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December 28, 2019

오지랖은 이제 그만


부부 사이가 좋은가 .” 
오프닝에서 선배가 나에게 물었다
좋기는요, 그냥 의리와 책임감으로 사는 거지요. 잘살아 보겠다고 새벽부터 애쓰는 보면 돼서 측은지심도 들고.” 
그게 사랑이지.” 

나를 애지중지하던 엄마가 돌아가신 시어머니를 엄마라고 생각하기로 했다. 그런데 착각이었다. 우리 엄마는 약한 내가 아플까 자는 나를 깨우지 않고 보약을 철마다 먹였다. 시어머니는 보약은커녕, 너는 이렇게 약하니? 잠이 많냐? 따듯한 LA 가서 애들 풀어 놓고 누어 자빠져 자는 꼴을 못마땅해하셨다. 본인이 워낙에 건강하시고 평상시에 쉬지 않고 일하셔서 내가 꾀를 부린다고 생각하신 건지? 사랑까지는 아니어도 없는 살림 꾸려나가느라 힘이든 모양이다.라는 시어머니의 측은지심은 없었다.

잠을 충분히 자지 않으면 아프다. 피곤하면 이석증으로 머리가 빙빙 돌고 소화를 시키지 못하다 여러 앓는다. 그래서 남의 집에 가서 잠을 자지 못한다. 여행 가서도 일찍 잠자리에 든다.

나를 무척 예뻐하시던 아버지가 돌아가신 남편에게 아버지가 나에게 해줬던 것을 기대했다. 다행히도 남편은 자는 나를 깨우지는 않는다. 아파 빌빌대느니 자게 놔둔다. 아버지만큼은 아니지만 자기와 사느라 고생했다는 동정심은 있는지 성질을 건드리지 않으려고 애쓴.

여자 동생이 싱글일 때, 나는 동생이  지내고 있나? 사귀는 남자와는 가는지 궁금해하며 걱정을 많이 했다. 그러나 결혼 멋지고 능력 있는 남편 만나 하나 낳고 사는 것을 보니 더는 신경 쓰지 않는다. 남자 동생은 워낙에 여자 형제들보다 월등히 사니 더욱 신경 일이 없다. 한동안 나는 엄마의 정을 언니에게서 느끼려고 했는지 뒤늦게 미국에 언니와 가깝게 지내려고 애썼다. 그러다 어느 가만히 생각해 보니 언니에게는 누구보다 믿고 의지하는 하나님이 항상 함께하는데 내가 그동안 언니 일에 참견한 것이 언니를 위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힘들게 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언니에게 미안하다.

아버지 살아계실 때는 문제가 생길 때마다 툭하면 서울에 전화해서 자문했다. 아버지가 현명한 조언을 해주셔서 살기가 수월했다. 조언을 구하다 가끔은 사람 사람에 대해 투덜대면 
걱정이나 해라. 너나 살아.”
라고 다독거리셨는데 돌아가신 아버지 말씀을 잊고 오지랖을 떨었다

타인에 대한 관심이 지나치다 오지랖으로 이어져 주위 사람들 기분을 상하게 해서 핀잔만 들었다. 남을 위한답시고 오지랖 떨어서 나에게 이득이 것이 과연 무엇인가? 여기저기 기웃거리며 오지랖 시간에 조신하게 남편에게나 잘해야지. 새해부터는.

No more meddling in other people's business.

“Your marriage must be going well,”
a senior colleague said to me. I answered.
“It’s not that great, we live together more out of duty and loyalty. But I feel sorry for my husband when I see him working hard from early morning to support family.”
“That’s love,” the senior said.

After my loving mother passed away, I decided to think of my mother-in-law as my own mother. But that was a mistake. My mom never woke me up when I was sleeping. She worried I might get sick because I was weak. She gave me herbal medicine regularly to keep me healthy.
But my mother-in-law? She never gave me anything like that. Instead, she would say,
“Why are you so weak? Why do you sleep so much?”
She didn’t like how I would rest while the kids played outside. Maybe because she was always healthy and never stopped working, she thought I was just being lazy. Even if she didn’t love me, she could have at least felt sorry for me, struggling to run a household with little money. But she didn’t.

If I don’t get enough sleep, I get sick. When I’m tired, I get dizzy from vertigo and can’t digest food well. I stay sick for several days. That’s why I can’t sleep  wellat other people’s houses and always go to bed early when I travel.

