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December 30, 2017

챈들러 방식

남편 도시락 반찬으로 싸주고 남은 멸치 볶음과 오이지에 밥을 먹은 지 얼마나 지났다고 배가 고프다. 빵 위에 치즈를 깔고 사과와 아보카도를 얹어 입에 쑤셔 넣었다. 티도 한잔 가득, 포만감에 러그에 누워 천장을 올려다보며 오늘은 무엇을 그릴까? 생각한다어젠 흔적이라는 작품을 끝냈다. ‘흔적웃긴다. 사춘기 소녀 같은 제목이지만, 그냥 그렇게 붙이고 싶었다.

흔적이란 무엇일까? 지나간 기억, 머물렀던 시간, 남겨진 자국. 캔버스 위에 하얀 물감으로 긁적거렸었다. 조금 어두운 바탕 위에 그려야 드러날 텐데. 굳이 분명할 필요는 없다. 흔적이란 흐지부지하다 사라지는 것이니까.

작업 구상 중에 갑자기 가스, 전기, 전화, 크레딧 카드, 인슈런스 그리고 시어머니 상조회비, 내야 할 빌이 불현듯 떠올랐다. 붓을 놓았다. 빌을 정리하고 나니 이미 해는 떨어졌다남편이 돌아올 시간이다. 부지런히 도마질한다. 오이지는 빨리 정확한 간격으로 잘도 써는데 왜 그림은 안 되느냐고! 떡 썰던 한석봉 모친이 아들을 구박하듯 자신을 탓한다. 먹고 사는 일이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니 안 되지.’라며 위로하지만, 언제까지 변명만 하다 죽으려는지!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 수필에서 읽은 챈들러 방식으로 작품에 몰두해 볼까?

우선은 책상 하나를 딱 정하라고 챈들러는 말한다. 그리고 그 위에 원고지며 만년필 자료 등을 갖춰놓는다. 언제든 일할 수 있는 태세를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매일 일정시간 예를 들어 두시간이면 두시간- 그 책상 앞에 앉아서 보내는 것이다. 물론 그 두시간 동안 슬슬 글을 쓸 수 있다면야 아무 문제도 없다. 그러나 글이란 그리 쉬이 써지는 것이 아니니 한 줄도 못 쓰는 날도 있다. 쓰고 싶은데 도무지 제대로 써지지 않아 짜증이 나서 내던질 때도 있고 처음부터 글 따위 조금도 쓰고 싶지 않을 때도 있다. 또는 직관적으로 오늘은 아무것도 쓰지 않는 게 좋다고 깨닫는 날도 있다. 그럴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설령 한 줄도 못 쓴다 해도 아무튼 책상 앞에 앉아 있으라고 챈들러는 말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그저 멍하니 있어도 된다. 대신 딴청을 피워서는 안 된다. 책을 읽거나 잡지를 뒤적거리거나 음악을 듣거나 해서는 안 된다. 쓰고 싶어지면 언제든 쓸만한 태세를 갖추고 가만히 있어야 한다. 그러고 있다 보면 당장은 한 줄도 쓸 수 없더라도, 언젠가는 반드시 글이 써지는 사이클이 돌아온다. 초조하게 굴면서 불필요한 일을 해봐야 얻어지는 건 없다. 이것이 챈들러 방식이다. 나는 이런 방식을 비교적 좋아한다.라고 무라카미 하루키는 말했다.

그래, 나도 챈들러 방식을 작업에 도입해 보자. 그런데 오늘은 일단 저녁 밥상을 차려야 하니까. 내년부터는 꼭 정말 꼭 하자.’ 작심 3일로 끝나지 않아야 할 텐데….

Friday, December 29, 2017

Chandler method

I had stir-fried anchovies and pickled cucumbers left over from my husband's lunchbox. It hasn't even been that long since I ate them with rice, but I'm already hungry again. So I grabbed a slice of bread, laid some cheese on top, added apple and avocado, and stuffed it into my mouth. A big cup of tea, too. Now full, I lay on the rug and stared at the ceiling, wondering what I should paint today. Yesterday, I finished a piece called "Trace."

