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October 30, 2008

남편이 철든 이유

쇼크요법이라고나 할까?

아내는 남편을 놀라게 필요가 있다. 남자는 놀랄 마다 조금씩 철이 드는 같다.

오래 브루클린의 가게에서 매니저로 일할 때였다. 젊은 
남자가 여자들이 신는 살 색 스타킹을 머리 위에 돌돌 말아 얹어 놓고 가게 안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미친 녀석이 있네!’ 
 모습이 하도 우스워서 속으로 웃었다.
내놔!” 
 서서 안을 들여다보 그 남자가 스타킹을 뒤집어쓰고 누런 봉투에 감아진 총을 나에게 들이댔다. 영화에서만 봤던 스타킹을 일그러진 얼굴을 실제로 보니 너무 이상하고 우스웠다. 어떻게 일그러졌나! 눈을 가늘게 뜨고 들여다보는  얼굴 가까이 봉투를 들이밀 
"돈을 안 주면 죽일 거다!”
소리를 질렀다

갑자기 당한 일이라 과연 봉투 안에 총이 들었다는 것을 믿을 없었다
웃기지 마, 놀고 있네.” 
봉투를 낚아채려고 나는 손을 뻗었다. 오히려 강도가 놀라 나를 밀치고 금전등록기를 바닥에 내던졌다. 그리고는 돈을 집히는 만큼 갖고 달아났다달아난 도둑을 쫓아서 가게 밖으로 뛰어나가려는데 점원들과 쇼핑하 손님들이 바닥에 납작 엎드려 있는 것이 아닌가. 중의 점원은 벌벌 떨며 엎드려 울고 있었다. 광경을 순간 온몸이 떨리기 시작했다.

겁도 없이 그랬냐, 미쳤느냐.” 
사람들이 난리였다. 과연 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다.  마디로 무지가 사람 잡을 뻔 했.
돈을 달라면 무조건 주지 그랬냐? 죽지 않은 게 다행이야
 가게 주인이 놀라 달려와 핀잔했다. 주일 전에도 옆집 피자 가게에 강도가 들어와 돈을 안 주다 총에 맞아 죽었단다. 이런저런 소리를 듣고 나니 무서운 사건이었음을 실감하게 것이다.

피곤한 몸을 끌고 집에 돌아와 누웠다. 배가 아프기 시작했다. 배는 점점 심하게 아팠고 하혈을 했다. 임신 3개월 아이가 떨어진 것이다. 아픈 배를 쥐고 버티고 버티다 결국엔 병원에 실려 갔다.

"죽이 되든 밥이 되든 내 벌어먹여 살릴 테니 집에 있어
음날 남편은 스튜디오 밖의 자물통을 채우고 직장을 구하러 나갔다. 가게 키를 갖고 왔는데 출근할 수가 없었다. 결국, 주인아저씨가 와서 창밖으로 열쇠를 던져 주는 것으로 나의 직장 생활은 끝났다.

결혼 초  사건 이후, 나는 전업주부가 됐다. 남편이 그때  놀랐나 보다. 화가 남편이 그림 그린다고 아내 돈 벌러 내보냈다가 송장 치울 했다. 그림 그리는 일도 죽지 않고 살아서 하는 일이고, 입에 풀칠은 하고 나서 하는 일이다. 그리 대단한 그림이라고 아내와 자식을 죽이면서까지 하겠는가.

후로도 생활이 어려워 직장을 잡아 보려고 신문을 뒤적거릴 때마다 
집에서 아이들이나 키우라는데.” 
남편은 화를 내곤 했다. 화가를 남편으로 여자가 집에서 쉬고 있는 사람은 아마 뿐일 거다.

Wednesday, October 29, 2008

The reason why my husband is mature

Should I say shock therapy?

A wife needs to surprise her husband. Whenever a man is surprised, he seems to grow up little by little.

It was a long time ago, I was a manager at a clothing store in Brooklyn. The young man was looking into the store; with the woman's stocking was top his head. The figure was so ridiculous that I laughed inside, saying, 'There's all the crazy ones!'

"Give me the money!" The man, standing outside looking inside, covered a stocking his face and pointed a gun that was wrapped in a brown bag at me. It was so strange and funny to actually see the distorted face with stockings that I had only seen in the movie. He pointed the brown bag near at my face and shouted, "If you don't give me, I'll kill you!"

I couldn't believe there was a gun in a brown bag because of the sudden attack. "Don't be ridiculous, are you playing?" I snapped at the brown bag. Rather, the robber was so surprised that he pushed me and threw the register on the floor. Then he ran away with as much money as he could collect.

I ran out of the store after the thief who had run away. But the clerks and shoppers are lying flat on the floor. One of the clerks was shivering and crying. My legs finally began to tremble at the sight.

"Why did you do it without fear, are you crazy?" people went wild. I never imagined that this would happen to me. I didn't even know how dangerous it was because it was the first time.