After my dear father passed away, I started to expect from my husband what my father used to give me.
Thankfully, my husband doesn’t wake me up either. He’d rather let me sleep well than see me sick. He’s not as gentle as my dad was, but he does try not to upset me. Maybe he feels a little sorry that I’ve gone through so much being married to him.

When my younger sister was single, I worried about her a lot—if she was doing okay, if her relationship was going well. But now, she’s married to a great and capable husband and has a daughter. She’s living well, so I don’t worry anymore. My younger brother is doing even better than all the sisters, so there’s no need to worry about him either.

For a while, I tried to feel my mom’s love through my older sister, who came to the U.S. later in life. I made a lot of effort to grow close to her.
But one day, I realized something: My sister already has someone she trusts more than anyone—God. Why was I trying to fill that space?
Looking back, I now see that my involvement in her life wasn’t helpful. It might have made things harder for her. I feel sorry for that.

When my father was alive, I used to call him in Seoul whenever I had a problem. He always gave me wise advice, which made life easier.
Sometimes, I would complain to him about people, and he would say,
“Worry about yourself. Just live your life well.”
But after he passed away, I forgot his words and got too involved in others’ lives.

I’ve come to realize that being too interested in others can become nosiness. It annoyed people and brought me nothing good. What have I gained by interfering in other people’s lives? Instead of poking around here and there, I should just stay calm and be kind to my husband.
Starting this new year, that’s what I’ll do.

Friday, December 13, 2019

선인장 이야기

나는 선인장을 무척 좋아한다. 30년 넘게 내 곁을 지키는 선인장이 있다. 나와 함께 창문을 내다보고 음악 듣고 내가 춤을 추는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다.

새끼손가락만 한 것이 쓰레기 더미에서 나를 데려가 달라고 빼꼼히 내다보는 것을 지나쳤다가 뒤돌아가서 주워 창가에 놓았다. 하얀 꽃을 피우며 아기 선인장도 낳아 나를 기쁘게 한다. 나는 그저 쌀뜨물을 가끔 줄 뿐이다. 자꾸 커져 휘어지는 것이 안쓰러워 실로 벽에 묶어도 주고 화분도 갈아줬다.

나의 선인장 사랑을 누군가가 엿보다가 안쓰러웠는지 가는 철사로 만든 꽤 오래되고 앙증맞은 신생아 요람을 산책 길가에 버렸길래 주어왔다. 그곳으로 옮겨 넣다가 그만 아기 선인장 두 개가 잘려 나갔다. ‘미안. 아프게 해서.’ 낑낑거리며 옮기고 더는 건드리지 않는다. 바퀴 달린 것이 햇빛 잘 드는 곳으로 옮기기도 수월하다. 선인장은 창가를 내다보며 아기가 웅크리고 자는 듯 조용하다.

친구가 손바닥 길이만 한 선인장을 십여 년 전에 줬다. 이 선인장은 휘지 않고 위로만 뻗는다. 어찌나 빠르게 자라는지 천정에 닿았다. 남편은 이러다 천장을 뚫겠다고 버리자고 했다
"밤새 새살을 내밀고 아침에 나를 반기는 살아있는 것을 어찌 버려그럴 수 없어."
남편은 드디어 잘라서 버린다며 가위를 들었다. 나는 식칼과 가위로 쳐내는 선인장을 차마 쳐다볼 수가 없었다. 다른 방에 가서 미안하다 선인장아. 정말 미안해.’ 하며 웅얼거렸다.

갑자기 남편이 침 삼키기가 힘들다며 나를 불렀다
왜 그러는데? 무슨 일이야?” 
들여다보지 않고 소리쳤다. 남편 왈, 가지를 자를 때마다 그 옛날 이차돈의 목에서 흘러나왔다는 하얀 피 같은 즙이 끊임없이 흘러나오길래 호기심에 맛을 봤단다
"아니 이놈의 선인장이 감히 내 남편에게."
나는 달려 나왔다. 남편 얼굴이 벌겋다 
괜찮아? 왜 쓸데없이 선인장을 죽이면서 즙(피)을 먹냐고. 선인장이 독을 품을 수밖에. 어떻게 해?” 
다음 날 아침 남편의 얼굴은 헐크처럼 변했다. 눈꺼풀이 큰 눈을 덮고 양 볼은 툭 튀어나오고 얼굴은 시뻘겋다. 구글에 찾아봤다. 먹으면 죽는 독 선인장이 많았다. 죽으려면 접시 물에도 빠져 죽는다더니 고놈의 선인장이 사람 잡을뻔했다. 가시가 있어서 가까이하기에 좀 그렇지 항상 나를 반기며 기다리는 착한 것인 줄 알았더니 독을 품고 지금까지 내 곁에서....