"Trace," how funny. It sounds like the title of a teenage girl's diary, but still—I just wanted to name it that.

What is a trace, really? A memory that's passed, time that stayed for a while, a mark left behind. I scratched at the canvas with white paint. It would probably show better on a darker background. But maybe it doesn’t have to be clear. Traces are meant to fade anyway.

While I was planning my next piece, I suddenly remembered the gas bill, electricity, phone, credit card, insurance, and my mother-in-law’s funeral plan payments. I put down my brush. After organizing the bills, the sun had already set. It was time for my husband to come home. I quickly got to chopping. I can slice pickled cucumbers with perfect spacing so easily—so why can’t I do the same with my painting? I scold myself like the mother of the famous calligrapher Han Seok-bong scolding her son: “You can chop rice cake just fine, but why not your art?”

I try to comfort myself—“It’s because daily life always follows me like a shadow.” But honestly, how long am I going to keep making excuses?

I remembered something I read in an essay by Haruki Murakami—the “Chandler method.”

“First,” Chandler says, “choose a desk. Set it up with manuscript paper, a fountain pen, and any materials you need. Be ready to work at any time. Then, every day, spend a set amount of time—say two hours—at that desk.

If you can write during those two hours, great. But writing doesn’t always come easily. Some days you won’t write a single line. Some days you’ll want to write but can’t, and it’ll frustrate you. Other days, you just won’t feel like writing at all. Or maybe you’ll feel that, deep down, today just isn’t a day for writing.

So what should you do? Even if you don’t write a word, Chandler says: stay at the desk. Just sit there. You don’t have to do anything, but you’re not allowed to distract yourself—no reading, no magazines, no music. Just be ready to write. Eventually, the cycle will come back around. You’ll write again. No good comes from getting anxious and doing pointless things.”

Murakami said, “I kind of like that method.”

Yeah, maybe I should try the Chandler method for my own work, too.… But first, I need to make dinner.

Starting next year, for real this time. I just hope it doesn’t end in three days like all my other resolutions…

Saturday, December 16, 2017

물풀처럼

오랜 세월 아침마다 읊던 꿈 타령이 멈췄다. 지난밤 꿈이 기억나지 않기 때문이다. 꿈을 기억하지 못하다 현실도 서서히 잊어버리는 것은 아닐는지?

서울에서 고등학교 친구 7명이 미국을 방문했다. 내가 저 멀리 아담한 집을 가리키며 우리 집이라고 설명하며 함께 가자고 했다. 마음속으로는 왜 그 집 안에 들어 선적도 내부구조도 알 수 없는지?’를 궁금해하면서.

갑자기 인디언들이 말을 타고 쏜살같이 달려왔다. 그중 한 인디언이 서부영화에서처럼 총을 꺼내 쏘기 시작했다. 재빨리 헛간으로 숨어 들어가 문틈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친구들은 인디언들과 불꽃놀이를 즐기는 것이 아닌가! 결국, 나는 혼자가 되어 산길을 헤매다 꿈에서 깨어났다남편이 나의 꿈 타령을 싫어하며 들어주지 않아 20145 22일 아침에 적어 놓은 꿈 내용이다.

요즈음은 전날 밤 꿈을 떠올리려고 해도 꿈을 꾸긴 꾼 것 같은데 기억나지 않는다. ‘꿈자리가 사납다.’며 해몽을 찾아보고 남편과 아이들에게 주의 주며 신경 쓸 일이 없어졌다그뿐만 아니라 친구들과 이야기하다 친구에게 상처 준말을 기억해 내 밤새워 뒤척이며 고민할 일도 없어졌다. 물론 남들에게 들은 언짢은 소리도 잘 기억나지 않는다. 하물며 남편과 방금 토닥거리던 말다툼조차도 잊어버리고 히히대니!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

