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October 17, 2025

백림사와 원각사를 돌고 돌아


“사랑방 마운틴에 가자. 가기 전에 절에 들렀다가. 내가 픽업 갈게. 준비하고 있어.”

지난밤부터 배가 살살 아프고 구토증이 나는 것이 심상치 않다. 산책하면 나을 것 같아 공원에서 걷고 있었다. 일요일, 교회에서 예배드리고 있을 친구에게 문자 메시지가 왔다. 아플 때 친구들과 놀면 낫는 체질인 나는 신이 났다. 다운타운에 살고 있는 또 다른 친구도 함께 간다고 우리 집으로 오는 중이다. 셋은 그동안 밀린 이야기를 나누었다.


“어느 절로 가는 거야.”

운전하는 친구에게 내가 물었다. 

“백림사.”

“사랑방 마운틴이 그 사찰 근처에 있어? 내가 오래전에 그곳에서 템플 스테이 했는데. 꽤 멀어.”

“그 절에서 조금만 가면 사랑방 마운틴이야.” 

11시경에 떠났는데 백림사에 도착하니 2시경이었다. 사찰 마당이 횅하니 비어 아무도 눈에 뜨이지 않았다. 우리가 식당 안을 기웃거리자, 비구니 두 분이 들어오라고 했다. 콩나물밥을 먹으라며 김치와 상추와 양념장과 된장국을 꺼내주셨다. 신도들을 점심 봉양하시고 다 치운 상태에서 우리가 들이닥쳤는데도 반가이 맞아주셨다. 한국인만이 베풀 수 있는 마음 씀씀이에 미안하고 고마워서 나는 문밖에서 우물쭈물했다.


산사에서 새우와 오징어를 넣은 콩나물밥을 상추에 싸서 양념장을 얹어 먹는 맛이란! 정신놓고 먹다가 고개를 들었다. 대학 선배님이 들어오시는 것이 아닌가. 서로 껴안고 반가워 어쩔줄 몰랐다.

“사랑방 마운틴은 원각사 근처에 있어. 여기서 뉴욕 가는 길로 한 시간 되돌아가야 해.”

선배님이 말했다. 원각사에 가야 하는데 친구가 내비게이터에 백림사를 찍었다는 것이다. 


오랫동안 뵙지 못한 선배님을 만나려고 길을 잘못 들었던 것일까? 길을 잃을 때마다 더 재미있는 일이 생기는 까닭은 부처님 은덕인가 보다. 선배님과 아쉽게 헤어진 후 우리는 원각사를 향해 또 달렸다. 너무 늦어 원각사는 다음에 방문하기로 하고 그 근처에 사는 화가 조성모 작가 스튜디오 사랑방 마운틴에 도착했다. 돌고 돌아오다 보니 저녁나절 4시 30분이었다. 


운전하는 친구는 꼬리뼈가 아프고 또 다른 친구는 허리가 아프다고 하소연했다. 나는 아침에 소화가 안 되고 배가 아팠는데 말짱해졌다. 보고 싶었던 선배를 우연히 만나고, 친구들과 마음껏 수다 떨고, 게다가 백림사 두 비구니 스님의 은덕으로 어릴 때 엄마와 자주 가서 먹던 사찰 음식이 나의 아픔을 말끔히 치료했다. 예상치 못한 즐거운 행복한 하루였다. 

Going Around Baklim Temple and Wongak Temple

“Let’s go to Sarangbang Mountain. Before that, let’s stop by a temple. I’ll pick you up. Get ready.”
Since last night, I had a little stomachache and felt like vomiting. I thought a walk might make me feel better, so I was walking in the park. Then I got a text message from my friend, who was at church on Sunday morning. I always feel better when I spend time with friends, so I got excited. Another friend living downtown was also coming to my house. The three of us talked about many things we hadn’t shared for a while.

“Which temple are we going to?” I asked the driver.
“Baklim Temple.”
“Is Sarangbang Mountain near that temple? I stayed there a long time ago for a temple stay. It’s quite far.”
“It’s not far from that temple,” my friend said.

We left around 11 a.m., and when we arrived at Baklim Temple, it was about 2 p.m. The temple yard was quiet and empty. We peeked into the dining hall, and two Buddhist nuns invited us in. They served us bean sprout rice with kimchi, lettuce, soy sauce seasoning, and soybean paste soup. They had already finished serving lunch to the other visitors, yet they welcomed us warmly. I felt both grateful and sorry for troubling them — such kindness is something only Koreans can show.

The bean sprout rice with squid and shrimp, wrapped in lettuce with spicy sauce, tasted so good! I was eating happily when I suddenly looked up — and there was my senior from college! We hugged and were so glad to see each other.
“Sarangbang Mountain is near Wongak Temple,” she said. “It’s about an hour back toward New York from here.”
It turned out my friend had put Baklim Temple in the GPS instead of Wongak Temple.

