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December 18, 2008

나는 중매쟁이가 좋다

나이는 서른셋이고 지금 미국에서 박사과정 중이야.” 
어느 대학 나왔는데?” 
서울에 있는 대학이야.” 
그래, 글쎄, 우리 딸이랑 나이 차이가 있는 것 같다.” “박사과정 동안은 먹고 사니?” 
많은 돈은 아니지만, 연구소에서 둘이 생활할 만큼은 받아.” 
박사학위 받기가 그렇게 쉽니, 학위 받고 다음에 중매서라. 우리 아이가 아직 결혼할 생각이 없어.” 

남자가 일류 대학 나오지 않아 싫고, 박사가 아니라 박사 과정이라 싫단다. 급히 결혼을 시켜야 한다고 찾아보라고 때는 언제고 이제는 급하지 않다며 전화를 끊는다.

중매서는 것을 좋아한다. 결혼 적령기에 있는 외로운 사람, 결혼을 원하는 싱글들을 보면 중매서고 싶어 머릿속으로누가 있더라’, ‘누가 있지.’ 궁리하다. ‘! 있다, 있어.’ 하며 여기저기 전화를 해댄다.
발동이 걸렸구나!” 
남편은 옆에서 혀를 찬다. 그러다 성사가 안 되면 
내가 뭐랬어, 그만하랬지, 열 내다가 먹어, 중매가 그리도 서고 싶으면 아예 사무실을 차려놓고 안보는 데서 하던지.”

나이 서른이 되어 결혼도 못 하고 외로울 아무도 중매를 서 준다는 사람이 없었다. 그것이 아직도 한이 맺혔는지, 한풀이하느라 중매서고 싶어 안달이다 중매를 서서 행복하게 사는 사람을 보면 기뻐서 중매하고 싶어진다. ‘전화 통화 외로운 사람이 행복해질 있는데라고 생각하면 가만히 있을 수가 없다. 중매를 못 해
욕도 먹지만 그깟 수모쯤이야. 외로운 사람이 행복해질 있다면 아무래도 상관없다.

중매를 서고 결혼을 해서 살다가도 싸우게 되면 가정 상담도 해야 한다. 싸운 이야기를 들어보면 어처구니가 없다. 나이 들어 간신히 결혼인데도 철이 없어선지 남자에게 요구 조건이 많다
그림을 그려야겠으니 스튜디오를 마련해 달라
조르다가 남편과 싸웠단다갖고자 하는 것이 있으면 열심히 노력해서 남편에게 크레딧을 쌓고 다음에 원해야 하는 게 아닌가. 결혼하자마자 스튜디오를 마련해 주기를 바라는 것은 크레딧이 없으면서 은행에서 융자받기를 바라는 것보다 철없는 요구다.

중매를 하면 서로가 상대의 부족한 점을 지적하며 싫다고 한다. 결혼해서 함께 노력하여 쌓아 올라갈 생각은 하지 않고 결혼을 통해 현실에서 도피하여 안식처를 찾고자 한.

주위엔 결혼 적령기에 있는 여자는 많은데 남자가 드물다. 가뭄에 나듯, 요즈음 남자 한 명이 생겨서 부지런히 중매 서려고 하지만, 주위 여자들의 반응이 없다. 앞날이 유망하고, 건강하며 밝은 그리고 유머 감각이 있는 사람인데 박사가 아니라서 싫고, 일류대학을 안 나와서 싫단다. ‘ 자신을 알라 소리 지르고 싶지만, 참고 여기저기 전화를 한다, 남편 눈치를 보면서.

Wednesday, December 17, 2008

I like matchmaking

“He’s 33 and currently doing his PhD in the U.S.”
“Which university did he graduate from?”
“A university in Seoul.”
“Hmm… I think he’s a bit older than my daughter. What does he live on while doing his PhD?”
“He doesn’t make much, but He gets enough from the lab to support both of them.”
“Getting a PhD isn’t that easy. Finish his degree first, and then we’ll think about matchmaking. My daughter’s not ready to get married anyway.”

