고 작은 눈을 반짝거리며 열심히 그의 말에 경청하고 있었다
이러고 노닥거릴 시간에 돈을 벌면 벌써 꽤 벌었겠네, 미국에서는 시간이 돈이지요. 
절벽 아래로 등 떠밀려 떨어지는 느낌에 옴짝달싹할 수 없었다.

나는 오랜 미국생활을 하면서 수없이 절벽으로 떨어졌다가는 기어 올라오고, 떨어졌다가는 다시 악착같이 기어오르며 서서히 파김치가 되어갔다. 나 또한 누군가를 파김치로 만들었을 덴데….

Friday, September 28, 2012

Green onion kimchi Arirang

“Get a grip! You look like over-salted green onions—totally limp. What happened to that fiery temper of yours? Before you went to America, if things didn’t go your way, you’d throw a tantrum and roll around on the floor! And now? You’ve gone soft and actually turned into a decent human being. I guess New York really does change people. Good thing you went to the U.S.—you got to study, tame that nasty temper, and we didn’t have to pay for a wedding. Three birds with one stone! If you’d gotten married in Korea, we would’ve spent a fortune. I’d bet it would’ve cost way more than your tuition.”
That’s what my father said, delighted, when I visited Korea long ago.
Before I left for New York, my cousin brought a huge box filled with Korean food to the airport and asked me to deliver it to her sister-in-law in Chicago.
“Unni, where’s Chicago?” I asked.
She said it was somewhere near New York. She assured me that if I contacted her, she’d come pick it up. So we shoved the box onto the check-in counter.

At JFK Airport, a Malaysian girl from my school stood holding a sign with my name. And wouldn’t you know it—the smell of Korean food was already leaking out of the box. My English, already shaky, completely failed me.

After registering at school, I called Chicago to let them know the box had arrived. They snapped, “Why would I go all the way to New York to get it? Just mail it.” But I didn’t have a car, didn’t know where the post office was, and had no idea how to send a package. She hung up, annoyed: “Why’d you even bring it?”

Before leaving Korea, a professor had given me the number of someone he knew in the U.S.

I pulled out the slip of paper and hesitated, but finally gathered the courage to call.
“Hello, I’m Sooim Lee, I just arrived from Seoul…”
“I don’t meet with Koreans.”
His voice was cold and final, like a blade. It felt like being hit on the head with a metal rod. I stood frozen, unable to hang up the phone.

I happened to meet a Korean ajumma (older woman) one day. I was so happy. But she said, 
“I don’t deal with sly young girls fresh off the boat from Seoul.”
It felt like I was sinking into a deep swamp, struggling not to drown.
I was so lonely that I even ended up having tea with a Korean man—something I never thought I’d do. Trying to make a good impression, I widened my small eyes and listened carefully. But then she said, 
“Instead of wasting time chatting, you could be making money. Time is money in America, you know.”
It felt like being pushed off a cliff. I was frozen, unable to move.

Over the years in America, I kept falling off that cliff—again and again. Each time, I’d claw my way back up, only to fall once more. Bit by bit, I became that over-salted green onion—limp and worn out. And I can’t help but wonder… How many people did I turn into salted green onions, too?

Saturday, September 22, 2012

자연으로 돌아가다

가을이 뜨거운 여름을 밀며 서서히 다가오고 있다. 서늘한 바람 소리에 가슴이 아려온다. 어느새 긴 소매로 갈아입은 사람들의 웅크린 뒷모습을 보면서 뭔지 모를 먹먹함, 그리움으로 아련해진다. 잡을 수 없이 또 한해를 혹독한 겨울에 내 주어야 하는 아쉬움 때문일까?

나는 어린 나이에도 세상을 다 산 사람처럼 서늘한 가을바람만 불면 슬퍼했다. 허약했기 때문에 더욱더 가을을 타지 않았나 싶다. 공기 좋은 곳에서 하루 세끼 따듯한 밥을 먹이면 건강이 회복될 것이라는 엄마의 바람으로 시골에 보내졌다.

들과 산을 거닐다 개울가에 발을 담그고 물장구를 치며 놀다 바위 위에 누워 책을 읽곤 했다. 서늘한 바람이 불면 조금은 통통해진 모습으로 서울집에 돌아오곤 했다.

