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October 21, 2017

꿈 속의 자유부인

결혼이래, 가장 여유롭고 찬란한 9월이었다. 혼자였기 때문이다. 밥도 청소도 빨래도 할 필요 없을뿐더러 도시락 싸야 할 아침엔 산책하고 저녁때는 발길 닿는 데로 이리저리 쏘다녔다.

이렇게 혼자 있길 좋아하는 나는 왜 결혼했을까? 영주권 받으려고? 나이든 부모 걱정을 덜어드리려고? 내 삶을 혼자 짊어지고 가기 버거워서? 더는 짝을 찾아 방황하기 싫어서?

결혼 하지않았어도 현실에 적응 잘하는 나는 어디선가 그럭저럭 잘살고 있을 게다. 아버지는 결혼하지 않아도 좋고 오히려 무자식이 상팔자라며 노처녀 딸을 달래려는지 아니면 진심에서 그러는지 마음대로 훨훨 날면서 살라고 했다. 내 인생은 내가 짊어지고 가야 한다는 책임감은 오히려 가난한 화가와 결혼하고 아이 낳은 후 더욱 무거워졌다. 그러면 더는 짝을 찾아 방황하기 싫어서 결혼했다고 하는 것이 맞겠다.

꿈속에서 나는 항상 결혼을 하긴 했던 것 같은데 왜 혼자일까?’를 곰곰이 생각하는 싱글로 허전하긴 하지만, 자유로운 미혼으로 등장한다. 현실에선 지랄 같은 남편 비위 맞추다 지친 기혼이지만.

침묵으로 일관하는 하루하루를 일어나고 싶을 때 일어나고 자고 싶을 때 잤다. 장도 보지 않고 냉장고를 탈탈 털어 비우며 아무것이나 배가 고프면 먹었다. 내가 하고 싶은 나만을 위한 일만 했다. 남편 눈치 볼 필요도 없고 함께 뭘 하자고 건의하다 퇴짜 맞을 일도 없다. 어두운 숲속을 지나다 갑자기 쏟아지는 햇볕 아래 웃음 지며 좋다. 좋아!’를 혼자 주절대는 관객 없는 무대에 선 판토마임 주인공 같다.

아이 둘 제 밥벌이 잘하고 남편도 작업에 전념하며 마지막 피치를 올리고 있다. 나도 그러고 싶은데 밥때가 되면 밥해야 하고 남편이 지나간 자리를 치워야 하니 작업 하다가는 돌아오고를 반복하는 삶에 지쳤다고나 할까?

아무튼, 결론은 자유부인의 삶을 위해 낸 아이디어가 작품에 전념하고 싶은 남편과 통했으니. 하하하~ 세 끼 도시락을 싸주면 1, 다섯 끼 도시락을 준비하면 2, 일곱 끼 도시락을 들고 스튜디오에 가면 3박 후에 집에 오는 남편, ‘이 여사, 이제 식량이 다 동났는디 집에 가도 될까?’ 부드럽고 상냥한 목소리로 전화한다.

어쩌 끄나. 배때기 고파서 글제. 구월 중순 아직 쨍한 더운 날에 고생했제. 긍께 마누라 있을 적에 잘하는 것을 어째서 몰랐으까 이. 서방님, 기왕이면 언능 집에 오시오. 눈치 볼 것 없이.

Friday, October 20, 2017

Wife's life of a free

It was the most peaceful and radiant September since I got married.
Because I was alone. No cooking, no cleaning, no laundry. In the mornings, instead of packing a lunchbox, I took a walk. In the evenings, I wandered wherever my feet took me.

Why did someone like me—who loves being alone—get married in the first place? Was it to get a green card? To ease my aging parents’ worries? Because carrying life alone felt too heavy? Because I was tired of looking for a partner?

Even if I hadn’t married, I think I’d be doing just fine somewhere, adjusting to life as usual. My father used to tell me I didn’t have to get married. He even said that having no children might be the best life, and told me to live freely like a bird. But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o carry my own life became heavier after I married a struggling artist and had children. So maybe the real reason I married was simply because I didn’t want to search for man anymore.

In my dreams, I often appear as a single woman—lonely but free wondering, “Did I get married once? Why am I alone?”
But in real life, I’m a tired married woman, always trying to keep my difficult husband happy.

During these quiet days, I woke up and slept whenever I wanted.
I didn’t go grocery shopping. I just emptied out the fridge and ate whatever was there. I only did things for me. I didn’t have to read my husband’s mood. I didn’t have to suggest doing something together and get rejected. It felt like I was standing alone on a stage, performing pantomime in a sunbeam breaking through a dark forest, whispering to myself, “So nice. I love this.”

The kids are grown and earning their own living. My husband is fully focused on his final creative push. I want to do the same—but when it’s mealtime, I have to cook. When he leaves a mess, I have to clean it up.
I start working, then stop and return. Over and over. I’m tired of it.

Still, in the end, this idea—living like a “free woman” for a while—turned out to be perfect for both of us. I get my space, and he gets to focus on his work.