She doesn’t like him because he didn’t graduate from a top university and because he’s still a student, not a full PhD yet. But when she was in a hurry to marry off her daughter, she was the one asking me to look. Now she says it’s not urgent and just hangs up.

I really like matchmaking. When I see lonely people of marriage age, or singles who want to get married, I immediately start thinking, “Who do I know?” “Is there someone?” Then suddenly, “Ah! Yes, I know someone!” and I start making phone calls everywhere.
“That matchmaking bug bit you again!”
My husband clicks his tongue beside me. And when the match doesn’t work out, he says,
“Didn’t I tell you to stop? Why do you keep doing it and end up getting blamed? If you love matchmaking that much, open your own office and do it.”

When I was 30, still single and lonely, no one tried to match me with anyone. Maybe that’s why it still bothers me, and I feel the need to help others get married — like it’s my way of letting go of the past. When I see a couple happily married because of me, I feel so happy and want to do it again. I think, “Just a few phone calls can bring happiness to someone who’s lonely,” and I can’t sit still. Even though I sometimes get scolded for matchmaking that didn’t work out, I don’t really care. If I can help someone find happiness, I’ll do it anyway.

After people get married through my matchmaking, sometimes they fight. Then I have to be a marriage counselor too. When I hear why they fight, I’m often shocked. Even though they got married later in life, they still act immaturely. One woman told me she fought with her husband because he wouldn’t buy her an art studio. If you want something, you should work hard, build trust with your husband first, then ask. Expecting a studio right after marriage is more childish than asking a bank for a loan with no credit history.

When I try to match people, they always point out what’s wrong with the other person. They don’t think about building a life together. They just want marriage to be a way out, a safe place to escape from real life.

Around me, there are many women of marriage age — but not many men. So when a rare man comes along, I try hard to find a good match. But the women aren’t interested. He’s got a bright future, he’s healthy, cheerful, and funny. But they don’t like him because he’s not a PhD or didn’t go to a top university. I want to shout, “Know yourself!” But I hold it in and quietly make more phone calls, glancing at my husband.

Thursday, December 4, 2008

강아지 풀

"추석 때 뭐 하고 지냈어?" 
후배에게 물었다. 
스테이튼 아일랜드 가는 페리를 타고 서너 번 왔다 갔다 하며 혼자 보냈어요.”
후배의 외로움에 찌든 대답에 머리가 띵하고 가슴이 쓰렸다.

처음 미국에 을 때, 나는 한인이 없는 뉴욕 근교에 있는 학교에 다녔다. 영어가 시원찮아 친구 사귀는 것도 싶지 않았다. 차도 없었다. 한적한 길을 걷다 볼 수 있는 것이라고는 들판에 마구 자란 강아지풀뿐이었다. 뭔가 사람과 가깝게 느껴지는 풀을 볼에 대고 문지르며 위로 삼았다

학교에서 20분 정도 걸어가면 은행에 한국인처럼 생긴 남자가 있었다. 한국 사람이 그리울 때면 그곳까지 걸어가 윈도 안에서 일하는 그 사람을 슬쩍 들여다보곤 했다.

외로움은 병이었다. 누군가 몇 블록만 가면 한국 사람이 있다고 했다. 단숨에 달려가서 문을 두드렸다. 자다 깨어난 동양 남자가 나왔다. 싱가포르 사람이었다. 미국인들은 싱가포르 사람과 한국 사람도 구별 못 한단 말인가! 또 다른 누군가가 기차를 타고 어찌어찌 가면 나처럼 생긴 사람이 많다고 했다. 찾아간 곳이 플러싱이다. 메인 스트릿 사거리에서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웃으며 
온종일 서 있었다. 사람들은 배시시 웃고 있는 나의 눈길을 피해 빠른 걸음으로 피해갔다

기차를 타고 돌아와 방문을 열고 들어서면 관 뚜껑을 열고 들어가 눕는 듯했지만, 플러싱이 있어 한나절을 외롭지 않게 보낼 수 있다는 것이 그저 행복했다. 그 당시 난 한국말을 할 수 있는 건강한 남자라면 누구와도 결혼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외모도, 능력도 중요하지 않고 혼자가 아니라 둘이기만을 바랬다.

