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August 26, 2022

떠나는 이, 남겨진 이


와이프가 죽으면 남자들은 화장실에 가서 웃는단다. 반대로 와이프를 보내고 우는 남자를 봤다. 얼마 전 장례식장에서다. 수척해진 모습으로 눈물 흘리는 그를 보고 내 눈에도 눈물 고였다. 

부인이 떠난 빈집에서 혼자 움직거릴 그를 상상하며 마음 아파하고 있다. 한국 사람이 사는 집이라고는 전혀 상상할 수 없는 그의 집안 풍경이 떠오른다. 넓은 리빙룸에 들어서면 검은 그랜드 피아노가 다이닝 룸을 가로지르는 통로에 있다. 부인이 오랜 세월 수집한 고가구들이 전시장에 들어선 것처럼 각각 외롭게 떨어져 있다. 함께 살던 동반자가 떠나고 가구처럼 남겨져 자리를 지킨다는 것은 무척이나 슬픈 일이다. 

어릴 적 데이트할 때, 나는 내 입으로 먼저 헤어지자는 말을 한 적이 없다. 싫어도 싫다는 말 대신에 거리를 두는 방법을 선택했다. 스스로가 알아서 떨어져 나가기를 기다리면 연락이 끊어지고 관계는 끝난다. 차라리 떠나는 사람의 뒤를 보며 남는 것이 마음 편할 것 같아서였다. 

가장 친했던 친구들이 취직했을 때 난 구직을 못 했다. 일본어 학원 새벽반에 등록했다. 한달 한달 지날 때마다 등록했던 사람들이 떠났다. 뚜렷이 갈 곳이 없던 나는 남아 있었다. 결국, 다 떠나고 두 등록생만이 남았다. 가르치던 선생님도 횅한 분위기를 견디지 못하고 수업을 중단했다. 

대학원에서 지리산 여행을 갔다. 남원에서 시작해서 구례에서 끝나는 일곱 고개를 넘어야 하는 강행군이었다. 당연히 몸이 연약한 나 때문에 강행군에 방해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심의 눈초리를 받았다. 아버지가 준비해준 건포도와 치즈를 주머니에 넣고 먹으면서 동료들의 뒤를 살살 따라갔다. 중도에 동료들이 하나둘 뒤처지기 시작하다가 하산도 했다. 일곱 고개에 다다랐을 때 나는 앞장서 있었다.  

함께 친하게 어울리던 친구 4명이 서둘러 결혼하고 나 혼자 남겨졌다. 난 선택받지 못하고 계속 남겨지는 한국 생활에 염증을 느껴 유학길에 올랐다. 유학 시절 동료들마저 학위를 받아 들고 고국으로 직장을 잡아, 떠났다. 내가 기억하는 고국은 춥고 외롭게 홀로 남겨진 내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고국에 돌아가 살고 싶지 않다.   

지금도 친구들과 만나 수다 떨다가 한 사람씩 자리를 떠도 나는 끝까지 자리를 지킨다. 남겨지는 것에 익숙해지며 즐기다가 그렇게 습관화돼버린 것이다. 장례식에서 만난 지인도 부인이 떠난 자리에서 슬퍼하지 말고 추슬러 남겨진 삶을 즐기기를 간절히 바란다.

The one who is leaving, the one who is left behind

When the wife dies, some men go to the bathroom and laugh. Conversely, I saw a man crying after his wife died. It was at a funeral recently. Tears welled up in my eyes when I saw him weeping with an emaciated face.

It is heartbreaking to imagine him wandering alone in his empty house after his wife dies. The interior of his house, which cannot be imagined as a house where Koreans live, comes to mind. Upon entering the spacious living room, a black grand piano is in the aisle leading to the dining room. The antique furniture that the wife has collected for many years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if they had entered the exhibition hall. It is very sad that the companion dies and remains like a piece of furniture.

When I was on a date as a young, I never said let's break up first. Instead of saying no even if I don't like him, I chose to keep my distance. If I keep my distance from him and wait, lose contact and the relationship ends. It was because I thought it would be comfortable to remain and looking at the back of the person who left me.

I couldn't get a job when my friends got a job. I enrolled in the early morning class of the Japanese language academy. Every month, the people who registered left by one and two. I had nowhere to go. Eventually, only two registered students were left. The teacher could not stand the empty atmosphere and stopped the class.

I went hiking to Jiri mountain from graduate school. It was a forced march that had to cross seven mountains starting in Namwon and ending in Gurye. Naturally, I received the suspicion of my colleagues that I could be an obstacle to the forced march because of my weak body. I gently followed the colleagues as I ate the raisins and cheese my father had prepared in my pockets. On the way, the colleagues started to lag one by one, and then some of them descended. When I reached the seven mountains, I was in the lead.

Four of my close friends got married in a hurry and I was left alone. I went to study abroad because I felt sick of living in Korea that was left behind without being chosen. Even my co-workers while studying abroad got their degrees, got a job in their home country, and left. The homeland I remember reminds me of me left alone in the cold and lonely. I don't want to go back to my home country.

Even now, I still keep my seat until the end even if they leave one by one after meeting and chatting with my friends. It became a habit to get used to what was left behind and enjoy it. The acquaintances I met at the funeral also earnestly hope that he will not be sad at the place of his wife's death and that he will enjoy the life that is left behind.

Saturday, August 13, 2022

메가밀리언 복권

우리 부부는 서로 생일을 챙기지 않는다. 남편 생일도 기억하지 못하지만, 내 생일이 제헌절임에도 불구하고 늘 그냥 잊고 지나간다. 기억해봤자 피곤하다는 생각이 기억 못하도록 방해하는지 아예 작정한 듯 머릿속에서 지워졌다. 