우연히 인터넷에서 원달마센터를 접할 수 있었다. 숲을 뒤로하고 펼쳐진 들판 위에 단순하게 나무로만 지어진 사각형 모습이 나의 어릴 적, 자연에 대한 기억을 자극했다. 그 모던한 나무 상자에 들어가 쉬고 싶었다.

뉴욕에서 3시간가량 올바니 가는 곳, 규칙에 따라 첫날부터 누구와도 말을 하지 않는 노블 사일런스에 들어갔다. 입을 다물자 눈이 활짝 트이고 멀리 녹음이 우거진 숲이 가까이 와 있었다. 귀가 열리자 다양한 풀벌레들의 울음소리가 귀가에 맴돌았다.

들판을 지나 숲 속을 거닐었다. 발을 옮길 때마다 온갖 풀벌레들이 화들짝 날아올라 뒤를 따랐다. 쉬지 않고 울어대는 풀벌레 소리에 새들도 다정하게 응답이라도 하는 듯 재잘거렸다.

멀뚱히 쳐다보는 사슴과 마주치자 멈칫거리더니 슬그머니 식솔을 데리고 수염이 훌훌 날리는 옥수수 밭쪽으로 사라졌다. 숲 사이로 부는 바람은 들고 있는 빈 물병에 잠깐 들어왔다 나를 놀리듯 소리를 내며 달아났다.

구릉진 언덕을 미끄러지듯 내려가면 반들거리는 돌 사이로 속삭이듯 흐르는 물소리가 잘 왔어. 잘 왔어.’ 조잘조잘 대며 반겼다. 맑은 유리잔 같은 물에 손을 담그다 고개를 드니 어두컴컴한 숲 속의 고목 사이로 들어오는 햇살은 번다한 도시 속의 찌든 내 시야를 말끔히 씻어줬다.

넓은 들판에 내리쪼이는 햇볕에 풀들은 이슬을 털고 여름의 막바지를 느긋이 즐긴다. 나도 그들과 함께 어우러져 자연으로 돌아갔다.

목탁소리가 산사를 울리면 명상을 하러 불당으로, 또 다른 시간의 목탁소리는 고픈 배를 달래는 공양시간이다. 채소로만 준비된 정갈한 음식은 어릴 적 시골에서 먹던 그 맛이다.

케스킬 산을 안은 산사에 앉아 저무는 햇살 속으로 잠겼다. 녹색 산이 붉은 노을 밑에서 푸른 색을 띠다 검은색으로 변했다. 붉어진 해가 꼴깍 넘어가고 어두워지면 잠자리에 들었다.

명상은 심플해진 내가 빈 공간으로 비집고 들어가다 더 넓은 공간을 만나고 드디어는 자연으로 돌어가는 것이 아닐까?

Friday, September 21, 2012

Return to nature

Autumn is slowly pushing away the heat of summer. The chill in the wind makes my chest ache.
Watching people hunched over in long sleeves, I feel a strange heaviness, a quiet longing. Is it because, once again, I must let go of the year and surrender it to the harsh winter?

Even as a child, I felt sadness whenever the cool autumn wind began to blow—like someone who had already lived a whole life. Perhaps my frailty made me more sensitive to the changing seasons. Hoping fresh air and three warm meals a day would restore my health, my mother sent me to the countryside.

I would wander through fields and hills, dip my feet into streams, splash around, then lie on warm rocks and read. When the breeze turned cooler, I’d return to our Seoul home looking a little healthier.

One day, I came across the Won Dharma Center online. Set beyond a forest and open field, its simple, box-like structure built entirely of wood reminded me of my childhood and time spent in nature. I wanted to retreat into that modern wooden box and rest.

About three hours from New York City, near Albany, I entered the center and immediately began “noble silence,” as the rules required. As soon as I stopped talking, my eyes opened wide—and the green, lush forest felt closer. When my ears opened, I began to hear the chorus of insects, surrounding me in waves of sound.

I wandered through the fields and into the forest. With every step, startled bugs leapt into the air behind me. The chirping never stopped, and even the birds seemed to be answering them with cheerful replies. I met the eyes of a deer staring quietly at me. After a moment of stillness, it turned and disappeared into a cornfield, its white tail flicking as it led its family away. The wind slipping between the trees entered my empty water bottle, let out a teasing “whoosh,” then fled.