The owner of the clothing store came running in surprise. "When a robber asks for money, why don't you give it? Why did you do that? I'm glad you didn't die," he said. A week ago, a burglar broke into the pizza store next door and was shot dead. After hearing one thing or another, I began to tremble and I felt sick. I realized that it was a terrible incident.

I dragged my tired body home and lay down. My stomach began to ache. I was getting very sick and had a hemorrhage. I was eventually taken to the hospital. A three-month-old child was miscarried.

The next day, my husband filled the locks outside the studio door and went out to get a job. I brought the store key, but I couldn't get to work. The storeowner came and took a key I thrown out of the window. In the end I became a full-time housewife. My husband pretty surprised at that time. The artist's husband almost made his wife dead for his painting. Painting is doing also without dying.

Whenever I searched the newspaper for a job because I was having trouble living after that, my husband would get angry with me, saying, "I only want you to raise children at home." Perhaps I'm the only one who's got a rest at home with an artist as a husband.

Thursday, October 16, 2008

약속과 거짓말

아주 오래전 나는 한 아이에게 상처를 줬다.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거짓말을 해야 했다.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지금도 아이의 울부짓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 

내가 사는 아파트 옆에 한국 할머니가 사셨다. 복도에서 만나면 몇 마디 인사를 나눌 정도다. 어느 날 인사를 나누다가 잠시 서울에 다녀온다고 말씀드렸더니 며칠 후에 연락이 왔다

"아이 아버지가 미국에 자리 잡으러 먼저 왔어요. 아이 엄마는 남편이 이제나저제나 불러주기를 기다렸지만, 연락이 없자 남편 찾아서 아이를 데리고 뉴욕에 왔다는군. 남편이 사는 주소로 찾아 여러 날 아파트 문가에서 기다리며 밤샘을 했지만, 남편을 만나지 못했다네. 혼자서 아이를 키우며 고생하다 재 남자를 만났는데 그 남자가 아이는 받아들일 수가 없다니 어째겠어. 남편 부모에게 아이를 보내야지. 아이를 서울 갈때 데려가 줬으면 하는데."

아이의 엄마는 슬픈 모습으로 세상모르고 자는 아이를 안고 공항에 나왔다
"김포공항에 아이를 데리러 할아버지가 나올거예요. 잘 부탁해요."  
아이를 내게 안겨주며 울면서 우리의 모습이 보이지 않을 까지 서 있었다.

비행기 안에서 자던 아이가 깨어 울며 엄마를 찾았다. 아이 이름을 부르며 달랬다. 비행기 안이 어두워 엄마 얼굴을 확인 못 한 아이는 다시 잠이 들었다. 알래스카에서 잠시 내렸다 타야 했다. 불이 켜지자 아이는 엄마를 찾으며 울기 시작했다. 아무리 달래도 무가내였다
자꾸 울면 엄마에게 데려다주지 않는다.” 
반 협박 조로 달랬다. 아이는 잠시 생각하는 표정이더니 울음을 그쳤다.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을 감지 한 아이는 자기 이름을 아는 아줌마를 잊어버리면 다시는 엄마를 없다는 생각에 내 옆에  붙어 있었다 눈치를 보며 고분고분 말  듣는 아이와 나  친해졌다아무것도 모른 채 엄마로부터 점점 멀어져 가고 있다는 생각을 하니 마음 아팠다.

김포공항에 도착해서 할아버지에게 가지 않으려고 아이는 울며불며 나에게 매달렸다. 갓난 헤어진 할아버지가 누군지 어떻게 알겠는가. 잠에서 깨어나니 엄마는 없고, 자기 이름을 아는 아줌마가 엄마에게 데려다준다 해서 듣고 따라 아이였다믿고 따라온 아줌마는 거짓말을 하며 알지도 못하는 할아버지에게 자기를 맡기니 당황해서 어쩔 몰라 내 치맛자락을 붙들고 떨어지지 않으려고 했다.

할아버지에게 붙들린 아이는 돌아서 가는 나를 향해 원망스러운 표정으로 
엄마, 엄마” 
부르며 내게 오겠다고 발버둥을 쳤다.

부모의 이혼 아이의 몸을 반으로 자르는 것과 같은 상처를 준다고 한다. 아이에게 주는 상처에 공범자가 되었다. 그런 일을 하겠다고 자초한 나 자신이 한심했다아이가 어려서 기억 못 하기를 바라지만, 만약 기억한다면, 나의 거짓말이 세상에 태어나서 처음으로 그 아이에게 가장 커다란 상처를 주었을 것이다. 지금쯤 서른 살이 됐을 아이가 어디선가 부디 행복하게 살기를 진심으로 바랄 뿐이다. 

Wednesday, October 15, 2008

Promises and lies

A long time ago, I hurt a child. I didn’t mean to, but I had to tell a lie.
Even after many years, I still remember the child crying so sadly.

There was a Korean grandmother who lived next to my apartment.
We would say hello when we met in the hallway. One day, while talking with her, I told her I was going to visit Seoul for a short time. A few days later, she called me.