사랑하는 철사 요람 속에 있는 선인장에게 쌀뜨물을 주며 말한다
너도 독을 품고 있는 거야? 너 스스로가 죽기 전, 나 살아생전에 너는 죽이지 않을 테니 잘 지내자.”  
알아들었는지 방긋 웃는 듯한 화사한 모습이다. 사람이나 동물이나 그리고 식물이나 괴롭히면 독을 품는 것은 당연하겠지? 포트리의 한의사님이 식물에 독이 많으니 익혀 먹으라던 한마디가 생각났다.

Cactus story

I really love cacti. There’s one that has been with me for over 30 years. Sometimes, it feels like it’s quietly watching me—looking out the window with me, listening to music, and even watching me dance.

It was once no bigger than my pinky finger. I saw it peeking out from a pile of trash, as if asking me to take it home. At first, I walked past it, but then turned back, picked it up, and placed it by my window.
It has bloomed white flowers and even had baby cacti, which always brings me joy. All I do is give it some leftover rice water now and then. As it grew larger and started to bend, I tied it to the wall with thread and changed its pot to support it better.

One day, maybe someone noticed my love for this cactus. They had thrown out a small, old-fashioned baby cradle made of thin wire on the side of the street. It was so cute—I picked it up. While moving the cactus into the cradle, I accidentally broke off two baby cacti.
“I’m so sorry for hurting you,” I whispered. I carefully placed it in the cradle and haven’t touched it since.
The cradle has wheels, so it’s easy to move into the sunlight. Now it sits quietly by the window, like a baby sleeping peacefully.

About ten years ago, a friend gave me another cactus, about the size of my hand. This one doesn’t bend—it grows straight up, and fast. It grew so tall that it finally touched the ceiling. My husband said, “At this rate, it’s going to break through the roof. Let’s just throw it away.” But I said, “How can we throw it away? It greets me every morning with fresh new growth—it’s alive!” Still, my husband brought out scissors, ready to cut it. I couldn’t bear to watch. I went to another room and whispered, “I’m sorry, cactus. I’m really sorry.”

Suddenly, my husband called out, saying it was hard to swallow.
“What’s wrong? What happened?” I shouted from the other room. He said that while cutting the cactus, white sap started flowing out—like the legendary white blood from the neck of Ichadon (an ancient Korean figure). Out of curiosity, he tasted it. “What?! That cactus dared hurt my husband?!” I rushed out. His face was red. “Are you okay? Why would you taste the sap while killing the poor cactus? Of course, it’s poisonous! What are we going to do?”

The next morning, his face looked like the Hulk. His eyelids were so swollen they covered his eyes, his cheeks puffed out, and his whole face was bright red. I searched Google. Many cacti are poisonous if eaten. They say someone determined to die could drown even in a spoonful of water—but this cactus almost really killed someone. I thought it was a kind, gentle plant, always greeting me with joy despite its sharp spines. But now I realize—it had been holding poison all along, right next to me…

As I poured rice water into the cradle for my beloved cactus, I said,
“Do you have poison inside you too?
As long as I live, I won’t hurt you. So let’s live peacefully together, okay?” Maybe it understood—its flowers looked bright and happy, as if smiling.

People, animals, even plants… maybe it’s natural to carry poison when you’re hurt. I remembered what a Korean doctor in Fort Lee once said: “Many plants are toxic—you should always cook them before eating.”

Saturday, November 30, 2019

하얀의자 검은의자 빨간의자

하얀 의자에 단정한 여자가 바닥을 내려다보고 앉아 있다. 아는 여자다. 반가웠다. 그녀의 이름을 부르며 가까이 다가갔다. 그러나 그녀는 깊은 생각에 빠졌는지 쳐다보지 않는다. 또 불렀다. 흘끔 나를 보더니 부리나케 입구 쪽에 있는 검은 의자로 옮겨 앉는다. 나는 다시 그녀가 옮겨 앉은 의자 쪽으로 갔다. 그녀는 벌떡 일어나 룸을 나갔다. 왜 저러지? 당황해 그 자리에 멍청히 서 있다가 그녀가 버리고 간 검은 의자에 앉았다.