Maybe we took the wrong road so I could meet my senior again after so many years. Whenever I lose my way, something interesting always happens — perhaps it’s the Buddha’s blessing. After saying goodbye to my senior, we drove again toward Wongak Temple. It was too late to visit, so we went to artist Sungmo Cho’s studio, Sarangbang Mountain, nearby. By the time we arrived, it was already 4:30 p.m.

The driver complained that her tailbone hurt, and another friend said her back hurt. I had a stomachache in the morning, but now I feel completely fine. Meeting my senior by chance, chatting freely with friends, and eating the temple food that reminded me of my childhood cured me completely. It turned out to be an unexpectedly happy and wonderful day.

Friday, October 3, 2025

김치 한 조각의 서글픔


“김치 좀 주세요” 

반찬이 주르르 나오지 않고 기본 반찬으로 김치만 나오는 이 식당 김치를 좋아하는 남편이 말했다. 

“식사 시키기 전에 김치는 안 나옵니다.”

우리는 소주 한 병을 시켜놓고 서울서 온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다. 황석영의 장길산 소설 속 나그네처럼 주막에 들러 국밥이 나오기 전, 빈속에 술을 털어놓고 김치 쪼가리를 씹고 싶어서였다. 무표정한 웨이터의 대답이 술맛을 싸하게 만든다. 


우리가 초대한 두 분이 식탁 맞은편에 앉았다, 남편이 파전과 순대와 찐만두를 시켰다. 사이드 종지를 주지 않는다. 아무도 안주를 건드리지 못하고 기다리고 있었다. 

“여기 종지와 김치 좀 주실래요.”

다시 웨이터가 무뚝뚝한 얼굴로

“식사를 주문하지 않으시면 김치는 드릴 수 없습니다.”

“아니, 술과 안주를 먼저 먹고 식사는 나중에 시킬 테니 김치는 가져다줄 수 있는 것 아닌가요?” 

“식사 주문하시면 가져다드리겠습니다.”

 언제부터 안주와 식사가 분리되었던가? 웨이터는 무반응으로 계속 외면한다. 술맛이 슬슬 달아났다. 

“사장님 나오시라고 해요.” 

웨이터는 그러든지 말든지 하는 무표정으로 가더니 누군가가 김치를 가져왔다


물가가 너무 올라 김치가 금치 되었나? 식당 매니저의 지시인가? 웨이터의 융통성 부족인가? 안주만 시켜 놓고 김치를 달라는 우리가 무례한 건가? 아니면 요즘 한국 젊은이 중에는 나이 든 사람들에게 “무응답凝視” 즉 질문이나 말을 걸었을 때 대답은 하지 않고 상대를 빤히 바라보는 태도로 일관한다는데. 사회적 거리 두기 이후 생긴 변화인가? 


손님도 많지 않다. 웨이터는 우리 테이블에 시선을 두고 있는데도 여전히 종지는 가져다주지 않는다. 식탁에 앉아 술잔을 마주하면, 아주 오래전에 읽은 장길산에서 아낙들이 국밥 끓이는 장면을 연상하며 한마디 한다.. 

“종지라는 말 너무 예쁘지? 봉지도.”


물가가 올라도 너무 올랐다. 국밥 가격이 예전의 두 배 이상이 되었다. 어쩌겠는가. 식당도 이윤을 남겨야 하니 그래도 소주와 안주를 세 개나 시키고 식사도 나중에는 주문했는데. 한국인의 기본 반찬인 김치는 미리 줘야 하지 않을까? 무척이나 야박하고 헷갈리는 저녁이었다.

The Sadness of a Piece of Kimchi

“Can we have some kimchi, please?”
My husband, who really likes this restaurant’s kimchi, asked the waiter.

“We don’t serve kimchi before you order a meal.”
We had already ordered a bottle of soju and were waiting for guests from Seoul. Like the wanderers in Hwang Sok-yong’s novel Jang Gil-san, who stop by a tavern, we wanted to sip soju on empty stomachs and chew on some kimchi before the soup arrived. But the waiter’s expressionless answer spoiled the mood.

Soon, the two guests we invited sat across from us. My husband ordered pajeon, soondae, and steamed dumplings. Still, no small side dishes were given. No one touched the food and we all just waited.
“Could you please bring us some small plates and some kimchi?”
The waiter, again with a blank face, replied:
“Without ordering a meal, I cannot bring you kimchi.”
“But we’ll eat the side dishes first and order meals later. Can’t you bring us kimchi now?”
“If you order meals, then I’ll bring kimchi.”

Since when were side dishes separated from meals? The waiter ignored us, staring past us in silence. The soju started to taste flat.
“Please ask the manager to come.”
Eventually, someone brought kimchi.

Is kimchi now so expensive that it has become geumchi (gold-kimchi)? Was it the manager’s strict rule? Or the waiter’s lack of flexibility? Or maybe we were the rude ones, asking for kimchi with only side dishes and alcohol? Some say many young Koreans today show a kind of “silent stare” toward older people—when spoken to, they just stare without responding. Is this a social habit born from pandemic distancing?

