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August 28, 2008

공여사의 점쾌


종로 거리를 지나다 보면 길거리에 간이 천막을 치고 점치는 사람들이 많다. 예전과는 달리 컴퓨터 앞에서 점을 치는 모습을 있다. 손님들이 끊임없이 들락거린다. 살기 좋은 요즈음 세상에도 답답한 사람들은 많은가 보다.

오래전부터 알고 지내는 공혜련이라는 점치는 여자가 있다. 한때는 이름에서도 풍기듯 중국 영화에 나오는 날렵한 주인공 모습이었다. 사십 후반으로 접어들자 통통하고 점잖은 모습이 그녀의 직업과 어울린다.

공 여사는 아들 하나에 일곱인 전라남도 시골의 어려운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초등학교 졸업 후 서울에 올라와 바느질 공장을 전전하며 자리를 잡느라 고생을 많이 했다.

남산 가는 길에 신문 배달하는 그녀를 처음 봤다. 이른 아침인데도 어찌나 화장을 곱게 했는지 잠에서 방금 깨어난 부스스한 모습이 부끄러워 슬쩍 지나치려는 순간 그녀가 먼저 밝은 얼굴로 인사.

신문 배달이 끝나면 요구르트 배달을, 가정집의 도우미로 쉬지 않고 했다. 이렇게 모은 돈으로 바느질 공장에서 만난 그녀의 남편과 공장을 운영하다 망했다. 남편은  독촉에 시달리다 아들 둘을 남겨 놓고 어디론가 잠적했다. 그녀는 아들 둘을 키우며 반신불수가 친정엄마까지 모셨다. 틈틈이 검정고시 학원에 다니며 중학교 자격증 그리고 고등학교 자격증을 받아 드디어는 동국 대학교 부설 명리 학과에 입학했다.

한문도 배워서 어릴 적부터 소소히 이 사람 저 사람 봐주던 일이 지금은 혜련사랑이라는 점집을 번듯하게 차렸다. 소문에 소문을 듣고 사람들이  온. 그녀를 찾는 전화벨이 끊임없이 울린다. 한번 손님으로 인연을 맺으 소소한 질문은 무료로 일종의 에프터서비스로 늘 바쁘다. 

그녀는 말이 없고 수줍은 사람이었다. 그러나 직업이 직업이니만치 지금은 아는 것도 많고 자신감에 넘쳐 말도 잘한다. 서울에 나갈 때마다 변하는 그녀의 모습을 보면서 '노력의 대가란 이런 거구나.' 하며 감탄이 저절로 나온다. 어느 부터인가 주위 사람들은 그녀를 공 여사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공 여사가 손금을 들여다본다. 그녀의 엄지손가락은 어릴 때 바느질 공장에서 일하다 잘려 나가서 없고, 검지 잘려 나간 손가락을 잘못 붙여 이상한 모습을 하고 있다. 공 여사가 말하는 나의 점괘는 귀에 들어오지 않고 잘려 나간 손가락에 시선이 간다. 
공 여사 자신의 점괘가 몹시 궁금해? 
내가 물었다. 공 여사 자신의 점괘가 좋아 행복한 삶을 살기를 바라며 한마디 하니 
복채를 두둑이 내면 봐줄게." 
나의 점괘에는 관심이 없는 내가 얄밉다는 표정이다
나는 그녀가 진심으로 살기를 바란다. 그녀는 누구보다 더 행복하게 자격이 있기 때문이다.

Wednesday, August 27, 2008

The divination of madam Gong

If you walk down Jongno Street, you’ll often see people who set up small tents on the sidewalk and tell fortunes. Unlike in the past, now you can even see people doing fortune-telling in front of a computer. Customers come and go constantly. Even in today’s world, where life seems comfortable, it seems there are still many people feeling frustrated.

There’s a fortune-teller named Gong Hye-ryeon, whom I’ve known for a long time. She used to look like the quick, sharp heroine from Chinese movies, as her name suggested. Now, in her late forties, she’s become a little chubbier and more dignified, which suits her profession well.

Ms. Gong was born into a poor family in a rural area of Jeollanam-do, with one son and seven daughters. She lost her father at a young age, and after finishing elementary school, she moved to Seoul, where she struggled to find a stable job, moving from one sewing factory to another.