후배에게 전화했다
사람이 있는데 한번 만나볼래.” 
어떤 사람인데요?” 
미국 남잔데.” 
반응이 없다
?, 만나기 싫어?” 
전 영어도 하기 싫고 한식을 먹지 못하면 못살아요.” 

내가 그 옛날에 영어를 조금이라도 했으면 미국 사람도 마다치 않았을 텐데. 후배는 아직도 견딜만한가 보다. “알았어. 
한국 남자 있으면 연락할게."

요즈음 미국에 온 한인 중에는 혼자 사는 사람들이 많다. 물질적으로도 풍부하고, 한류가 물밀 듯 밀려와 예전에 온 사람들만큼은 외롭지도, 아쉽지도 않은가 보다. 오히려 한인 젊은 남녀가 없던 그 옛날엔 짝을 찾으려고 애를 썼다. 한국에서 젊은 사람이 온다면 공항까지도 달려 나가고들 했다는데. 이젠 멋 옛날 일인가보다.

Wednesday, December 3, 2008

A foxtail

“What did you do during Chuseok?”
I asked a junior colleague.
“I just took the Staten Island ferry back and forth a few times by myself.”
Her lonely answer made my head ache and my heart feel heavy.

When I first came to the U.S., I went to a school near New York City where there were no other Koreans. My English wasn’t good, so it was hard to make friends. I didn’t have a car either.
When I walked down the quiet roads, the only thing I saw was wild grass growing in the fields.
I used to rub soft grass against my cheek, pretending it was someone close to me. That gave me a little comfort. 
About a 20-minute walk from school, there was a bank. A man who looked Korean worked there. Whenever I missed Korean people, I walked to that bank and looked at him through the window.

Loneliness felt like a sickness. Someone once told me there was a Korean person just a few blocks away. I ran there and knocked on the door. A sleepy-looking Asian man opened it. He was from Singapore. Did Americans really not know the difference between Singaporeans and Koreans?

Someone else said there was a place with many people who looked like me if I took a train.
That place was Flushing. I stood on Main Street all day smiling at people walking by. But people avoided my eyes and walked past quickly.

When I came back and opened my door, it felt like opening a coffin and lying down inside.
But just knowing that Flushing existed made me happy. It meant I could spend half a day not feeling lonely. 
Back then, I thought I could marry any healthy Korean man who could speak my language. I didn’t care about looks or money — I just didn’t want to be alone.

I called the junior colleague.
“There’s someone I want you to meet.”
“What kind of person?”
“He’s American.”
There was no reply.
“Why? You don’t want to meet him?”
“I don’t even want to speak English. And I can’t live without Korean food.”

If I had known more English back then, I wouldn’t have minded dating an American either.
Maybe my junior is not feeling as desperate yet.
“Okay. If I find a Korean guy, I’ll let you know.”

These days, many Koreans who come to the U.S. live alone.
They seem to have enough money, and with the Korean Wave (Hallyu), maybe they don’t feel as lonely as we did.
In the old days, when there were fewer Korean men and women here, we really tried hard to find partners.
People even went to the airport when a young Korean arrived.
But maybe those days are just memories now.

Thursday, November 13, 2008

묘지를 산택하는 여자


브루클린 그린포인트 애비뉴를 따라 동쪽으로 가다 보면 BQE 길가에 칼바리(Calvary) 공원묘지가 있다. 맨해튼의 건물들이 줄지어 서 있듯이 공원 안에도 묘비들이 질서 정연하게 서 있다. 가끔 공원에 들어가서 묘비명을 읽으며 한적한 고요함 속에 머물다 나온다.

고인의 이름을 보며 조상이 어느 나라 사람인지, 언제 태어나 언제 죽었는지, 얼마나 살다 죽었는지를 추측하며 묘지를 산책한다. 1700년에 태어난 묘비도 심심찮게 있다. 납골당 창문의 유리 먼지를 닦고 안을 들여다봤다. 관을 넣을 있는 서랍들이 포개져 쌓여있다.