The restaurant wasn’t even busy. The waiter kept glancing at our table but still didn’t bring the small plates. Sitting there with soju, I suddenly remembered reading long ago about women cooking soup in Jang Gil-san’s mountain hideout. I even missed the old word “jongji,” the little bowls for side dishes.
“Isn’t jongji such a pretty word? Like bongji (paper bag).”

But the truth is, prices have risen far too high. The price of soup is now more than double what it used to be. Of course, restaurants must make a profit. Still, we ordered soju, three dishes, and later also meals—shouldn’t kimchi, the most basic Korean side dish, be given first? It turned into a very stingy and confusing evening.

Friday, September 19, 2025

하필이면 올여름에


사람들은 왜 여름에 바람이 날까? 하염없이 떨어지는 낙엽 속 로맨틱한 가을에 날 것 같은데. 태양이 지글거리는 땡 여름에 몸이 뜨거워서 풀어헤치다가 바람피우는 걸까? 났다가도 땀이 흐르는 여름엔 짜증이 나서 헤어질 것 같은데. 가을이 오면 뜨겁게 달궈져 붙었던 바람기가 떨어질까? 

한 유부녀와 유부남이 운명적 만남이라며 올여름에 바람났다. 왜 같은 인종끼리 붙었을까? 한국 사람끼리는 살아봐서 지겨워서라도 다른 인종과 바람피울 것 같은데. 한국 음식 말고 다른 나라 음식 먹기가 불편해서일까? 영어도 연애할 만큼은 하던데. 


불륜은 호러무비 보다 더 무섭다. 아무리 떼어 말려도 한동안은 떨어지지 않는다. 남녀가 붙으면 도덕, 신의, 의리와 양심도 칼로 베어 버린 듯 떨어질세라 딱 붙어있다. 

“많은 사람이 알아도 우리는 상관하지 않아요.”

와우! 바람나면 눈에 뵈는 것도 없는지 얌전하고 교양 있던 모습은 사라지고 무척 뻔뻔해진다. 불륜이 오히려 더 짜릿한 사랑이라는 포장으로 그 둘을 꽁꽁 감싼 듯 당당하게 큰소리친다. 그들에게는 남편도 아내도 자식도 동료도 둘의 애타는 사랑에 방해꾼일 뿐이다. 오로지 두 남녀만이 세상에 유일하게 존재한 듯 행동한다. 그런 부류의 인간들 주변에는 비슷한 처지의 인간들이 암묵적으로 응원하며 지지한다. 동지애를 구축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도와주며 서로의 불륜을 합리화한다. 


영원히 지속되는 것이 있을까? 그리도 애타게 뜨겁던 불륜도 언젠가는 끝난다. 처음엔 서로의 몸을 탐하려고 애틋한 말과 행동으로 시작할지 모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 한쪽의 집착으로 불화가 생긴다. 서로의 밑바닥을 보게 된다. 달구어졌던 몸도 식고 불 꺼진 칙칙한 검은 재를 보는 듯한 끝을 본다. 지루해져 새로운 흥미의 파트너를 찾아 나선다. 불륜은 습관이고 생활 패턴이다. 두 가정이 깨지고 아이들에게 상처 주고 주위 사람들에게 신뢰를 잃는다. 천생연분을 왜 이리 늦게 만났냐며 유부남 부인을 밀어내고 유부녀 남편을 내치고 둘이 영원히 살 것처럼 재혼하는 경우도 있다. 과연 남의 것을 훔쳐서 잘 써먹을 수 있을까?


저만치 여름이 가는 뒷자락이 보인다. 서늘한 바람이 옷깃을 파고든다. 불륜 남녀는 집착으로 괴로워서 아니면 다른 흥미진진한 파트너를 찾아 옷깃을 또 세운다.

Why this summer, of all times

Why is it that affairs often start in the summer? It seems like it should happen in the romantic autumn, amidst the endlessly falling leaves. But instead, under the blazing hot summer sun, bodies heat up, clothes loosen, and affairs begin. Yet at the same time, summer heat also brings sweat and irritation, which could just as easily break things apart. When autumn comes, do those burning summer affairs cool off and fall away like leaves?

This summer, a married man and a married woman claimed they had a “fateful encounter” and began an affair. Why did they choose each other, people of the same race? You’d think they would be tired of their own kind and seek something different. Was it because eating foreign food feels uncomfortable? Or maybe because, though they know enough English to date, it still isn’t easy?


An affair is scarier than a horror movie. No matter how hard others try to stop it, the couple clings tightly together. Once two people are bound like that, morality, faith, loyalty, and conscience are all cut away as if by a knife.

“We don’t care if people find out.”

Wow. Once caught up in an affair, even the most polite and cultured people become bold and shameless. The forbidden love wraps them up in the thrill of passion, giving them confidence to shout it out loud. To them, husbands, wives, children, even coworkers are nothing but obstacles. They act as though only the two of them exist in the world. Around such couples, others in similar situations often give secret support, helping them justify their actions in the name of shared experience.