Ha ha ha—
If I pack him 3 meals, he stays at the studio 1 night. If I pack 5, he stays 2 nights. If I prepare 7 meals, he comes home after 3 days. Then he calls in his soft, gentle voice,
“Mrs. Lee, I’m out of food. Can I come home now?”
"Are you hungry? You suffered from a hot day in mid - September. So when I’m alive do it well. If you wish, come home soon."

Saturday, October 7, 2017

우리는 누구인가?

"아이들 등에 무언가 붙어있어!" 
한국을 처음 방문한 외국인들의 눈에 비친 아이가 아이를 등에 업고 있는 묘한 모습에 대한 놀람이다.  옛날 흑백 사진을 보면 우리에게 그런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하는 모습이다.

아이를 많이 낳던 예전엔 엄마가 들일이나 집안 살림할 때 너 나 할 것 없이 언니가 동생들을 업어 키웠다. 업고 밖에 나와 공기놀이도 하고 줄넘기하다 동생이 포대기에서 빠져나갔는지도 모르고 놀던 시절 말이다.

친구가 허구한 날 동생 다섯을 등에 업어 키웠단다. 별 투덜거림도 없이 동생들을 잘 보살피는 모습을 눈여겨본 친척들이 착하다고 몇 푼 쥐여주며 자기 아이들도 맡겼을 뿐만 아니라 이웃 아이까지 업어줬다니! 업힌 아이가 오줌을 싸서 등줄기가 뜨뜻해지고 축축해질 때까지도 업고 있다 등에 업힌 아이와 함께 훌쩍거린 적도 있단다.

지금도 그녀는 주위의 모든 이들을 어릴 적 동생과 친척 그리고 이웃 아이들을 돌보듯 한다.  모임이 있을 적마다 밥값을 아예 손에 쥐고 아무도 못 내게 해서 본의 아니게 몇 번 얻어먹었다얻어먹었으니 이번에는 내가 사겠다며 만나자고 했다. 식당 입구에서부터 자기가 사지 않을 거면 들어가지 않겠다는 것이 아닌가.  배가 고프다며 간신히 달래서 식당에 들어갔지만,  현찰을 손에 쥐고 자기에겐 더치페이조차도 없단다.

아이들을 업어서 잘 돌보니 친척들에게 용돈을 틈틈이 받아 주머니가 항상 두둑해서 한국에서부터 밥값은 자기가 냈고 그래야 마음이 편하단다.  그러면 밥을 얻어먹은 불편한 내 마음은 헤아리지 않냐?고 반문했다. 부모가 돌아가셨을 때 밥을 사며 위로해주면 위안을 받지 않겠냐며 언젠가는 기회가 있을 거란다.

내가 아는 그녀의 부모는 이미 예전에 돌아가셨는데 이건 또 무슨 소린가마음씨 고운 그녀와 가까이 지내고 싶지만,  내가 먹은 것은 내가 부담하는 것이 속 편한 내 성질에 과연 관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우리가 누구인가?에 대해 한 현자가 이렇게 말한 구절이 그녀를 보며 떠올랐다.

우리가 태어나기 전에 있었던 모든 일과
우리 눈앞에서 일어난 일들과
우리가 겪은 일들을 다 합친 것이오
우리에게 영향을 끼쳤던 모든 것들이며
우리가 영향을 끼친 모든 존재요
우리가 사라진 후에도 일어날 모든 일이며
우리가 없었으면 일어나지 않았을 모든 일이오

Friday, October 6, 2017

Who are we?

It is a surprise to see a child in the eyes of foreigners who first visited Korea carrying a child on their back. Looking at the black and white photos of the past reminds us of that time.

In the past, when a mother gave birth to a lot of children, the older sister raised the younger siblings on her back. When kids played, they did not even notice that their siblings were out of the swaddling.

One of my friends raised her younger five siblings on her back. Her relatives used give her pocket money that carried not only her relative’s children but also her neighbors on her back without being grumbled. She was carrying the children on her back until her back wet because the child bought their piss.

Even today, she takes care of all everyone around her like she was a child, talking care of her siblingsEvery time I meet her with friends, she always pays for meals, even if we try to pay.

I said, “ I’ll pay it this time.” from the entrance of the restaurant, she wouldn’t go in if she didn’t pay it. I managed to calm her down into the restaurant, but she doesn’t even have Dutch pay.

Since she had been took care of the children well, she always get pocket money from her relatives, so her pocket was always full. She was comfortable in paying for the meals whenever she met friends. “Why don’t count my uncomfortable feelings about being fed?” I asked her and she said, '”When my parents die, you will have a chance to buy meal and comfort me.” Her parents, whom I know, have died a long time ago.

I want to stay close to her, but will I be able to maintain my relationship with her when I am comfortable paying for what I have eaten?

The wise man phrase about ‘Who are we?’ came to mind, whenever I though of her.

'Everything that happened before we were born.
Things that happened before our eyes.
It's all about what we've been through.
It’s everything that has affected us.
All the things that we've influenced.
Everything that will happen even after we disappear.

Everything would not have happen withou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