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February 27, 2016

아들들아, 우리가 늙거들랑

배를 타고 내린 지 여러 날이 지났건만 꿈속에서는 여전히 배 안애서 헤매고 있다.

파티, 선물, 카드 그리고 새해 인사 등등 버거운 연말 연초를 피해 크루즈를 탔다. 배에 오르려는데 노인이 구급차 침대에 실려 나간다. 아니나 다를까 다른 배에 비해 나이 든 사람들이 많다. 물론 우리보다 젊은 사람도 있고 결혼식도 있었지만뷔페에서 할아버지 둘이 만나자마자 반갑다며 지팡이를 치켜들고 기운 빠진 펜싱 흉내를 내지 않나! 남편이 살아생전에 만들어 준 지팡이라며 산신령이나 들고 다닐 것 같은 키 크기의 지팡이에 의지한 할머니도 있다. 가끔 메디칼 팀! 메디칼 팀!’ 하면서 요란한 호출 소리가 들리며 비상벨이 울렸다
아무래도 요번 배는 잘못 탄 것 같아." 
남편이 궁시렁거렸다.

우리 남편 봤니?” 
뷔페에서 접시에 음식을 담고 있는데 할머니가 묻는다
방금 전에 네 남편과 함께 밥 먹고 있었잖아요?" 
나 결혼한 지 75년 됐는데 남편을 잃어버렸어.” 
결혼한 지 75년이 됐다면 거의 100살은 됐다는 얘긴데 80 정도로 보이는 것이 치매가 왔나 보다. 치매로 집을 나가 잃어버릴까 봐 아예 남편이 배 밖으로 나갈 수 없게 태운 것은 아닐까?

스파에서 만난 할머니는 내가 내린 후에도 두 달 반이다 더 배에 남아 아프리카를 돈단다. 지루하지 않으냐고 물었다. 
집에 혼자 있다 죽어 아무도 들여다보지 않는 것이 두려워. 음식이 항상 준비되어있고 수시로 청소도 해주는 배에서 사람들과 이야기할 수 있어 좋아."
거동이 불편해 집에 있으면 청소하고 요리해줄 사람 불러야지. 빌 내야지. 등등 여러 잡다한 일들에 신경 쓰지만, 배에 거주하면 오히려 비용이 적게 든다는 얘기도 곁들였다.

크루즈 여행이 수박 겉핥기식의 여행이라 한 곳에 머물며 그곳의 문화를 알고 즐길 수는 없다. 하지만, 잠자리 들기 전에 다음날 닻을 내릴 항구를 상상하는 맛, 긴 시간을 전화와 컴퓨터 없이 책을 읽으며 보낼 수 있는 공간 게다가 공기도 좋고 음식과 잠자리가 정갈해서 타게 된다.

어느 복권 탄 부부가 외부와 단절하기 위해 크루즈로 잠적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자식들이나 이따금 정박하는 항구로 찾아와 만나면서.

"아들들아, 먼 훗날, 그리 멀지도 않았나? 엄마가 기력이 쇠하면 크루즈에다 버릴래? 너희가 만나고 싶으면 항구로 찾아오고 그것도 귀찮으면 오지 않아도 괜찮아.” 
두 놈 다 말이 없다.  

Friday, February 26, 2016

My sons, when I get old

Many days have passed since I got off the ship, but in my dreams, I’m still wandering inside the cruise.

To avoid the busy holiday season—with parties, gifts, cards, and New Year greetings—I went on a cruise. Just as I was about to board, I saw an old man being carried out on a stretcher from an ambulance. As expected, there were many elderly people on this cruise compared to others. Of course, there were younger people too, and even a wedding took place. At the buffet, two old men met and were so happy to see each other that they raised their canes and pretended to fence like weak warriors! There was also an old woman with a tall cane that looked like something from a fairy tale. She said her late husband had made it for her. Sometimes, I heard urgent announcements:
“Medical team! Medical team!” — followed by emergency alarms.
“My husband and I probably chose the wrong ship,” 

While I was getting food at the buffet, an old lady asked me,
“Have you seen my husband?”
“I just saw you two eating together a moment ago,” I answered.
“I’ve been married for 75 years, but now I’ve lost him.”
If she’s been married 75 years, she must be close to 100, though she looked more like 80. Maybe she has dementia. Maybe her husband brought her on the ship so she wouldn't wander off and get lost at home.

One grandma I met at the spa said she would stay on the ship for another two and a half months to travel around Africa. I asked if she ever got bored. She replied, 
“I’m afraid of dying alone at home with no one knowing. On the ship, food is always ready, someone cleans for me, and I can talk to people.”
She also said that when you're old and can't move well, it's easier to live on a cruise than at home. At home, you’d have to pay for someone to cook, clean, and help you—but on the ship, it can actually cost less.

Cruise trips are just surface-level travel—you don’t stay long enough to really know a place or enjoy its culture. But I still enjoy it: imagining the next port before I go to sleep, spending long hours reading books without phones or computers. The air is fresh, and the food and beds are clean and comfortable.