But is there anything in life that truly lasts forever? Even the most burning affair eventually ends. At first, they chase each other’s bodies with tender words and gestures. But over time, jealousy and obsession bring conflict. They see each other’s flaws. The fire cools, leaving only ashes. Soon boredom arrives, and they start looking for someone new. Affairs become a habit, a lifestyle. Families break apart, children are hurt, trust is lost. Sometimes, lovers abandon their spouses and remarry each other, claiming they were destined to meet late in life. But can stolen love really last?


Now summer is fading. A cool wind slips under the collar. Those lovers, once burning with passion, either suffer in jealousy or raise their collars again, searching for the next exciting partner.

Friday, September 5, 2025

한인은 한인을 꺼린다


둘이 들어가면 안성맞춤인 작은 야외 풀장에서 동양계 부부가 선글라스를 쓰고 와인잔을 맞부딪치며 한마디 외친다. 확실하게 들리지 않아서 긴가민가했다. 그 부부를 자세히 훑어봤다. 한인 같기는 한데 말 걸기 쉽지 않은 터프한 인상이다. 

크루즈에서 보름이 지나도 한인을 만나지 못했다. 대부분의 아시안은 차이니스다. 배 탄 지 20일이 지난 후 와인잔을 부딪치던 부부가 중국인처럼 생긴 다른 부부에게 말하는 소리를 들었다. 분명히 한국말이다. 

“저 사람들 한국 사람이야. 인사할까?”

“말 걸지 마. 조용히 있다가 배에서 내리자고.”

남편 말에 나는 한인을 만났다는 반가움을 떨쳐버리고 그들에게 눈인사만 했다. 


한 달 후 배에서 내려 비행장에서 그들과 맞닥뜨렸다. 눈인사했다. 비행기를 탔다. 와! 바로 옆자리에 그 부부가 앉았다. 참다못한 나는 아는 척하려는데 남편이 내 옆구리를 쳤다. 그러든지 말든지 더는 죄짓고는 못 살겠다는 심정으로 이실직고했다. 

“안녕하세요. 배 내리기 전에 어떤 한국분과 이야기하시는 걸 들었어요.”

“아 그러세요.”

남자분이 벌떡 일어나 내 남편에게 손을 내밀며 악수를 청했다. 내 남편도 마지못해 악수했다. “어디로 가세요?”

남자가 물었다. 

남편이 “뉴욕”이라고 대답하자 

“우리는 플로리다로.”


우리의 대화는 더 이상 이어지지 않고 약속이라도 하듯 네 명 모두 입을 꾹 다물었다. 누구도 입을 열어 말하고 싶지 않은 듯 조용했다. 긴 비행이 아니라서 다행이었다. 

“안녕히 가세요.” 나는 비행기 안에서 짐을 내리며 작별 인사했다. 


뭔가 껌딱지처럼 달라붙은 찜찜한 갑갑한 느낌이 들었지만 어쩌겠는가. 한인이 별로 없던 예전 같으면 반가워서 이미 친구가 됐을 텐데. 한인이 많아지자 누구나가 슬그머니 피하는 데야. 나도 그들의 편안함을 위해 남편 말대로 입 꾹 다물고 있어야 했던 건 아닐까? 나의 이실직고가 그들을 불편하게 한 것 같다. 

Koreans Avoid Koreans

At a small outdoor pool, just big enough for two people, an Asian couple clinked their wine glasses while wearing sunglasses. I wasn’t sure what they shouted, but I tried to listen. I looked at them carefully. They seemed Korean, but their tough appearance made it hard to approach them.

For two weeks on the cruise, I didn’t meet any Koreans. Most Asians were Chinese. On the 20th day, I finally heard the couple—who had clinked their glasses—speaking to another couple who looked Chinese. This time, I clearly heard Korean.

“They’re Korean. Should we say hello?” I whispered.
“Don’t. Let’s just stay quiet until we get off the ship,” my husband replied.

So instead of talking to them, I just gave them a small eye greeting.

A month later, after getting off the ship, we ran into the same couple at the airport. Again, I gave them an eye greeting. On the plane, to my surprise, they were seated right next to us. I couldn’t hold back anymore. I wanted to say something, but my husband nudged me in the side to stop.

Still, I felt guilty staying silent. So I finally confessed.
“Hello. Before getting off the ship, I heard you speaking in Korean.”
“Oh, really?” the man answered.

He quickly stood up and reached out to shake my husband’s hand. My husband accepted the handshake unwillingly.
“Where are you going?” the man asked.
“To New York,” my husband replied.
“We’re going to Florida,” the man said.

After that, the four of us became completely silent, as if we had agreed not to talk anymore. No one wanted to start another conversation. Luckily, it was not a long flight.

“Goodbye,” I said politely while taking down my bag.