누군가 죽어서 관이 들어 있는 서랍에는 이름과 태어나고 죽은 연도가 적혀져 있다. 가족 중에 누군가가 죽으면 들어갈 서랍도 있다. 죽으면 아무것도 모른다지만, 어둡고 써늘한 납골당 서랍 안으로는 들어가기 .

공원묘지를 걷다 보면 어느 중세기의 마을에 들어선 느낌이다. 중앙에 망자를 위로하기 위한 교회를 중심으로 커다란 납골당들이 그리고 작은 납골당들이 줄지어있다. 조각을 새긴 높은 비석이 뒤를 따라 내려오다 작은 비석들로 이어진다. BQE 근처 가까이 갈수록 아주 작은 비석들이 초라한 모습을 하고 있다. 아마도 맨해튼 스카이라인을 있는 높은 묘지 자리는 비싸지 않을까 하는 실없는 생각도 해본다. 아직 한국 이름이 쓰인 묘비는 보지 못했다.  

많은 사람은 죽어서도 마치 저택처럼 육중한 돌로 지어진 납골당에 뽐내듯이 묻혀있다 없이 죽은 사람은 고속도로 길가에 버려지듯이 묻혀있다. 죽은 영혼들이 햇살이 밝은 대낮에는 조용히 숨어있다가 밤이 깊어지면 우리가 사는 모습처럼 나와서 움직일 것만 같다. 돈이 많아 죽은 영혼들은 화려한 파티를 하며 즐길 것이고, 돈 없이 죽은 혼들은 많은 혼을 따라다니며 시중을 들것 같은 커뮤니티의 형상을 하고 있다.

칼바리 공원묘지에는 가톨릭계 이탈리아 사람들이 많이 잠들어있다. 몇 년 전 우리 동네에 사는 이탈리아 친구가 어린 딸을 잃었다. 딸을 먼 곳에 묻는 게 싫어 가까이에 있는 이 묘지에 묻었다. 묘지 자리가 너무 비싸다며 투덜거리면서도  가까이에 묘지를 두고 산책하듯 자주 드나든다. 무슨 날에만 조상 묘지를 찾아가는 우리나라 사람들과는 다르다. 죽은 영혼과의 관계가 우리처럼 멀게 느껴지지 않는 듯하다.

죽음은 끝이요 그리고 영원한 휴식이라고 생각해 왔다. 칼바리 묘지에서 보는 죽음은 또 다른 삶의 연장이요, 투쟁인듯하다

Wednesday, November 12, 2008

A woman taking a walk in a cemetery

If you walk east along Greenpoint Avenue in Brooklyn, you’ll find Calvary Cemetery next to the BQE highway. Just like the buildings lined up in Manhattan, the gravestones in this cemetery stand in neat rows. Sometimes I go in and read the inscriptions, spending quiet moments in peaceful silence.

As I walk through the cemetery, I read names and try to guess where the people were from, when they were born, when they died, and how long they lived. It’s not hard to find gravestones from the 1700s. I once wiped the dusty glass of a mausoleum window and looked inside. There were drawer-like shelves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each holding a coffin. On the drawers that hold someone’s remains, names and birth/death years are written. Some drawers are still empty, waiting for a future family member.

They say you don’t feel anything after death, but I still wouldn’t want to end up in one of those cold, dark drawers.

Walking through Calvary feels like stepping into a medieval village. There’s a large church in the center, built to comfort the dead, and around it stand big mausoleums, with smaller ones lined up nearby. Tall, carved headstones come next, and then smaller and smaller gravestones follow.
Closer to the BQE, the graves become more plain and humble. It makes me wonder—are the higher spots with views of the Manhattan skyline more expensive?

So far, I haven’t seen any gravestones with Korean names.

Rich people lie in grand mausoleums built with heavy stone, like luxury mansions. Those who died poor seem to be buried along the noisy highway, almost as if they’ve been cast aside. It feels like, during the day, the souls stay quietly hidden, but once night falls, they rise and begin to move, just like we do. The wealthy spirits might throw fancy parties, while the poor ones follow them around, serving them—just like in real life. That’s the kind of “community” I imagine.