“생일 축하한다. 건강해라.” 
언니의 텍스팅을 받았다. ‘오늘이 내 생일인가? 의아해하며 고개를 갸우뚱하다가 늘 엄마가 하던 말씀이 생각났다 
“네가 얼마나 더운 날에 태어난 줄 아냐?” 

엄마는 나를 그렇게 더운 날에 힘들게 낳고도 애지중지 키워 내 생일 또한 잊지 않고 챙기셨다. 6학년, 내 생일날이었다. 여느 생일날과 마찬가지로 수박을 먹었다. 오른쪽 배가 아프기 시작했다. 점점 더 아팠다. 방을 구르며 난리 쳤다. 아버지가 나를 둘러업고 집 근처 병원으로 뛰어갔다. 맹장에 수박씨가 들어가 수술했다. 

나야 이미 맹장 수술을 했으니 괜찮은데 남편이 수박을 먹을 때마다 씨를 먹고 맹장 수술을 하면 어떡할지 걱정하며 조심하라고 잔소리한다. 미국에서 병원에 갔다가 병원비 날벼락 맞을 생각만 하면 수박을 사려다가도 멈칫하고 주저한다. 병원비 걱정이 수박을 먹고 싶은 것을 누를 정도로 나는 경제관념이 투철하고 돈에 관한 숫자 기억도 꽤 잘한다. 

안타깝게도 사람들 얼굴과 이름은 아마 돈보다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서인지 기억하지 못한다. 남편은 모임에 가기 전에 나에게 당부하곤 한다. 
“사람들이 다가와 아는 척하면 ‘누구시더라? 어디서 뵈었나요?’라고 뜬금없는 말 하지 말고 그냥 고개 숙여 인사만 해. 알았지. 돈 숫자는 일전도 틀리지 않고 기억 잘하면서 어찌 여러 번 만난 사람 얼굴과 이름을 기억 못하는지 알다가도 모르겠다니까.” 

“내가 사람 얼굴과 이름을 기억 못해 성공하지 못했잖아. 이러다가 당신 얼굴도 기억 못하는 것 아닐까? 그때는 그냥 나를 양로원에 내다 버려.” 
“그런 쓸데없는 소리 하지 마. 휠체어에 태워서라도 밀고 다닐 거야.” 
“그때 가서 확인 해 봐야 할 일이지만 말이라도 고마워. 생일 선물로 메가밀리언 한 장만 사다 줄래. 누가 알아 휠체어값이라도 당첨될 줄. 나를 버리지 않고 끌고 다닌다니 고마워서 휠체어는 내가 준비해야지. 그동안 나와 살아봐서 알겠지만, 나 무작정 신세 지는 양심 없는 사람 아니라고.” 

영화배우 브래드 피트(Brad Pitt)이 사람 얼굴을 기억 못하는 안면 실인증 환자란다. 목소리로는 누구인지 기억하는데 얼굴과 이름을 기억 못하는 나도 안면 실인증 환자는 아니겠지?

Mega Millions Lottery

My husband and I don’t celebrate each other’s birthdays. I don’t even remember his birthday, and even though mine is on Korea’s Constitution Day, we just let it pass like any other day. Maybe I’m just too tired to bother remembering. It feels like my brain intentionally deletes it from memory. Then I got a text from my older sister:

“Happy birthday. Stay healthy.”

I tilted my head, wondering, “Is it really my birthday today?”

Then I remembered what my mom used to say:

“Do you know how hot it was the day you were born?”


Even though it was such a scorching day, my mom gave birth to me and raised me with so much love. She never forgot my birthday. I remember one birthday, when I was in 6th grade. Like always, we had watermelon. But then I started having sharp pain on the right side of my stomach. It got worse and worse. I rolled around the floor in agony.

My father picked me up and ran to a nearby hospital. Turns out, a watermelon seed had gotten stuck in my appendix and I had to have surgery.


I’ve already had my appendix removed, so I’m okay now. But every time my husband eats watermelon, I nag him not to swallow the seeds. What if he ends up needing surgery too? And with the crazy cost of medical bills in America, just thinking about it makes me hesitate even to buy a watermelon. That’s how practical I am. I care a lot about money and I’m pretty good at remembering numbers related to it. Unfortunately, I’m not so good at remembering faces or names. Maybe it’s because I don’t think they’re as important as money?


Before we go to a social gathering, my husband always reminds me:

“If someone comes up and says hi, please don’t say, ‘Who are you?’ or ‘Where did we meet?’ Just smile and nod. Okay? I really don’t get how you can remember every cent to the penny but can’t recognize people you’ve met many times.”

“That’s probably why I never became successful,” I reply.

“What if one day I can’t even remember your face? Just leave me at a nursing home then.”

“Don’t say such nonsense. I’ll push you around in a wheelchair if I have to.”

“Well, I guess we’ll find out when the time comes. But thank you—even just hearing that makes me feel better. As a birthday gift, can you buy me a Mega Millions ticket? Who knows? Maybe I’ll win enough to buy that wheelchair myself. You say you won’t abandon me, so I should at least be the one to prepare the wheelchair. You’ve lived with me long enough to know I’m not the type to just be a burden without a conscience.”


I heard that the actor Brad Pitt has face blindness—he can’t recognize faces. I’m not officially diagnosed, but I wonder if I have the same thing. I can remember voices, but faces and names… not so much.

I hope I’m not face-blind like h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