Still, I felt a sticky, uncomfortable feeling, like something clinging to me. What could I do? In the old days, when Koreans were rare, we would have already become friends. But now that there are many Koreans, people quietly avoid each other. Maybe I should have stayed silent, like my husband said, for their comfort. My confession probably made them uncomfortable.

Friday, August 8, 2025

피아노가 있는 풍경


“한국인이세요?”

“아니요. 일본인이에요"


처음 뉴욕에 와서 학교에 다닐 때 일이다. 나는 늘 외롭고 쓸쓸함에 수업이 없을 때는 워싱턴 스퀘어 공원에 앉아 있었다. 그 당시만 해도 아시안이 많지 않았다. 아시안만 보면 눈인사하고 인상이 좋다 싶으면 말 걸어 친구가 되었다. 

그녀도 나와 같은 학교에서 음악을 전공하고 있었다. 우리는 금방 친구가 되었다. 그녀가 나를 그녀의 그리니치빌리지 아파트로 초대했다. 오 헨리의 단편소설 ‘마지막 잎새’ 배경인 Grove court 근처 아담한 아파트였다. 나는 집안에 들어서며 와! 이런 위치에 분위기 좋은 집에서 산다니 부러웠다. 창가에서 조금 떨어져 거실을 향해 있는 검은 책상과 의자. 코너에는 초록색 안락의자가 자신감 가득 찬 자세로 자리 잡고 있었다. 게다가 그 옆으로 피아노가 묵직하게 버티고 있었다. 유학 생활하면서 피아노까지 있다니! 그녀의 넉넉한 부유함에 움찔했다.


“와! 멋지다. 너 혼자 사는 거야? 좋겠다.”

그녀는 조용히 차를 내왔다. 우리는 차를 마시며 이런저런 고향 이야기를 하다가 그녀가 갑자기 불안한 표정으로 화제를 바꿨다. 

“아빠가 일본에서 다음 달에 온다는 데 큰일 났어.”

“왜? 아빠와 이곳에서 함께 있으면서 구경 시켜드리면 되잖아.”
“실은, 이 아파트 아빠 친구가 해준 거야. 내가 뉴욕에 공부하러 간다며 친구에게 나를 잘 보살펴 달라고 아빠가 부탁했는데 그만 그와 살게 됐어.”

“아빠 친구 싱글이야?” 

“아니. 부인과 아이들은 업스테이트 뉴욕에 살아. 부인이 우리 관계 몰라. 불안해. 어떡해야 할지 모르겠어. 아빠도 전혀 몰라. 알면 큰일이야. 나 어떡하지? 너 무슨 좋은 아이디어 없어?”


나는 할 말을 잃고 검은색 피아노처럼 어두운 표정으로 말없이 앉아 있었다. 오 헨리 작품의 특징인, 예상치 못한 반전 같은 일본 친구 삶에 충격을 받았다. 어린 내가 불륜 문제 해결책을 알 수 있을까? 한동안 우리는 차만 조용히 홀짝거렸다. 갑자기 나는 뻘떡 일어나 문을 열고 도망치다시피 그녀의 아파트를 나왔다. 나를 믿고 속마음을 터놓았는데 그녀에게 내가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순간 후회했다. 괴로웠다. 친구에게 따뜻한 한마디 못 해주고 나온 것이 미안했다. 심란한 마음으로 아파트 주변을 맴돌며 다시 그녀에게 갈까? 말까? 고민하다 집에 왔다. 그 이후 그녀를 피해 다녔다. 


불륜이 만연한 요즈음, 그녀의 근심 어린 희고 둥근 얼굴이 자꾸 떠오른다. 지금쯤 그녀는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Landscape with a piano

“Are you Korean?” 
“No, I’m Japanese,” she said.

This happened when I first came to New York and started school. I always felt lonely and sad, so when I didn’t have class, I often sat in Washington Square Park. At that time, there weren’t many Asians around. Whenever I saw another Asian, I made eye contact. If they looked kind, I would talk to them and try to become friends.

She was also studying music at the same school as me. We became friends quickly.
She invited me to her apartment in Greenwich Village. It was a cozy place near Grove Court, where O. Henry’s short story The Last Leaf takes place. When I walked into her apartment, I was amazed.
“Wow! You live in such a beautiful place in this nice area!” I said.

There was a black desk and chair facing the living room, not far from the window.

In one corner, a green armchair stood proudly. Next to it was a piano—heavy and strong. I was surprised. Having a piano in New York as a student? She must have had money.
“Wow! This is so nice. Do you live here alone?”
“Yes,” she said quietly and brought out some tea.
We drank tea and talked about our homes.
Suddenly, she changed the topic with a worried face.
“My dad is coming from Japan next month. I’m in trouble.”
“Why? You can show him around and enjoy time together.”
“Well... this apartment is from my dad’s friend. Before I came to New York, my dad asked his friend to take care of me.
But now… I’m living with him.”
“Wait… Is your dad’s friend single?” 
“No. His wife and kids live in upstate New York.
His wife doesn’t know about us. I’m scared. My dad doesn’t know either. If he finds out, it will be terrible. What should I do? Do you have any good ideas?”
I didn’t know what to say. I sat there in silence, like the dark black piano.
Her story shocked me, like the surprise endings in O. Henry’s stories. I was too young to know what to do about such a serious problem. We just sipped our tea quietly. Then, suddenly, I stood up, opened the door, and ran out of her apartment. Later, I felt bad. She trusted me and told me her secret, but I just left. I felt guilty that I couldn’t say even one kind word to her. I walked around her apartment for a while, wondering, “Should I go back? Or not?” But in the end, I just went home. After that, I avoided her.