I first saw her delivering newspapers on the way to Namsan. It was early in the morning, yet she had done her makeup so beautifully that I, still looking messy from just waking up, felt embarrassed and tried to pass by unnoticed. But she greeted me first with a bright smile.

After finishing her newspaper deliveries, she moved on to delivering yogurt and worked as a domestic helper without rest. She used the money she saved to open a sewing factory with her husband, whom she met at the factory, but eventually, the business failed. Her husband, burdened by debt, disappeared, leaving behind two sons. She raised her sons while also taking care of her paralyzed mother. In her spare time, she attended night school to get her middle and high school diplomas, and eventually, sh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Destiny Studies at Dongguk University.

She also learned Chinese characters and gradually became known for doing small readings for people. Eventually, she opened her own fortune-telling business called "Hye-ryeon’s Love." The word spread, and people came. The phone never stops ringing with requests. Once someone becomes a customer, even small follow-up questions are answered for free, like a sort of aftercare service.

She was a quiet and shy person, but due to the nature of her job, she has learned a lot and now speaks confidently. Every time I see her in Seoul, I’m amazed at how much she’s changed. It’s clear that her efforts have paid off. At some point, people began to refer to her as "Ms. Gong."

One day, she reads my palm. Her thumb was lost when she was working in the sewing factory as a child, and her middle finger was poorly reattached after being cut off, leaving it with a strange appearance. As she tells me my fortune, I can’t help but keep staring at her odd fingers.

“Are you curious about your own fortune, Ms. Gong?” I ask her.
“I’ll tell you if you give me a generous tip,” she replies, smiling.
She gave me a look that said I was being annoying, since I wasn’t interested in my fortune.

I genuinely hope she lives a happy life. She deserves it more than anyone else.

Thursday, August 21, 2008

까칠한 금자씨



얼마 전 친구를 만나 저녁을 먹었다. 그가 잘 아는 사람이 그를 만나고 싶어 한다. 는 말을 내가 하자 
! 까칠한 금자씨” 
 만나기를 꺼리는 눈치다'친절한 금자씨'라는 영화 제목에서 따온 말이다. 며칠이 지났는데도 머릿속에서 까칠한 금자씨라는 말이 떠나지를 않고 뱅뱅 돈다.  나 들으라고 한 말처럼. 

요즈음 주위엔 까칠한 금자씨들이 많다. 50 초반의 폐경기에 들어선 여자들이다. 우선 내가 까칠한 금자씨의 대표적인 인물이다30세까지는 공부한다고 석사니, 박사니 하며 난리를 쳤다. 시원한 돈벌이 하고는 거리가 공부를 하느라 결혼 못 한 친구들도 있고, 뒤늦게 결혼한 친구들도 있다. 나이 들어 낳은 아이들을 손주 키우듯 키우느라 요란들을 떨었다아이들을 대학 기숙사에 보내고 나니 그동안 본격적으로 하지 못한 커리어들을 살리느라 다시 난리들이다. 난리 통에 폐경기까지 겹쳤으니.

배운 공부를 살려 잘나가는 친구도 있고, 잘나가는 친구의 뒤를 보면서 부지런히 쫓아가는 이 있다. 아예 포기하고 다른 길로 친구도 있다. 50 초반이 되니 자리를 잡은 친구는 안정된 생활을 하고, 그렇지 못한 이 아직도 힘들다앞서가는 친구는 자신의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쉬지 않고 뛰어야 하는 스트레스에 까칠해지고, 뒤쫓아가는 친구는 앞서가는 친구를 따라가지 못해 까칠하다. 아예 포기한 친구는 체념하고 살다가도 불현듯 생각나는지 해보고 싶었던 일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까칠해진다.

없는 마라톤 경기를 계속하고 있는 느낌이다. 올림픽 경기에서의 마라톤은 정해 놓은 거리를 뛰고 나면 끝난다. 그러나 우리가 가고 있는 인생의 마라톤은 정해진 길이가 없다. 죽을 때까지 뛰어서 죽음의 길로 가는 마라톤을 우리는 스트레스를 받으며 열심히 뛰고 있다.