냉장고에 굴러다니는 사과를 차 안에 그리고 실내 곳곳에 놔둔다. 오래 두면 물기가 빠져 쭈글쭈글해지며 향내가 진동하다 말라 비틀어지면 버린다. 나이 든다는 것은 사과의 형체가 소멸하듯 나라는 물체에서 모든 기가 빠지고 기능을 서서히 잃어가며 신경도 느슨해져 평화로워지는 것이라면 얼마나 좋을까늙는다는 것은 사과의 붕괴 과정과는 다르다. 영원히 살 것 같았던 삶이 병과 투쟁한다. 한숨의 낮과 꺼져 드는 긴긴밤이 이어진다. 외로움에 뒤척이다 서글픈 죽음의 문턱에 다다른다.

쓴맛을 삼키고 나니 세상이 멋지고 달달한 이 나이에 애집과 섭섭함을 버리자. 정답은 정답이 아닐 수 있으니 굳이 잘하려고 애쓰지 말자. 건강할 때까지 놀랄 때 깨어나고 깨어날 때 창조하자. 썩힘과 삭힘을 구별하며 물풀처럼 나타날 듯 말듯 숨겨진 듯 살자. 자유롭게.

Friday, December 15, 2017

Like water and grass

I can’t tell the dream what I had the night before because it is hard to remember.
Maybe I forget the reality just like don’t remember the dream.

Seven high school friends from Seoul visited the United States. I pointed to a small house in the distance and explained that it is my home and asked to come with me. But in my mind, I wondered, "Why is the house unfamiliar.

Suddenly, the Indians rushed on horseback. One of the Indians started shooting like a Western movie. I quickly hid in the barn and looked through the door. But my friends are enjoying fireworks with Indians! In the end, I was alone, wandering the mountain path. It is a dream.

I can’t remember my dream these days,  I don’t have to look for the interpretation and there is nothing to pay attention to with caution to the husband and children.

Not only that, but I have no need to think about it while tossing and turning all night over my injuries to friends. Of course, I do not remember the unpleasant sound I heard from others. Even the argument I just had with my husband is forgetting and laughing. Not remembering is not all bad.

Leave apples that rolling in the refrigerator in the car and the room. If kept it for a long time, the water will drain, wrinkles and withered. How good it would be to be old if the body was losing energy, gradually losing functions, and nerves became loose and peaceful, just like the shape of an apple would disappear.

Aging is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the collapse of apples. The life that seemed to live forever struggles with the disease. A sigh of the day and a long night of disappearance follow. Loneliness is overtaken to the sill of death.

The world is wonderful after I have swallowed bitter taste. The correct answer may not be the right answer. Let's create when we wake up and when we are surprised. Let 's distinguish between rot and fermentation, and let' s live to be hidden like a water and grass. Freely.

Saturday, December 2, 2017

비빌 언덕

목감기로 비실비실한 마누라와 아이들을 위해 남편은 군소리 없이 쏜살같이 달려간다.

아침 일찍 24시간 영업하는 포트리 한식당으로 가서 설렁탕 4개를 각각 따로 포장 주문해서 사온다. 하나는 나에게 그리고 두개는 아이들에게 배달하고 남은 한 개는 본인의 점심으로 먹기 위해 부산을 떤다.

아이들이 어릴 적 설렁탕에 빈대떡을 곁들인 외식을 함께해서인지 한국 음식 중 먹고 싶은 것이 뭐냐고 물으면 늘 같은 대답이다. 가끔 아이들이 설렁탕이 먹고 싶다고 하면, 픽업하느라 귀찮을 텐데도 뉴저지로 달려간다.

아이들은 내가 만든 김밥도 무척 좋아한다. 난 일주일에 한 번은 김밥을 싼다. 따듯한 밥에 소금에 절인 오이와 당근 그리고 달걀, 아보카도에 스팸을 넣는다. 아이들에게는 4줄씩 그리고 남편과 나는 각각 2줄씩 만들어 남편이 전해주면 아이들은 그것으로 두 끼분을 때운다. 가끔 케일 된장국을 곁들이면 좋아 죽는다.

