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December 22, 2012

언니의 영주권 오디세이

언니 영주권 챙겨와.” 
언니와 형부 그리고 우리 부부는 차를 몰고 북쪽으로 올라갔다. 천 섬을 돌고 캐나다로 가서 갓 받은 따끈따끈한 언니와 형부의 영주권 효능을 확인해 보고 싶어서다.

천 섬을 구경하고 다리를 건너 캐나다로 들어가려고 접경지역에서 얼쩡거리다 경찰의 검문을 받았다. 약간의 걱정을 동반한 심정으로 영주권을 보여주니 즐거운 여행 잘하라.’며 보내주는 것이 아닌가. 이 영주권을 받으려고 그리도 애타게 기다렸던 긴 세월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갔다.

언니는 딸을 통해서 영주권을 받았다. 언니 딸, 내 조카는 나와는 반대로 여자 키 치고는 큰 편이다. 친정아버지 왈 나는 키가 작아서, 조카는 키가 커서 한국에서는 결혼하기 쉽지 않으니 떠나는 것이 낫겠다.’는 견해 또한 우리 둘이 한국을 떠난 작은 이유 중의 하나라고도 할 수 있다.

6.25전쟁을 혹독히 겪은 친정엄마는 늘 전쟁이 나면 딸들이 군인들에 의해 망가지기 십상이고 딸들도 공부를 많이 시켜야 한다며 유학을 권장했다. 친정아버지 또한 사람은 넓은 세상을 둘러봐야 인간이 된다는 신조인지라 자식들의 결점을 유학 보내는 것으로 치유하려 했다.

조카는 대학을 졸업하고 뉴욕으로 유학 왔다. 공부도 공부지만 결혼도 해야 하는데 뉴욕에서 결혼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키 크고 인물은 좋은데 애교가 없어서인지 연애 한번 해보지 못한 조카의 모습이란 방안에 떡하니 버티고 있는 보릿자루같다.

여기저기 수소문해서 남자를 소개받았지만, 반응이 없는 조카가 애를 태웠다. 부모가 미국에 없다는 것이 결혼 조건의 단점 중의 하나였기에 언니와 형부는 방문 비자로 미국에 왔다.

세 번째 소개받은 남자를 마음에 썩 내키지 않아 하는 조카를 더 만나 볼 것을 강요했다. 남자 쪽에서는 적극적으로 나왔다. 조카도 서너 번을 더 만나더니 마음을 주는 듯했다.

어릴 때 이민 온 조카사위와 다 커서 유학 온 조카는 다른 문화권에서 자랐기 때문에 맞을 리 없겠다는 불안한 요소가 없지는 않았지만, 워낙에 조카사위가 성실하고 조카 또한 나무랄 것이 없는지라 둘은 결혼해서 아들딸 낳고 잘 산다.

조카를 결혼시키느라 애쓰는 사이에 언니와 형부는 불법 체류자가 되었다. 난 조카에게 빨리 시민권을 받아 부모에게 영주권 해 줄 것을 또 강요할 수밖에 없었다. 다행히 조카사위가 서둘러 언니 부부도 영주권을 받았다.

조카를 결혼시키고 언니가 영주권을 손에 쥘 때까지의 그 오랜 세월을 되돌아보니 어찌 그리 일사천리로 일이 진행됐는지. 한끝의 오차만 있었어도 언니는 불법으로, 조카는 꿔다 놓은 보릿자루로 방구석에 우두커니들 있을 생각을 하면 아찔하다

Friday, December 21, 2012

Sister's green card Odyssey

"Sister, don’t forget your green card."
My sister, her husband, my husband, and I drove north. We wanted to visit the Thousand Islands and cross into Canada to test out my sister and brother-in-law’s brand-new green cards. 
After touring the Thousand Islands, we approached the border to Canada. While we were lingering around the checkpoint, we were stopped by border officers. A bit nervous, we showed them the green cards. To our relief, they just smiled and said, “Enjoy your trip.” At that moment, all the years of waiting and struggling to get the green card flashed through our minds.

My sister got her green card through her daughter, my niece. Unlike me, my niece is tall for a woman. Our father once said, “I’m short, and your niece is tall, so it might be hard for you and her to get married in Korea. It’s better for her to go abroad.” That was one of the small reasons both of us left Korea.

My mother had suffered a lot during the Korean War. She always warned that when war breaks out, daughters are especially vulnerable. She believed daughters should be well-educated and encouraged studying abroad. My father, too, believed that a person should see the world to truly grow up. So, they tried to fix their children’s weaknesses by sending them overseas.