Many Italian Catholics are buried in Calvary Cemetery. A few years ago, an Italian friend in my neighborhood lost her young daughter. She didn’t want to bury her far away, so she chose this cemetery, close to home. She complained about how expensive the plots were, but still visits often—like taking a walk. Unlike Koreans, who mostly visit ancestors only on special days, it seems Italians feel closer to their dead. To them, the relationship doesn’t feel distant, even after death.

I used to think death was the end—eternal rest. But what I see in Calvary Cemetery feels different.
Here, death looks more like a continuation of life, and even… a kind of struggle.

Thursday, October 30, 2008

남편이 철든 이유

쇼크요법이라고나 할까?

아내는 남편을 놀라게 필요가 있다. 남자는 놀랄 마다 조금씩 철이 드는 같다.

오래 브루클린의 가게에서 매니저로 일할 때였다. 젊은 
남자가 여자들이 신는 살 색 스타킹을 머리 위에 돌돌 말아 얹어 놓고 가게 안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미친 녀석이 있네!’ 
 모습이 하도 우스워서 속으로 웃었다.
내놔!” 
 서서 안을 들여다보 그 남자가 스타킹을 뒤집어쓰고 누런 봉투에 감아진 총을 나에게 들이댔다. 영화에서만 봤던 스타킹을 일그러진 얼굴을 실제로 보니 너무 이상하고 우스웠다. 어떻게 일그러졌나! 눈을 가늘게 뜨고 들여다보는  얼굴 가까이 봉투를 들이밀 
"돈을 안 주면 죽일 거다!”
소리를 질렀다

갑자기 당한 일이라 과연 봉투 안에 총이 들었다는 것을 믿을 없었다
웃기지 마, 놀고 있네.” 
봉투를 낚아채려고 나는 손을 뻗었다. 오히려 강도가 놀라 나를 밀치고 금전등록기를 바닥에 내던졌다. 그리고는 돈을 집히는 만큼 갖고 달아났다달아난 도둑을 쫓아서 가게 밖으로 뛰어나가려는데 점원들과 쇼핑하 손님들이 바닥에 납작 엎드려 있는 것이 아닌가. 중의 점원은 벌벌 떨며 엎드려 울고 있었다. 광경을 순간 온몸이 떨리기 시작했다.

겁도 없이 그랬냐, 미쳤느냐.” 
사람들이 난리였다. 과연 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다.  마디로 무지가 사람 잡을 뻔 했.
돈을 달라면 무조건 주지 그랬냐? 죽지 않은 게 다행이야
 가게 주인이 놀라 달려와 핀잔했다. 주일 전에도 옆집 피자 가게에 강도가 들어와 돈을 안 주다 총에 맞아 죽었단다. 이런저런 소리를 듣고 나니 무서운 사건이었음을 실감하게 것이다.

피곤한 몸을 끌고 집에 돌아와 누웠다. 배가 아프기 시작했다. 배는 점점 심하게 아팠고 하혈을 했다. 임신 3개월 아이가 떨어진 것이다. 아픈 배를 쥐고 버티고 버티다 결국엔 병원에 실려 갔다.

"죽이 되든 밥이 되든 내 벌어먹여 살릴 테니 집에 있어
음날 남편은 스튜디오 밖의 자물통을 채우고 직장을 구하러 나갔다. 가게 키를 갖고 왔는데 출근할 수가 없었다. 결국, 주인아저씨가 와서 창밖으로 열쇠를 던져 주는 것으로 나의 직장 생활은 끝났다.

결혼 초  사건 이후, 나는 전업주부가 됐다. 남편이 그때  놀랐나 보다. 화가 남편이 그림 그린다고 아내 돈 벌러 내보냈다가 송장 치울 했다. 그림 그리는 일도 죽지 않고 살아서 하는 일이고, 입에 풀칠은 하고 나서 하는 일이다. 그리 대단한 그림이라고 아내와 자식을 죽이면서까지 하겠는가.

후로도 생활이 어려워 직장을 잡아 보려고 신문을 뒤적거릴 때마다 
집에서 아이들이나 키우라는데.” 
남편은 화를 내곤 했다. 화가를 남편으로 여자가 집에서 쉬고 있는 사람은 아마 뿐일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