그녀는 나를 멀리하고 있다. 순간, 그녀와의 관계가 나 혼자만의 착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녀와 친해지려고 그동안 했던 내 행동과 말들이 떠올랐다. 기분이 나쁜 것도 잠시 오히려 속이 후련하다. 더는 그녀와 아무런 상관이 없게 됐다는 것이 왜 이리 자유로울까? 그녀의 거부가 내 시간과 에너지를 세이브해 줬다.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정돈을 해줘 고맙기까지 하다. 갑자기 그녀가 없는 횅한 주변을 둘러보는 나는 미소를 짓고 있다.

아무도 없는 룸을 나와 옆 룸으로 갔다. 내가 아는 여자가 하트 모양의 빨간 의자에 앉아있다. 내가 싫어하는 여자다. 그녀는 나를 보더니 반가운 표정을 짓는다. 나를 만나고 싶어 기다리고 있었단다. 언젠가 나는 그녀와 마주치고 싶지 않은 이유까지 들어가며 이야기한 기억이 난다. 자기를 거부하는 나를 기다리는 심리는 무엇일까? 네가 아무리 나를 싫어해도 나는 나 하고 싶은 대로 할 거야 인가? 아니면 너는 못됐어도 나는 워낙 관대한 사람이기 때문에 너를 용서한다인가? ‘제발 나를 용서하지 마세요. 싫다는데 왜 나에게 자비심을 베푸시며 염화시중의 미소를 짓냐고요. 제발 나를 붙잡지 말고 다른 좋은 사람들에게 자비 베풀며 사랑받으세요. 나도 너 싫어. 하고 떠나라고요.’ 외치다 꿈에서 깨어났다.

한밤중에 깨어나 꿈 이야기를 쓰며 피식피식 웃고 있다.

골치 아픈 철학적인 모임도 고상한 우아한 모임도 싫다. 그저 재미있는 웃고 떠드는 부담 없는 모임이 좋다. 철학적 용어를 늘어놓는 지식을 논하는 모임은 이 나이에 정신만 혼란하게 할 뿐 굳이 기억해서 말하고 쉽지도 않다. 고상하고 우아한 모임도 불편하다. 장단을 맞추기에는 전혀 그런 쪽으로 외모나 말본새 그리고 성질이 받쳐주지 못한다.

내가 그나마 조금 떠들 줄 아는 것은 평범한 일상에서 부딪치는 농담조 이야기다. 그것도 상대가 받아쳐 주지 못해 혼자 웃다 얼빠진 년처럼 끝날 때가 대부분이다. 도가 지나쳐 상대에게 상처를 줄 때도 있다. 그런 사람에겐 미안하다. 다음엔 조심해야지 하면서도 되풀이된다. 술이나 홀짝거리며 어쩌다 운 좋게 만난 웃기는 사람과 함께하는 날은 기분이 좋다. 그런 날 내 몸은 엔도르핀이 돌고 스트레스가 확 풀려 몸이 가벼워진다.

세상은 변했는데 내가 아직도 주책스럽게 예전처럼 말하고 행동하는 것인지? 아니면 요즈음 내가 만나는 사람들이 너무 점잖아 설까? 헷갈린다.

White chair black chair red chair

A neat woman was sitting on a white chair, looking down at the floor. I knew her. I was happy to see her. I called her name and walked closer. But she didn’t look up, lost in deep thought. I called her again. She glanced at me, then quickly moved to a black chair near the entrance. I followed her to that chair. But she suddenly stood up and left the room.

Why is she acting like that? I stood there, confused. Then I sat on the black chair she had left behind.

She was avoiding me. At that moment, I realized our relationship was only in my head. I remembered all the things I said and did to get closer to her. For a second, I felt bad, but then I felt free. Why did it feel so good to be done with her? Her rejection saved my time and energy. I even felt thankful that she helped me clean up and let go. I smiled while looking around the now-empty space.

I left the empty room and went into the next one. A woman I knew was sitting on a red, heart-shaped chair. She was someone I didn’t like. But when she saw me, she smiled warmly. She said she was waiting to see me.

I remembered once telling her all the reasons I didn’t want to run into her. Why would someone wait for a person who doesn’t like them? Is it, “Even if you hate me, I’ll do what I want”? Or is it, “You’re mean, but I’m a generous person, so I’ll forgive you”?
Please, don’t forgive me. Why do you smile kindly like a saint when I said I didn’t like you? Don’t hold on to me—go give your kindness to others who deserve it. Just say, “I don’t like you either,” and leave me alone.