각자 살아 자주 얼굴 보는 일은 드물지만, 아이들도 나를 기쁘게 할 때가 많다. 작은 아이는 1주일에 한 번은 전화해서 안부를 묻는다
넌 거르지 않고 늘 때맞춰 전화하는구나!” 
한국말 잊어버릴까 봐 연습하려고요.” 
해외에서 번 돈을 나에게 던져주며 
엄마 다 가지고 있어요.” 
왜 내가 가져. 네가 힘들게 번 돈을.” 
아이 계좌에 오히려 더 보태서 넣어줬다.

알뜰한 작은 아이와는 달리 큰 아이는 많이 벌고 많이 쓴다
엄마 살 것 있으면 말해요. 내가 다 사줄게요.” 
나에게 꼭 필요한 것이 있으면 아마존에서 찾아 링크를 보내면 사 주니 고마울 수밖에.

젊은 혈기에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마구잡이 소비생활만은 제어하고 싶다. 그래서 아이들이 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아이들 이름으로 은행 계좌를 열어서 그간 조금씩 모아놓은 쌈짓돈을 저금해 줬다. 내 경우는 돈을 쓸 때보다 모으는 것이 더 재미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에게도 그 재미를 붙여주고 싶었다. 비상시에는 써도 되지만, 벌어서 더 모으라고 했다. 다행히도 두 녀석 다 낭비하지 않고 투자해서 불어나는 재미를 즐기는 모양이다.

나는 아버지에게 아무것도 해드리지 못하는데 아버지는 나에게 늘 주기만 하시니 고마워요” 
예전에 친정아버지에게 말하곤 하면 
내가 해 줄 수 있는 딸이 있고 능력이 있다는 것이 나를 기쁘게 한다. 너는 그저 기쁘게 받으면 된다.”
라고 했던 친정아버지와의 대화가 항상 머리에서 떠나지 않고 따라다닌다. 
어느덧 세월이 흘러 나도 아버지를 닮아가나 보다. 아이들에게 비빌 언덕이 돼 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잔잔한 기쁨이다.

Friday, December 1, 2017

The fun of saving money

For sick wife with a throat cold and sons, my husband rushes without flare to Korean restaurant.

Early in the morning, He went to the Korean restaurant in Fort Lee, NJ, which is open 24 hours and ordered four seolleongtang dishes separately. One is delivered to me and the other two are delivered to our sons, and the remaining one to eat at his lunch.

As my two sons eat out seolleongtang and Bindaetteok in Korean restaurant when they were young, it is always the same answer when asked them “what Korean food do you guys want to eat?” My husband run to New Jersey even though he would be annoyed to pick up.

They love Kimbab, which I wrap eight rolls once a week. I put cucumber, carrot, egg, spam, and avocado in warm rice. We are fed two lines each.  Sometimes it’s good to add kale been paste soup.

It is rare to see each other, but my sons often make me happy. The younger one calls once a week and asks hello. "You always call me on time!" "Because I'm trying to practice not to forget the Korean language." He gave me the money he earns from abroad, and said, "Mom, take it all." "Why you gave me a hard earned money." Rather, I added more money to his account.

Unlike the frugal little son, an older one earns a lot and spends a lot. "Mom, Tell me if you need something, I'll buy it all.” If there’s anything I really need, I'll send him a link from Amazon and he buys it.

I just I want to control the 'pouring water into a broken jar’ type of consumption in their youth. As soon as they graduated from school, I opened a bank account under their names and saved sum of my money. In my case, it is more fun to save than to spend money. I want to give the fun to the children too. You can use it in an emergency, but you keep it and earn and save more. Fortunately, both of them do not waste money and they seem to enjoy the growing fun of investing.

I used to say to my father "I am sorry for not being able to give you." My father always said, "It makes me happy to have a daughter and I am capable. You just have to be pleased.”

The years have slipped by and I think I’m taking after my father.

It is a delightful joy to be able to give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