She said,
"The child’s father came to America first to find work. The mother waited and waited for him to bring them over, but he never called.
So she took the child and came to New York to find him. She went to his address and waited outside the apartment for days and nights,
but he never came out.

She raised the child alone and later met another man, but he said he couldn’t accept the child. What else could she do? She decided to send the child to the father’s parents in Korea. Can you please take the child with you when you go to Seoul?"

At the airport, the mother came holding her sleeping child in her arms.
She looked very sad. She said,
“The grandfather will meet you at Gimpo Airport. Please take good care of my child.”
She handed me the child and stood there crying until we disappeared from her sight.

On the plane, the child woke up and started crying for his mother. I called his name and tried to comfort him. It was dark inside the plane, so he couldn’t see my face clearly and soon fell asleep again. We had to stop in Alaska. When the lights came on, he saw me clearly and cried louder for his mom. No matter what I said, he wouldn’t stop crying. I said, half as a warning,
“If you keep crying, I won’t take you back to your mom.”
The child stopped crying and looked like he was thinking. He realized something was wrong. He thought,
“If I forget this lady who knows my name, I may never see my mom again.”
He stayed very close to me, followed everything I said, and we became quite close. But I felt sad, knowing he was getting farther away from his mother without even knowing it.

At Gimpo Airport, the child cried and clung to me. He didn’t want to go to his grandfather. He had been a baby when he last saw him—how could he know who this man was? He had trusted me, the lady who knew his name, and followed me because I said I would take him to his mom. Now, I was giving him to someone he didn’t know. He grabbed my skirt and wouldn’t let go. As the grandfather pulled him away, the child looked at me with a hurt, angry face. He screamed,
“Mom! Mom!”
and tried to run after me.

People say that divorce is like cutting a child in two. I became part of that pain. I hated myself for agreeing to do it. Maybe the child was too young and doesn’t remember. But if he does, my lie may have been the first and biggest wound in his life. Now, he must be around thirty years old. I truly hope he is living happily somewhere in the world.

Friday, October 3, 2008

어느 사채업자의 최후

비가 온종일 내렸다. 브루클린 나소 애비뉴 G 트레인 입구에 남자가 우산도 쓰지 않고 두리번거렸다. 두꺼운 돋보기안경 너머로 눈을 크게 뜨고 누군가를 찾는지 지하철 입구에서 나오는 사람들을 꿰뚫어지라 보고 있다. “하이하며 인사를 건넸다. 아는 척도 하지 않는다.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봐서 떼먹고 도망간 사람을 찾는 듯했다.

그의 이름은 프랭크로 사채업자다. 우리는 그를 1987년에 처음 만났다. 자리 잡아 살아보려고 자금을 구하던 그를 소개받았다. 이자율은 1부로 개인이자 치고는 좋은 편이다. 돈을 빌리고 5 동안 갚았더니 언제든지 꿔주겠다고 했다.

프랭크는 건물 여러 채와 현찰 많은 싱글이다그와 통화하기란 않다. 돈을 아끼려고 받기만 하고 화를 사용하기 때문이다우리 부부가 그를 만나려면 아침 일찍 으로 찾아가야 했다.  

프랭크는    양복을 입었다 양복이지 몇십 년은 입었는지 나달나달했다에서는 악취 났다비라도 오는 날이면 숨조차 없을 정도로 심했다. 기름에 찌든 양복은 빗방울도 스며들지 않을 정도로 반들거렸다.그의 가슴은 방탄조끼를 입은 부풀어 있다조끼와 양복 주머니엔 여러 개의 수첩이 꽂혀있기 때문이다사채기록인 수첩들은 고무줄로 꽁꽁 묶어져 있어 고무줄을  만도 간이  걸렸다. 우리 부부는 고무줄을 풀고 수첩에서 우리의 기록을 찾을 때까지 악취를 기다려야 했다. 돈을 빌리기 위해서는 그만한 고통쯤이야.

수첩을 꺼내면 그의 심각한 정이 갑자기 복한 소로 바뀐돈을 모으고빌려주고거기서 생기는 이자로 어나는 재산을 보니 거운 모양이다  일에만  사는 그는  쓰는 즐거움은 전혀 모르는 듯했다.

젊었을 그는 동네 영화관에서 티켓 받는 일을 했다고 한다. 극장에서 일하며 한푼 두푼 모은 돈으로 사채놀이를 해서 지금의 재산을 일구었다. 여자를 사귀고 싶어도 어렵게 모은 재산을 잃을까 두려워 결혼도 하지 않았단다. 평생 혼자 외롭게 살며 가까이 지내는 친구도 일가친척도 없단다.

어느 날부터인가 체크를 보내도 돈이 빠져나가지 않았다. 6개월쯤 지나자 그의 변호사로부터 편지가 으로는 프랭크 비로식 에스테이트 체크를 보내라고. 그가 었다는 이다평소에는 가까이도 하지 않은 라델피아에 사는  친척 여동생에게 상속됐단다 양복 한벌 입어 보지 못하고 모은 많은 재산을 두고 어찌 눈을 감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