These days, when affairs are so common, I keep thinking about her pale, round face full of worry. How is she doing now?

Thursday, July 24, 2025

우는 아이가 떡을 받는다


브루클린 그린포인트에 가서 판화 작업하던 날, 작업실 문틈으로 작은 아이가 보였다. 

“아들~ 엄마 왔어. 얼굴 좀 보자.”

“엄마 나이키(프렌치 불도그 이름) 산책시켜야 해요.”

“알았다. 그럼 이따가 보자.”


얼마 지나지 않아 아이가 급하게 들어왔다.

“엄마 나이키 좀 데리고 있어요. 길에 버려진 TV를 가지러 가야 해요.”

아이는 몸통이 가늘고, 스크린이 커다란 TV를 끙끙거리며 들고 왔다. 

“엄마 나이키가 갑자기 멈추고 ‘너 이거 가져갈래?’하는 표정으로 쳐다보길래 봤더니 너무 멀쩡한 TV가 있는 거예요. 나이키는 쓸만한 물건이나 돈이 떨어져 있으면 나를 쳐다보고 ‘어때 이 물건 쓸 만하지?’ 하는 표정으로 쳐다봐요. 너무 똑똑하고 사랑스러워요.”


TV를 틀었다. 소리도 화면도 좋다. 단지 화면 밑부분이 윗부분처럼 선명하지 않았다. 아이는 너무 멀쩡한 것을 도로 내다 버리기가 아까운지 이리저리 들여다보더니 수리공을 부르겠단다.

“수리 비용으로 차라리 TV를 사겠다.”

“돈 안 들이고 고칠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아이는 TV 만든 회사에 전화했다. 

“언제 어느 매점에서 구입했냐고 묻길래 맨해튼 14가 근처 폐점한 전자제품 매장 이름을 췄더니 수리공이 와서 공짜로 말짱하게 고쳐줬어요.” 

“너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었니?”

“엄마 원하는 것이 있으면 일단 말해보고 안되면 포기해야지요. 그들이 알아서 할 일을 내가 미리 안될 거라고 단정할 필요는 없어요. 나는 내가 할 일만 하면 돼요. ”

“그래 옛말에 우는 아이가 떡을 받는다. 는 것과 같구나.”

공짜라 선가! 소리도 잘 들리고, 화면도 더 선명하게 보이는 것 같았다. 사랑스러운 강아지 나이키도 우리 식구를 닮아 공짜를 좋아하는 눈치다. 

Monday, July 21, 2025

A Crying Child Gets the Rice Cake

One day in Greenpoint, Brooklyn, I was working on a print project. Through the crack in the studio door, I saw my younger son.

“Son, Mommy’s here. Let me see your face.”

“Mom, I have to take Nike for a walk.” (Nike is the name of his French Bulldog.)

“Okay, then I’ll see you later.”


A short time later, the child came rushing back.

“Mom, can you watch Nike for a minute? I need to get a TV that someone left on the street.”

He came back carrying a big TV with a thin body and a large screen.

“Mom, Nike suddenly stopped walking and looked at me like, ‘Do you want this?’ So I looked, and there was a perfectly good TV. Whenever Nike sees something useful or money on the street, he stops and looks at me like, ‘Isn’t this a good one?’ He’s so smart and lovable.”


We turned the TV on. The sound and screen were good. Only the bottom of the screen wasn’t as clear as the top. My son kept looking at it. He didn’t want to throw away something that still worked. He said he would call a repairman.

“I’d rather buy a new one than pay for repair.”

“I have an idea to fix it for free!”


He called the TV company.

“They asked me when and where I bought it.

I gave them the name of an old electronics store near 14th Street in Manhattan—even though it’s closed now. Soon, a repairman came and fixed it perfectly for free!”

“How did you think of that?” I asked.

“If you want something, you should speak up. If it doesn’t work, then you can give up. But don’t assume they’ll say no. I just have to do my part.”

“Yes, it’s like the old saying: ‘A crying child gets the rice cake.' (Korean Proverb: If you ask, you might receive)

Maybe it worked because it was free! The sound was great, and the screen looked even clearer. Even Nike, our sweet dog, seems to like free things—just like our family.

Friday, July 11, 2025

경상도 사나이


고추 조림, 김치와 배추된장국을 떠 놓고 남편 맞은편에 앉았다. 밥상이 너무 초라한 것 같아서 남편 눈치를 살폈다. 국에 밥을 말아 먹던 그가 한마디 한다.

