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February 26, 2011

실타래를 풀다

그렇게 바빠? 아무리 바빠도 즐겁게 살자고 하는 일인데 쉰다고 집안이 쪼개지는 것도 아니고 허구한 일만 하면 언제 넓은 세상을 건데?” 

밥도 하기 싫고 남편 얼굴 쳐다보며 먹기도 싫은 것이 때가 됐나 보다. 마음 깊숙한 곳에 하루하루 쌓인 불만의 실타래 덩어리가 풀리듯 슬슬 화가 치밀어 올라오고 있다.

 그럼 혼자 간다.” 
이스탄불 갔다 그렇게 혼나고 와서도 간다고? 조금만 기다려 이번 끝나면 함께 가자.” 
만날 다음에 가자. 다음에. 다음은 우리에게 절대로 .” 
갈려면 패키지로 안전하게 혼자 갔다 오던지.” 
남편의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여행사에 전화했다.

사람은 알고 보면 좋은 사람입니다.”
선하게 생긴 가이드의 첫말 프라하에서 동유럽 여행은 시작됐다
그래 맞는 말이지. 알고 보면 좋은 사람들이지.” 
가이드 말이 그럴듯하다며 고개를 끄떡이는데 갑자기 핑하면서 어찔했다. 몸이 오슬오슬 떨리는 조짐이 좋지 않다. 밤새 타고 비행기를 아침에 내리자마자 시작한 겨울 여행이 무리였나 보다.

미열로 달아오른 게슴츠레한 작은 눈을 비비며 버스 창밖으로 보는 동구라파의 모습은 서구라파의 모습과 별다르지 않았다. 여기도 성당, 저기도 성당 눈에 띄게 흥미를 일으키는 것이 없다. ‘그래도 여행사에 돈이 얼만데 열심히 보고 기억해야지.’ 몸을 추스르며 머리를 쳐들고 돌릴 때마다 버스의 천장과 바닥이 겹쳐지며 빙글빙글 도는 것이 심상치 않다. 살아 뉴욕으로 돌아갈 수나 있을지? 다행히 좌석이 많은 버스 뒷좌석으로 옮겨 누웠다. 남편 말을 들을걸. 나와 이게 웬 고생이란 말인가.

부다페스트, TV 드라마 아이리스 나온 이병헌이 묵었다는 호텔에서 자고 아침 일찍 관광버스를 기다렸다. 엘리베이터에서 내린 송혜교가 호텔 로비로 걸어오는 아닌가! ‘ 송혜교네!’ 희고 예쁜 얼굴에 미소를 자그마한 몸매를 가이드송혜교로 보였던 것이다. 전날 이리스촬영 이야기를 하도 들어서인지 착각을 했나 보다. 아니면 고열 탓으로 인한 일루젼 현상인지? 아무튼 송혜교가 걸어오는 알았다.’ 말에 신이 가이드는 서울에서 가져온 감기약을 건네줬다. 역시 고국의 센 감기약은 나를 일으켰다.

남들은 여행 가서 들렸던 곳을 역사적으로 열거하며 즐거운 기행문을 쓰곤 하는데. , ? 여행할 때마다 우울한 기억을 하나씩 달고 다니는지. 집에 돌아와 여행지를 되돌아 보면 꿈속에서 스쳐 지나간 곳으로, 그것도 안개 도시를 힐끔 지나친 정도로만 기억한다.

공황에 마중 나온 남편은 여행 백을 받아 끌며 
속이 풀어졌나? 이제 달은 조용히 지나가겠군. 된장찌개 끓여 놨으니 밥이나 먹자.” 

살면서 명치에 쌓인 화의 실타래 덩어리가 풀리기 시작할 때면 나는 어디론가 가야 한다. ‘어디로 갈까? 어디가 좋지?’ 하며 여행지를 알아보며 화를 삭인다. 여행사에 예약하느라 힘들어 실타래는 커지지만. 커진 실타래를 슬슬 풀며 여기저기를 생각 없이 기웃거리다 오는 것이다. 여행 후엔 된장찌개를 끓여 놓고 기다리는 남편 덕에 실타래를 감고 풀고를 반복하며 짧지 않은 결혼 생활을 그럴듯하게 유지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Friday, February 25, 2011

Resolve anger

“Aren’t you too busy? No matter how busy life gets, we’re doing all this just to be happy. Taking a few weeks off won’t ruin the world. If you keep working all the time, when will you actually see this big, beautiful world?”
I was starting to feel it. I didn’t want to cook anymore. I didn’t even want to sit across from my husband at the dinner table. Something inside me had reached its limit. The tangle of frustration that had been quietly piling up in my heart was starting to come undone—anger bubbling up.
“Fine. I’ll go alone.”
“After what happened in Istanbul? You got so sick, remember? Just wait a little longer—when this project is over, we’ll go together.”
“You always say that. ‘Next time.’ But ‘next time’ never really comes for us.”
“If you must go, book a package tour. Go alone, but be safe.”Before he even finished, I was already calling the travel agency.