I once heard of a couple who won the lottery and disappeared onto a cruise to escape from the world. Their children only visit them at ports from time to time.
“To my sons,” I say,
“One day—maybe not too far in the future—if I grow weak, will you abandon me on a cruise? If you want to see me, come to the port. If you don’t want to, that’s fine too.”
Both of them said nothing.

Saturday, February 13, 2016

산꼭대기 아들과의 일주일

어릴 적 아이는 엄마인 나를 잃어버리지 않으려고 내 손을 꼭 잡고 걸으며 잘 따라 주었다. 지난번 일본에 사는 아들을 보러갔을 때 나도 아들이 하자는 데로 손을 놓지 않고 일본 여기저기를 기웃거리며 둘러봤다. 그리고는 아이가 사는 곳에서 일주일 머물렀다. 사랑하는 아들과 한 공간에서 함께 한다는 즐거운 상상은 상상만으로.

아이는 시골, 아니 산골, 양쪽에 강을 끼고 있는 산꼭대기에 살고 있었다. 손을 뻗으면 별이라도 딸 수 있는 하늘 밑, 벌레 소리, 그야말로 적막강산인 곳에서 출가한 스님처럼 지냈다. 남향의 거실엔 종일 햇빛만 서성거릴 뿐 아무것도 없었다. 다다미방인 침실엔 두꺼운 요가 깔려 있었다. 내가 온다고 기억자 식으로 요를 하나 더 깔아놨다.

엄마 울어?” 
아니 너 어떻게 이런 산중 절간 같은 곳에서 혼자 외롭게 지내니뉴욕에 가자.” 
"뉴욕도 살기 나름으로 외로운 곳이에요. 전 조용히 혼자 있는 것이 좋아요. 뉴욕은 가고 싶으면 언제든지 갈 수 있잖아요.”

아이는 배가 고프면 소리 없이 간단히 챙겨 먹은 후 자전거를 타고 일하러 갔다. 집에 와서는 컴퓨터를 한다거나 책을 봤다. 어미는 전혀 소리를 내지 않고 책만 읽는 아이에게 쓸데없이 말을 걸거나 부엌에 나가 덜커덩덜커덩 소리를 낼 수가 없었다. 다다미에 누워 잠이나 잘 수밖에. 어떻게 그리 오랜 시간을 푹 잘 수 있었는지! 여독은 말끔히 풀렸다집에서야 남편 눈치 보지 않고 쓸데없는 말도 하고 잡소리도 내며 내 마음대로 행동했지만, 아들 집이라고 아이가 싫어하는 짓을 하지 않으려니 없는 듯 조용히 있을 수밖에 없었다. 아이가 일가면 청소와 빨래를 하고는 햇볕에 앉아 차를 마셨다. 아이처럼 조용히. 침묵 명상을 했다. 머리가 맑아졌다.

오래전, 친정아버지와 함께 지척인 남자 동생 집에 가서 아버지가 한말이 생각났다. 
"내가 20년 전에 사준 이 집에 딱 두 번째 온다.” 
왜요, 가까운데 자주 오지 않고요?” 
서로가 불편한데 자주 오기는. 각자 있어야 할 자기 자리에 머물러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이고, 성질은 지랄 같지만 그래도 내 낭군과 사는 것이 이렇게 편할 줄이야. 아들 집은 기웃거리지도 말아야지.

Friday, February 12, 2016

At the son’s place

As children, my sons kept holding my hand tightly and following me, so that I would not lose my children. When I went to see my younger son who lived in Japan last time, I snooped around in Japan without letting go of his hand as my son tried to when he was a child. Then I stayed in the place where he lives for a week. Just imagination is the joy of being in same space with my beloved son.

He lived on a mountaintop with a river on either side in the country. He lived like a Buddhist monk who lived in a place under the sky where he could take a star, the sound of insects. There was nothing but sunshine all day in the south living room. The bedroom that is a tatami was covered with a thick mattress. He put another one up as if I were to come.  

"Mom, are you crying?" "How come you are lonely alone in a mountain like this?" "Let's go to New York." New York is also a lonely place too. I like being quiet alone. If I want to go to New York, I can go anytime. "

When he was hungry, he ate it quietly and went on a bicycle to work. He came home and saw a computer or read books. I could not talk needlessly to him who only reads books without any sound or rattle when I went into the kitchen. I had no choice but to sleep on tatami. How could I sleep so long! The fatigue of travel went away completely.

At home, I didn’t not notice my husband, I talked my way up, I made a mess and I acted my own way, but I had to be as quiet as I did not want my son to do what he disliked. When he was working, I cleaned and washed his clothes and sat in the sun and drank tea. Quiet like my son. It seems to be silent meditation. My head cleared.

A long time ago, I remember when I went to my brother 's house with my father. My father said, "It’s just the second time I visited to my son’s house even if I bought for him 20 years ago." "Why, do not you come too often?" "I feel uncomfortable with each other to see very often.” He added that people should stay in their place to feel comfortable.

I have a terrible temper husband, but I can’t believe how comfortable it is to live my man. Don’t even pry into my son’s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