“배추된장국이 진국이야. 최고의 건강식이지.”  

시래깃국을 먹고 자란 남편은 매일 된장국을 먹어도 질리지 않고 좋아한다. 그의 ‘진국’이라는 말에 옛일이 생각났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서였다. 살만한 옷이 있나 보려고 종로 지하상가 옷 가게를 기웃거리고 있었다. 가게 안에 있던 여자가 

“어머, 너 수임이 아니야.”

“어머머, 미정아 웬일이니?

“나 여기서 일해.”

우리는 너무 반가워서 손을 맞잡고 깡총깡총 뛰었다. 친구가 나에게 물었다. 

“너 진국이 생각나니?”

“그 아이 잘생기고 남자다워 무척 인기 있었잖아. ” 

“너 학교 졸업하고 그 애 만난 적 있니? 진국이를 내가 엄청나게 좋아했는데. 혹시나 너는 그 애 근황을 알고 있나 해서. 나야 이미 결혼해서 끝난 일이지만.”

“어머머 언제? 누구하고?” 

“고등학교 졸업하자마자 남쪽 바닷가에 놀러 갔다가 만난 경상도 남자하고. 우리 집에 가서 저녁 먹자. 예전에 너희 집에 가서 밥통에 있는 밥 다 먹고 삼립 빵을 또 먹어도 네 엄마가 한창 클 때라며 더 먹으라고 했던 일이 생각난다.”


미정이는 내 초등학교 착한 단짝이었다. 나는 그녀와 헤어지기 싫어 따라갔다. 어찌어찌해서 그녀가 사는 곳에 갔는지 지금은 생각나지 않는다. 다만 그녀가 산다는 집 구조를 한국 드라마에서 서너 번 본 적 있다. 옥탑방으로 문을 열자마자 부엌이 있고 방 한 칸이 훤하게 보이는 구조였다. 우리가 집 문을 열고 들어서자, 그녀의 남편이 어두운 방 안에 앉아 있었다. 

“친구를 우연히 만나서 함께 왔어요.”

“안녕하세요.”

나는 상냥하게 인사했다. 그는 슬쩍 쳐다보더니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무서운 아저씨 인상이다.

“수임아, 방에 들어가 있어.” 

방안을 들여다보니 들어가 앉을 곳도 마땅치 않고 친구 남편이 몹시 화가 난듯해 무서웠다. 

“나 그냥 여기 있을게.”

친구도 남편 눈치가 보이는지 부엌에서 저녁밥을 짓고 반찬을 만드느라 부지런히 움직였다. 나는 문가에 서 있었다. 친구가 저녁상을 차려 들고 남편 앞에 가져다 놓으려는 순간, 남자가 벌떡 일어나 밥상을 걷어차며 소리 질렀다.

“배고파 죽겠는데 어디를 쏘다니다 온 거야.”

에구머니나! 난 너무 놀라서 냅다 버스정류장으로 달렸다. 그 친구와의 인연은 그것으로 끝났다. 경상도 바닷가에서 태어나 자란 사나이 하면 밥상을 걷어차는 남자로 기억한다.

A Man from Gyeongsangdo

I sat across from my husband and put braised peppers, kimchi, and cabbage soybean paste soup on the table. The food looked a little too plain, so I looked at my husband to see his reaction. As he mixed rice into the soup and ate, he said,
“This cabbage soup is really Jinkook(rich broth). It’s the healthiest food.”

My husband grew up eating radish leaf soup, so he never gets tired of soybean paste soup. When he said it was “rich broth,” it reminded me of something from the past. It happened not long after I graduated from high school. I was walking around the underground shopping mall in Jongno, looking at clothes. A woman inside a store called out to me.
“Oh! Aren’t you sooim?”
“Oh wow! Mijeong! What are you doing here?”
“I work here now.”

We were so happy to see each other. We held hands and jumped up and down. Then she asked me,
“Do you remember Jinkook?”
“He was so good-looking and manly. Very popular.”
“Have you seen him since graduation? I really liked him a lot. I was just wondering if you knew anything about him. I’m married now, so it’s in the past.”
“Oh my, really? Who did you marry?”
“Right after high school, I went on a trip to the southern coast and met a man from Gyeongsangdo. Come over to my house for dinner. I still remember when I went to your house, ate all the rice in the cooker, and then ate Samlip bread. Your mom told me to eat more because I was growing.”

Mijeong was my kind best friend in elementary school. I didn’t want to leave her, so I followed her home. I don't remember now how I ended up where she lived. But I remember what it looked like. I’ve seen homes like it in Korean dramas. It was a rooftop room. When you open the door, you see the kitchen right away and one room.

When we went in, her husband was sitting in the dark room.
“I met a friend by chance, so I brought her,” she said.
“Hello,” I said politely.
He looked at me for a second but didn’t say anything. He looked scary.
“sooim, go wait in the room,” she said.