My niece went to college in Korea and then came to New York for further studies. Studying was important, but she also needed to get married — which wasn’t easy in New York. She was tall and good-looking, but perhaps because she lacked charm, she hadn’t dated anyone. She was like “a sack of barley just sitting in a room,” as the Korean saying goes.

I asked around and tried to set her up with someone. But even when introduced to men, she showed no interest. It was frustrating. One big reason was that her parents didn’t live in the U.S., which made things harder for her in the dating world. So, my sister and brother-in-law came to the U.S. on tourist visas.

The third man she met wasn’t really her type, but we pushed her to keep seeing him. On the man’s side, he was very eager. After a few more dates, it seemed like she started to warm up to him. There were concerns. My niece had grown up in Korea, and her fiancé had moved to the U.S. when he was a child, so they had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But he was hardworking, and she had no real flaws, so they got married and now live happily with a son and daughter.

While helping my niece get married, my sister and her husband became undocumented. I had to push my niece to get her U.S. citizenship quickly so she could sponsor her parents for green cards. Thankfully, her husband acted fast, and they finally got their green cards.

When I look back, it all feels like it happened so smoothly — but in reality, it was a long, difficult journey. If even one thing had gone wrong, my sister might have remained undocumented, and my niece could’ve still been sitting alone in her room like a barley sack. Just thinking about it gives me chills.

Saturday, December 1, 2012

그리운 사람

검은 가죽옷에 래그워머을 신은 키에 꾸부정히 걸어가는 사람을 봤다. ‘아 선배님이 지나가네. 차 세워요.’ 하려다 아차 싶었다.

우리는 그 선배님을 정 박사라고 불렀다. 박사학위는 없지만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많은 사람을 만나다 보니 아는 것이 많아서다. 본인 말로는 주간지를 열심히 읽은 덕분이라며 정 박사라고 불러 주는 것을 매우 좋아했다.

, 놀러 와.” 
어제 놀았는데 또 놀아요?” 
주중에 노는 거 하고 주말에 노는 게 같냐?” 
매일 노는 사람도 주말은 더 재미있게 놀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았다.

3년간 살다 헤어진 부인과 이혼하러 갔던 이야기를 수십 번도 더 들었
이혼하려고 기다리는데, 앞에 서서 기다리던 부부가 싸우는 거야. , 이혼하러 와서까지도 싸우는 사람이 있더라.” 
남의 이혼 이야기엔 신이 나서 목소리가 커졌다.
이혼선서를 하고 나와 마지막으로 정말 다정히 헤어지려고 했는데 이게 싹 돌아서더니 오는 택시를 잡아타고 쏜살같이 가버리리는 거야. 아직도 달려가는 택시 뒷모습이 눈에 선해.” 
자신의 이혼 이야기엔 목소리가 작아졌다.

그는 시청에서 우리 결혼식 증인 중의 한 명이었다. 온종일 짧은 주례 겸 선서식을 앵무새처럼 주관하는 퇴역 대령은 우리 일행이 영어를 못하는 줄 알고 그나마 대충하던 것을 더욱 짧게 끝냈다. 그 바람에 사진 찍을 틈이 없었다고 다시 하라며 그가 떼를 쓰기도 했었는데.

야 이혼 한 사람이 주례를 서면 이혼한다는데 괜찮겠지?” 
걱정 섞인 신 나는 표정으로 내 동생 결혼식 주례를 섰다. 결국, 내 동생은 결혼생활이 순탄치 못했다.

힘들고 어려운 시절 갈 곳이 없던 우리는, 주말이나 연휴 그리고 명절엔 정 선배를 찾아가곤 했다. 
인제 그만하고 일어납시다.” 
선배님 건강을 생각해서 술 마시다 한마디 하면 버럭 화를 내며 
놀 줄도 모르는 놈, 내가 너희보다 더 오래 살 거야. 가. 짜식아.”
오래 산다더니그는 췌장암으로 요절했다. 오늘 같은 명절엔 피 붓 치인 양 항상 함께했던 그에게서 
야 김치 있니?” 
하는 전화가 걸려 올 것 같다
하늘나라에서도 정 선배와 이 선배( 정 선배가 돌아가시고 난 후에 가신 다른 선배 )가 만나서 술 마시고 있겠지?” 
뻔하지. 두 분이 살아계시면 함께 한잔할 텐데.” 
술맛이 예전만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