“People are all good, once you get to know them.”
That was the first thing our tour guide said when we started the trip in Prague. He had a kind face.

“Yes, that’s true,” I thought, nodding. “People are good, deep down.”
But suddenly, I felt dizzy. My body started to shiver. Something wasn’t right. Maybe it had been too much—to get off a long overnight flight and start a winter tour right away.

With feverish, tired eyes, I looked out the bus window at Eastern Europe. It didn’t feel that different from Western Europe. Churches here, churches there—nothing really stood out.

“But I paid a lot for this tour,” I told myself. “I need to focus and remember everything.”
I tried to sit up and look around, but the bus ceiling and floor started to spin together. I couldn’t tell which way was up.
“Will I even make it back home to New York alive?”
I quietly moved to the empty back seat and laid down.
“Maybe I should have listened to my husband. What a mess…”

In Budapest, we stayed at the hotel where actor Lee Byung-hun stayed during the filming of the K-drama IRIS. The next morning, I was waiting in the lobby when I saw Song Hye-kyo coming out of the elevator! Wait—no, it just looked like her. It was actually our tour guide. Petite, with fair skin and a bright smile—she really did look like the actress. Maybe it was because we had talked so much about the drama the night before. Or maybe it was just my fever playing tricks on me. Either way, when I told her, “I thought you were Song Hye-kyo,” she was delighted. She gave me some cold medicine from Korea, and that strong Korean medicine really worked. I finally started to feel human again.

Other people write fun travel blogs listing all the historical places they visited.
But me? I always seem to come back with a sad memory. When I think back on my trips, they feel like places I just brushed past in a dream—foggy cities I barely got to know.

When I arrived at the airport, my husband came to pick me up. He took my travel bag and said,
“Got it all out of your system? I guess things will be quiet around here for a few months. I made soybean paste stew. Come eat.”

Whenever the tangle of stress and frustration builds up in my chest, I feel like I have to go somewhere. I distract myself by looking up destinations, asking, “Where should I go next?”
Booking the trip makes things even more stressful—but slowly, as I plan and wander, the knots begin to loosen.

Maybe that’s how I’ve managed to keep this long marriage going. We go through the cycle again and again: I leave, I return, and my husband waits with warm stew on the stove. And somehow, it works.

Saturday, February 5, 2011

화가의 아이

사람들은 화가들이 어디에서 왔고 어디서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는가에 관심이 많다. 그러나 어디서 시작하고 온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어디에서 끝나는가가 중요하다. 시작과 끝 사이는 다만 세도우만이 있을 뿐이라고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에서 온 화가 마를렌 뒤마 언급하고 있다.

“캔버스 자체가 자신이 그리고자 하는 인물의 coffin()”이라고 주장하는 '마를렌 뒤마의 자기 자신의 무덤 측정기 (Marlene Dumas Measuring Your Own Grave) 전시회를 아이와 함께 뉴욕현대미술관(MOMA)에서 봤다.

엄마 아빠가 그리면 아이도 그렸다. 붓으로 그리면 붓으로 그리고 싶다며 붓을 빼앗아 그렸다. 색을 쓰면 아이도 색을 쓰겠다며 마구 칠을 했댔다. 아이는 집에서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나 그렸다. 식당에서 그리면 우리 부부는 조용히 식사할 수 있어 좋았다. 난 재료를 항상 가지고 다녔지만, 재료가 없어도 볼펜으로 냅킨에도, 영수증 그리고 봉지에도 그렸다.

선으로만 그리던 그림이 원, 사각형 등의 형태를 띠더니 룡을 그리기 시작해서 바닷속 상어로, 숲 속의 호랑이로 옮겨갔다. 부드러운 선은 거친 선으로 탱크, 비행기 등 전쟁 모습을 그리느라 입에서는 쉴 새 없이 침을 튀기며 폭격 소리, 총소리 등의 사운드를 첨가하며 격해져 갔다.