As I slid down a gently sloping hill, I heard the soft murmuring of water flowing over smooth stones.
“Welcome, welcome,” it seemed to whisper.
I dipped my hand into the crystal-clear stream and looked up— Sunlight streamed through old trees deep in the forest, clearing the dusty fog that had clouded my urban eyes. 
On the wide, open field, grasses shook off the morning dew, basking in the last stretch of summer. I, too, joined them—returning to nature, part of the landscape.

When the sound of the moktak (wooden temple instrument) echoed through the mountain monastery, I walked to the meditation hall. Another strike of the moktak meant it was time to eat.
Simple meals made only from vegetables brought back memories of food I ate long ago in the countryside.

I sat at a mountain temple nestled in the Catskills, letting the setting sun wash over me. The green mountain slowly darkened, turning blue, then black beneath the red sky. When the sun slipped completely away and night fell, I went to bed.

Meditation, I’ve come to feel, is perhaps the process of the simplified self slipping into emptiness and discovering a space even wider than that… Until finally, it leads us gently back to nature.

Saturday, September 15, 2012

멈춰진 시간

며칠 전부터 기운이 없다. 머리가 욱신거리면서 구역질이 난다. 토하면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 죽을 것만 같다. 죽기 전에 이 넓은 세상을 언제 다 볼 것인가! 가자. 프랑스 파리로.

예약한 파리행 비행기 표를 찾아15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탔다. 13층에서 덜컹하며 반 층 정도 밑으로 떨어지더니 12층과 13층 사이에 멈춰 엘리베이터 문이 열렸다 닫쳤다 하는 게 아닌가! 열린 문 앞은 회색 벽으로 막혀 나갈 수 없이 혼자 갇혔다.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지? 아무렴 배운 사람답게 찬찬히 침착하게 행동해야지. 다짐하면서도 얼마 동안 갇혀 있을 것인지? 한 시간, 두 시간, 아니면, 점점 불안해지기 시작했다.

얼마 전 교통사고로 관에 들어가듯 MRI 검사를 했다. 40분 동안 숨이 막혀 죽을 것 같았던 기억이 살아났다. 땅이 좁은 홍콩은 관을 세워서 묻는다고 누군가가 우스갯소리를 한 기억이 스쳤다. 엘리베이터 안이 MRI 속처럼 점점 조여드는, 관속에 갇힌 듯했다엘리베이터 버튼을 눌렀다. 아무 반응이 없다. 이 버튼 저 버튼 마구 눌렀다.

스피커에서 엘리베이터 밖으로 나오라는 소리가 들렸다. 나갈 수 있으면 내가 왜 이러고 있겠는가! 처음에는 점잖게 
I can not get out of here. I am in the middle of the floor.
라고 말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는 움직이지 않고 시간만 흘러갔다
Let me get out of here. Is there anybody out there? 
목청을 다해 소리를 질렀다.

엘리베이터 문이 닫혔다. 드디어 일 층으로 내려가는가 보다. 웬걸, 엘리베이터는 움직이지 않았다. 스피커에서도 아무 소리가 나지 않고 적막함이 계속됐다. 겁이 덜컥 났다. 
너 거기서 뭐 하는 거야? 빨리 문 열어, 안 열어.
마구 질러 되기 시작했다. 목이 조여드는 것 같았다. 드디어는 미친 사람처럼 울부짖듯 악을 썼.

갑자기 엘리베이터가 서서히 움직였다.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11층에서 조용히 문이 열렸. 엘리베이터 문이 도로 닫히기 전에 후다닥, 관을 땅에 묻기 전에 관뚜껑을 열고 뛰어 나오듯 밖으로 나왔다. 이상하리만치 아무도 없고 조용했다. 크기만 다르지 엘리베이터 사이즈를 확대해 놓은 듯한 고요하고 적막한 긴 복도만이 보일 뿐이다.

나 혼자만 난리 치고 모든 것은 그대로였단 말인가! 서운했다. 누군가에겐가 한바탕 악을 써대며 속을 풀어야 하는데 아무도 없다니! 몰상식하게 소리를 질러 된 내 모습이 떠올랐다. 빨리 여기에서 빠져나가는 것만이 상책이다. 건물 밖으로 잽싸게 뛰쳐나왔다.

밖은 밝고 화창했다. 나에게 일어난 일도 모른 채 세상은 잘만 돌아가고 있었다. 칼칼했다. 쏘윈도우에 비친 헝클어진 내 모습은 정신 나간 여자가 따로 없었다. 혹시나 누가 나를 보고 있는 것은 아닌가? 사방팔방을 휘둘러 보면서 바삐 걸었다. 다리에 발동기를 단 듯 몸이 가벼 날아갈 것 같. 머리의 통증도 사라졌다.