I looked inside the room, but there wasn’t even a place to sit. Her husband seemed really angry, and I got scared.
“I’ll just stay here,” I said.
My friend looked nervous. She quickly started making dinner in the kitchen. I stood near the door. Just as she was about to serve dinner to her husband, he suddenly stood up, kicked the table, and yelled,
“I’m starving! Where have you been?”

Oh no! I was so shocked that I ran straight to the bus stop. That was the last time I saw her. Since then, when I think of a man from Gyeongsangdo, I remember as the man who kicked the dinner table.

Friday, June 27, 2025

통행금지


결혼 전엔 친정아버지가 결혼 후엔 남편이 나의 외출 통행 시간을 정해놓고 시간을 관리했다.

아버지에게는 용돈을 받으려고 지켰지만, 남편의 통행금지 시간은 억울하다. 아이들 잘못될까 봐 모범을 보이며 항상 아이 곁에 있느라고 금지 시간 자체를 의식하지 못하고 살았다. 아이들이 다 커서 집 떠났는데도 나의 금지 시간은 이어졌다. 나는 가정의 평화를 위해서 참았다.


“우리 젊은 아이들이 많이 가는 곳으로 가자.” 

“아버지, 우리가 그런 곳에 가면 아이들이 불편해해요. 그냥 적당한 데 가요.”

“나이 들수록 젊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에 틈틈이 기웃거려야 해. 그래야 젊은 기를 받아.”

다행히도 나는 나이가 들었는데도 젊은 화가 친구들과 어울리며 밤늦게 논다. 친구들을 만나면 나는 간다고 절대 먼저 일어나지 않고 끝까지 자리를 지킨다. 또 다른 만남이 있을 거라는 기대도 하지만, 그날의 만남은 과거가 되고 다시 오지 않는다. 그날 하루 그 만남에 올인하다 늦을 때가 종종 있다.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반기지 않는 남편은 친정아버지보다 더 꼰대다. 남편은 저녁밥 먹고 나면 졸다가 8~9시경에는 잔다. 자다가도 내 통행 시간은 어찌 그리 잘 아는지 전화해서 소리 지른다.

“어디야? 지금 몇 신데 아직 놀고 있어.”


아이들과 남편에게 최선을 다했다고 자부하는 나는 남편에게 통행금지 해제를 요청했다. 

“나는 어릴 때 아프면 엄마가 자매 많은 집에 가서 놀다 오라고 했어. 그러면 앓던 병도 사라지고 밥도 잘 먹었거든. 난 놀아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고. 내가 집에 처박혀 아프다고 징징거리다가 우울증이라도 생기면 좋겠어. 내 친구 남편은 12시까지 집에 돌아오면 된다고 했데. 나도 통행금지 시간을 연장해 주든지 아니면 해제해 주든지. 난 자유인이라고.”

“어 그래. 그러면 자정까지 연장해 줄게.”

“알았으니까. 조금 늦는다고 전화질하지 말고, 그냥 푹 주무세요.”

결혼 40년 만에 나의 통행금지 시간이 밤 10시에서 12시로 두 시간 연장됐다.

Curfew

Before I got married, my father set my curfew. After marriage, my husband decided when I should come home. I followed my father’s rules because I wanted allowance money, but my husband’s curfew felt unfair. I didn’t even realize I was following the rules since I was always by the children’s side, trying to set a good example and make sure they turned out well. Even after the kids grew up and left home, my curfew continued. I kept quiet for the sake of peace in the house.


“Let’s go somewhere young people like to hang out,” 

My father said,

“Dad, if we go to places like that, the young people will feel uncomfortable. Let’s just go somewhere more suitable.”

“As you get older, you should hang out in places where young people gather. That’s how you absorb their energy.”

Fortunately, even though I’m older now, I still hang out late at night with my younger artist friends. When I’m with them, I never get up first to leave. I stay until the very end. Each gathering becomes a thing of the past, never to return. I give it my all to that night, and sometimes I stay out too late.


My husband, who doesn’t like socializing, is more old-fashioned than my father. After dinner, he usually dozes off and goes to bed around 8 or 9 p.m. Even in his sleep, he somehow always knows when I’m out late and calls me angrily.

“Where are you? Do you even know what time it is?”


I’ve always believed I did my best for both my husband and my children. So one day, I asked my husband to lift the curfew.

“When I was little, whenever I was sick, my mom used to send me to my friends’ house to play. After that, I’d feel better and eat well. I stay healthy by going out and having fun. Would you rather I stay cooped up at home, whining that I’m sick and end up with depression? My friend’s husband lets her stay out until midnight. Can’t you either extend my curfew or just get rid of it? I’m a free woman.”

“Okay. Then I’ll extend your curfew to midnight.”

 “Great. So don’t call me if I’m a little late. Just get a good night’s sleep.”

After 40 years of marriage, my curfew was finally extended from 10 p.m. to midn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