아이에게 그림을 가르친 적도, 아이가 어떻게 그리느냐고 물어본 적도 없다. 아이는 그리고 싶은 것을 그렸고 나는 재료를 다양하게 옆에 놔 주기만 했다. 커가며 자기주장이 생기자 내 그림 한 귀퉁이에도 그려 합작도 했다.

틴에이져가 되자 만화로 옮겨가더니 아이는 예술 고등학교 입학허가를 받았다. 연필을 잡을 줄 아는 순간부터 그리기 시작해서 예술 고등학교 시험까지 보고 입학 허가를 받았으니 당연히 미술을 전공하리라고 기대했다. 그런데 아이의 입에서 
"그림은 교육을 받지 않고도 할 수 있는 별 볼 일 없는 일이야요. 예술 고등학교에 가지 않겠어요." 
너 나중에 후회하지 않겠니?” 
"결코 후회하는 일은 없을 거예요. 난 화가들이 싫어요. 화가들은 실속 없이 폼만 잡는 루저(loser)들이에요.” 
결코, 틀린 말은 아니다.

대학도 예술과는 거리가 먼 전공을 택했다. 그러나 대학에 들어가서는 드로잉, 사진 등 예술에 관한 과목을 듣기 시작했다. 부전공도 영화에 관련된 과목을 선택했다. 그림을 그려 블로그에 올리느라 새벽까지 잠을 설쳤.
화가가 가장 쿨(cool)한 직업 중 하나인 것 같아요!” 
어느 날, 아이의 입에서 듣던 중 반가운 소리가 나왔다. 그런데 왜 내 입에서는 
그래서 어쩔 건데? 인제 와서 전공을 바꾸겠다는 거야. 뭐야?” 
아니 그냥 그렇다는 거예요.”

방황하는 아이를 보며 과연 마들렌 뒤마의 말대로 '어디서 어떻게 시작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디서 어떻게 끝나느냐.'가 중요하다며 아이에게 또 다른 기회를 줘야 하는 걸까?

Friday, February 4, 2011

An artist's child

People are often curious about where artists come from and how they first started making art.
But according to South African painter Marlene Dumas, what really matters is not where you begin, but where you end up. She once said that everything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end is just shadows.

I went to see her exhibition, “Measuring Your Own Grave,” at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in New York with my child. Dumas once said that “the canvas is the coffin of the subject you’re painting.” It was a powerful idea.

While my husband and I looked at the paintings, our child began to draw too. If we used brushes, the child wanted brushes. If we used colors, the child demanded colors and painted wildly. At home, in restaurants, on napkins, receipts, even on shopping bags—my child drew everywhere. I always carried materials, but even without them, my child found a way to draw.

At first, the drawings were simple lines. Then shapes—circles, squares. Soon, dinosaurs appeared, then sharks under the sea, then tigers in the forest. The soft lines turned rough, and the drawings became full of tanks and airplanes. My child made loud sound effects—explosions, gunfire—while drawing dramatic war scenes. I never taught my child how to draw. I never asked, “What are you drawing?” The only thing I did was place different tools nearby—crayons, pencils, paper.

As my child got older and had more opinions, we even made drawings together. My child would doodle on the edge of my own work, making it a kind of collaboration. During the teenage years, the drawings turned into comics. Eventually, my child was accepted into an art high school. Since the child had been drawing from the moment they could hold a pencil, it felt natural to expect that art would become their future.

But then one day, my child said:
“Art is something you can do without going to school for it. It’s not a big deal. I’m not going to the art high school.”
“Won’t you regret it later?” I asked.

“Never. I hate artists. They’re all just losers who care more about looking cool than doing anything real.”
Honestly, it wasn’t completely wrong.

Instead of studying art, my child chose a college major that had nothing to do with it.
But once at university, they began taking electives in drawing, photography, and even minored in film. They started posting their own drawings on a blog, sometimes staying up all night to work on them.

One day, I heard something surprising—and a little exciting—from my child:
“I think being an artist might be one of the coolest jobs ever.”
But instead of feeling happy, I found myself saying,

“So what are you going to do about it? Are you saying you want to change your major now?”
“No,” my child replied. “I’m just saying it’s cool.”
Now, watching my child figure things out, I wonder: Was Marlene Dumas right all along? Is it really not about how or where you start, but how and where you end up that truly matters? Maybe it’s time to let my child have another chance—and trust the path they cho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