I woke up from the dream, laughing to myself in the middle of the night as I wrote it down.

I don’t like serious, philosophical gatherings or fancy, elegant ones. I prefer light, fun meetings where we laugh and chat freely. Discussions full of philosophical terms just confuse my mind at my age, and I don’t even want to remember or talk about those things. Elegant and graceful groups make me uncomfortable too. I don’t have the looks, words, or personality to fit in with that kind of crowd.

The only thing I can talk about a bit is funny everyday stories. But usually, people don’t respond, and I end up laughing alone like a silly person. Sometimes, I even go too far and hurt someone’s feelings. I feel sorry when that happens and promise myself to be careful, but I often repeat the same mistake.

When I drink a little and happen to meet someone funny, I have a great time. On those days, I feel full of endorphins, and all my stress melts away. My body feels light.

Has the world changed while I’m still stuck in the past? Or are the people I meet these days just too serious? I’m not sure.

Friday, November 15, 2019

자린고비의 고백

아이들과 함께 여행 할 수 있을 기회가 앞으로 몇 번이나 더 있을까? 아이들이 결혼하면 그들 와이프에게 미련 없이 자리를 내주고 그들의 삶에 끼어들고 싶지 않아서다. 그러나 남편과 둘이 다닐 때 보다 비용이 엄청 많이 든다. 비용은 전부 우리가 부담한다.

일단 나는 여행지에서 호텔 위치에 중점을 둔다. 걸어서 구경하다 피곤하면 호텔로 돌아와 쉬다 다시 나가 걸을 수 있고 아침 식사를 제공하는 곳을 선호한다. 그리고 청결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밥맛이 떨어지고 신경 쓰여서 지친다. 쇼핑은 전혀 하지 않지만, 나 때문에 호텔 비용이 많이 나간다.

남편은 후지고 깨끗한 것은 눈에 들어 오지 않고 오직 좋은 식당에서 먹기를 원한다. 고기를 먹지 못하기 때문에 해산물 위주로 주문한다. 식사 중에 서너 잔의 맥주를 마시거나 와인 한 병을 주문한다. 나는 배가 약간 고파야 속이 편하고 몸이 가벼워서 먹는 것에는 관심이 없다

그런데 아이는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라서인지 꼭 에피타이저와 메인디쉬를 주문하고 점심에는 주스 저녁에는 알코올 한잔 정도를 시킨다. 호텔로 오는 길에는 아이스크림을 먹는다. 골고루 맛보고 싶다며 우리 것까지 에피타이저를 서너 개를 시키기도 한다. 주류 외에 우리 부부가 대부분 건너뛰는 것들에 비용이 많이 나간다.

아이와 남편은 걷다가 피곤하면 우버를 타고 기차도 일등석만 타려고 한다. 그러지 말라고 말도 못 하고 속으로 부글거리면서 점잖게 참는 내 속을 그 누가 알랴! 새로운 곳을 갈 때마다 도시 내에 고색창연한 옛 공동묘지를 방문할 때면 죽으면 이렇게 땅으로 돌아가는데 가져갈 것도 아니고 그래 쓰자. .’ 하며 다짐하고 마음을 푼다. 여행지에서 돈 때문에 아이와 남편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것보다는 그들이 원하는 것을 다 해주자고 마음먹었다가도 다시 깜박 갔다가 돌아오고를 반복한다. 나는 가끔은 공동묘지에 들어갔다가 나와야 정신이 번쩍 들어 제자리를 찾는 체질로 굳어졌나 보다.

그동안 아끼며 살다 보니 쓰는 것에 습관이 되지 않아서라며 남편은 써 버릇해야 한다며 옆에서 부추긴다. 틀린 말은 아니다. 다행히 아이들과 우리 부부는 문화적, 예술적인 면은 아주 잘 통해서 서로 보고 싶고 가고 싶은 곳은 같다.

당장이라도 결혼한다면 아이들과의 시간을 함께할 수 없다. 시부모가 여행비용을 된다고 해도 어느 며느리가 함께 여행하고 싶어 할까? 특히 새로운 도시의 속살을 후벼파듯 뒷골목 누비기를 좋아하는 우리와는 달리 오직 쇼핑에만 환장하는 며느리와 여행 한다는 상상만 해도 피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