맨해튼 5애브뉴를 힘찬 걸음으로 걷고 있는 나는 웃고 있었다. 

Friday, September 14, 2012

Stopped Time

I’ve been feeling weak for a few days. My head hurts and I feel like throwing up. But when I try, nothing comes out. I feel like I’m going to die. How can I see the whole wide world before I die? Let’s go. To Paris, France.

I found my ticket to Paris and took the elevator from the 15th floor. But when I got to the 13th floor, the elevator made a loud sound and dropped a little. Then it stopped between the 12th and 13th floors. The door opened and closed again and again. I looked out, but there was only a gray wall. I was trapped alone.

“What should I do now? I must stay calm, like an educated person,” 
I told myself. But I started to get scared. 
“How long will I be stuck here? One hour? Two hours? Or more?”

I remembered when I had an MRI after a car accident. I felt like I couldn’t breathe inside the machine. It felt like a coffin. Someone once said in crowded Hong Kong, they bury people standing up because there’s no space. Now the elevator felt like a coffin too. I pushed the buttons. Nothing happened. I pressed every button.

Then a voice from the speaker said, “Come out of the elevator.”
I thought, “If I could get out, I wouldn’t be stuck like this!”
At first, I calmly said,
“I can not get out of here. I am in the middle of the floor.”
But nothing happened.
So I shouted,
“Let me get out of here! Is there anybody out there?”

The elevator door closed. I thought, maybe now it will go down to the first floor. But it didn’t move. There was no sound. Only silence. I felt really scared. I shouted,
“What are you doing? Open the door! Open it now!”
My throat felt tight. I screamed like a crazy person. Then slowly, the elevator moved. It stopped at the 11th floor and the door opened quietly, like nothing happened. Before it closed again, I ran out fast—like jumping out of a coffin before it’s buried.

It was strange. No one was around. It was silent. Only a long hallway, big and empty like the inside of a giant elevator. Was I the only one making a fuss? Everything else was the same. I felt disappointed. I wanted to yell at someone to let out my feelings. But there was no one. I remembered how crazy I must have looked while shouting. The only thing to do now was to get out of the building. I quickly ran outside.

Outside, it was bright and sunny. The world kept moving, like nothing happened to me. My throat was dry. I looked at myself in a store window. My hair was messy. I looked like a crazy woman. Was anyone watching me? I looked around nervously and walked quickly. It felt like I had wings on my feet. My body felt light, like I could fly. Even the headache was gone.

I was walking down 5th Avenue in Manhattan with strong steps.
And I was smiling.

Saturday, September 8, 2012

너나 잘해라

아이 넷을 서울에서 키우려니 사교육비가 많이 든다고 친정 올케의 걱정이 날로 늘어갔다. 내 딴엔 친정을 위한답시고 올케를 기러기 엄마로 만들었다연로한 부모가 어렵사리 쌓아 놓은 친정집 재산 줄어드는 것이 가슴 아팠다고나 할까

그런데 웬걸 조카들의 사교육은 미국에 와서도 이어졌을 뿐만 아니라 올케 본인이 골프에, 플루트 레슨를 한다니엎친 데 덮친 격으로 쇼핑에 빠진 올케를 어찌할꼬! 보는 것마다 사고 싶은 물건으로 넘쳐나는 미국에 왔으니 사고도 싶겠지만 그래도 이건 아니다. 친정집 기둥 뽑히는 소리에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밤잠을 설치며 미국에 부른 것을 후회했다.
돈도 많아. 누구는 좋겠네!” 
친정아버지에게 꼰 지르며 불평불만을 토했다.
며느님이 쓰겠다는데 네가 왜? 너도 시집 잘 갔으면 될 거 아니야. 다 타고난 복이다.” 
본인 건강 챙기기도 버거운 친정아버지는 신경 쓰기 싫은지 내가 꼰 질을 때마다 
너나 잘해라. 너나 잘해.”

말이 검소한 미국생활이지 마음에 드는 물건을 사려면 들었다 놨다, 머리 터지도록 계산하고 쿠폰 들고 더 싼 것을 찾아 헤매는 나와는 다른 세상에 사는 올케가 영 마음에 들지 않았다. 친정부모가 고생하며 쓰지 않고 모은 재산 자식인 나는 써보지도 못하고 어디서 굴러들어온 것이 쓴다는 생각에 약이 올랐다뭔가 떨어질 것이 없나 하고 공허하게 기다리고 또 기다렸는데 올케가 냅다 새치기해서 내 것을 낚아챈 기분이랄까. 별 볼 일 없는 남동생이 귀공자처럼 생겼다며 옆에 붙어 줄 설 때부터 알아보긴 했지만. 내 밥그릇을 뺏긴 듯 서운하고 억울해 속이 뒤틀렸다.

지인이 결혼한 딸네 집에 가서 이렇게 저렇게 하라며 참견을 했다. 견디다 못한 딸이 
엄마, 이 집이 내 집이야 엄마 집이야?” 
? 네 집이다.” 
그럼 내 집에서 내가 주인이야 엄마가 주인이야?” 
네가 주인이다.” 
"엄마, 내 집에 와서는 주인인 내식에 따르고 엄마 집에서는 엄마 마음대로 살아."
라고 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아차 싶었다.

친정아버지가 번 돈 엄마가 알뜰하게 관리해 모아 놓은 재산이 나와 깊은 관계가 있는 줄 알고 관여하려 했다. 친정부모가 재산 불릴 때 도와준 것도 없이 오히려 유학 한답시고 축이나 내고서 뭔 할 말이 있다고더욱이 엄마 돌아가시고 아버지 기력이 쇠 할수록 올케의 힘이 더욱 세졌는데. 돈 가진 사람이 주고 싶은 사람에게 주겠다는데.

남의 것 넘보지 않고 내 가진 것이나 잘 지키기며 살기로 했다. 아버지의 입에서도 너나 잘해라.' 는 말이 쏙 들어갔다

Friday, September 7, 2012

Mind your own business

Raising four children in Seoul meant spending a fortune on private education, and my sister-in-law's worries kept growing. Wanting to "help out" my side of the family, I had the brilliant idea to turn her into a gireogi mom—a mother raising kids in the U.S. while her husband stays in Korea. Honestly, I think I was just upset watching my aging parents' hard-earned savings slowly disappear. It pained me.

But what happened next caught me off guard. The private education didn’t stop when they moved to America—it just continued, even more intensely. On top of that, my sister-in-law started taking golf and flute lessons. And to make things worse, she got hooked on shopping. I get that the U.S. is full of tempting things, but this was too much. I started waking up in the middle of the night in regret, tossing and turning, wondering why I ever encouraged them to come here.

"Wow, must be nice to have that kind of money!"

I whined to my father, tattling like a child.
“If my daughter-in-law wants to spend it, why not?” he replied.
“If you’d married well, you could do the same. It's all a matter of luck and fortune.”
Already overwhelmed with his own health issues, my father clearly didn’t want to get involved. Every time I complained, he shut me down with:
“Worry about yourself. You take care of you.

We always say life in America is frugal, but the truth is, if you want to buy something nice, you still have to think it over a hundred times—pick it up, put it down, pull out a coupon, hunt for a cheaper option. But my sister-in-law seemed to live in another world.

I couldn’t stand the thought that while I—their own daughter—hadn’t even touched a cent of the money my parents worked so hard to save, this outsider came in and spent it freely. I kept waiting… hoping something might “trickle down” to me. But it felt like she cut the line and snatched what should have been mine. I guess I should’ve seen it coming, back when people lined up for my not-so-special little brother just because of his good looks. I felt robbed—like my bowl had been taken away. Bitter. Jealous. Twisted up inside.

A friend once told me a story about her daughter. She had gone to visit her married daughter’s home and started fussing over things, telling her what to do. Finally, the daughter snapped.
“Mom, is this your house or my house?”
“Well… it’s yours.”
“Then who’s the boss here—me or you?”
“You are.”
“Exactly. So when you come to my house, you follow my rules. When I come to your house, I’ll follow yours.”
That story hit me hard.

The money my father earned and my mother managed so carefully—somehow, I thought I had a right to it. But the truth is, I didn’t help earn it. I just spent some of it going abroad for school. And after Mom passed and Dad’s strength faded, my sister-in-law’s influence only grew. At the end of the day, money goes to whoever the person holding it wants to give it to.

So I decided: no more peeking into someone else’s bowl. I’ll just protect what’s in mine and live my life. Even my father stopped saying, “You take care of you.” Because now, I finally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