가끔 만나면 그나마 까칠한 면이 덜하다. 그러나 자주 만나다 보면 까칠함이 밑에서부터 올라온다. 그래서 친정아버지가 일러 주신 불가근불가원 '가까이도 멀리도 하지 말라'는 도연명의 말이다. 너무 가까우면 까칠해져 친구에게 상처를 주고, 너무 멀리하면 친구를 섭섭하게 해서 상처를 준다. 이래도 저래도 상처를 주, 받느니 아예 만나지 않고 사는 친구들도 있다.

스님이 깨달음이 없을 때는 산속 깊이 들어갔다가 깨달음을 얻고 나면 산에서 내려온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깨달음이 없는 까칠한 50세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조용히 살다가 60세가 되면 까칠한 금자씨들이 친절한 금자씨로 돌아오려나!

Wednesday, August 20, 2008

Grumpy Geum-ja si

I recently met an old friend and had dinner with him. When I told him that someone he knows wants to meet him.
"Ah! The grumpy Geum-ja."
He seemed to be reluctant to meet her. The term "grumpy Geum-ja" comes from the movie title Sympathy for Lady Vengeance. Even though several days have passed, the phrase "grumpy Geum-ja" keeps spinning around in my head, like it was meant for me to hear.

Lately, there are many "grumpy Geum-ja"s around me. They’re women in their early 50s who have entered menopause. First of all, I am the representative of these grumpy Geum-ja’s. Until I was 30, I was busy studying, working towards my master’s, and it caused quite a stir. Some friends couldn’t marry because they were focused on their studies, while others married later in life. After having children later, they raised them like grandparents would raise their grandchildren. Once their kids were sent off to college, they started focusing on careers they couldn’t pursue earlier. And all of this happened alongside menopause.

Some friends have used their education and become successful, while others are trying to catch up with the ones who are doing well. A few gave up and chose different paths. Now, in their early 50s, those who have settled into a stable life are doing well, while others are still struggling. Those ahead of the game are stressed because they have to keep running to maintain their position, while those behind are frustrated that they can’t catch up. Some friends who have given up on their dreams are still bitter, unable to let go of the things they wanted to do.

It feels like an endless marathon. In the Olympic marathon, you finish once you reach a set distance. But in the marathon of life, there’s no set length. We’re running this marathon of life, with no finish line, until death, all while dealing with stress.

When we meet occasionally, my friends are less grumpy. But if we see each other too often, the grumpiness starts to surface. So, I always remember what my father used to tell me: “Do not be too close, and do not be too far away,” quoting Tao Yuanming. If you’re too close, you become grumpy and hurt your friend. If you’re too far, your friend feels hurt and disappointed. Either way, we end up hurting each other, so some friends choose to just stay away and live without seeing each other.

I once heard that when a monk hasn’t reached enlightenment, he retreats into the mountains. But once he attains enlightenment, he comes down from the mountain. Maybe when these grumpy 50-year-old women gain some enlightenment, they will turn back into the kind and caring Geum-ja by the time they are 60!

Thursday, August 14, 2008

아버지의 여자 친구


“내가 갈 데가 있다. 너도 만날 사람 많지?”

2년 만에 만난 친정아버지가 점심 먹고 서둘러 일어났다
아버지 어딜 가는데?” 
너는 볼일이나 . 내일 아침 남산에서 보자
아버지는 부지런히 어딘가를 갔. 90 다 된 할아버지가 바쁘기는 뭐가 그리 바쁘다고 그러는지. 서울에서 아버지와의 만남은 그렇게 끝났다.

엄마가 돌아가신 아버지는 결혼도 하지 않, 여자 친구들과 바쁘게 지낸다. 서울에 갈 때마다 아버지 여자 친구와 식사도 하고 여행 다니며 친하게 지냈다.

내가 만난 첫 번째 아줌마는 아버지와 오랜 관계를 유지했다. 
"아버지가 80까지만 이라도 건강하게 살아 줬으면 좋겠어.'" 
라는 말을 자주 했다. 78세가 되던 어느 눈 오는 날, 아버지가 남산에 올라가다 다리를 다쳤다. 아버지가 누워 있다 돌아가실 거로 생각한 아주머니는 미련없이 떠났다  

젊었을 때부터 남산 밑에 살 매일 산에 올라가 운동을 꾸준히 한 아버지는 몇 달 후에 완쾌되어 다시 산에 갈 있었. 멀쩡히 걸어 다니는 아버지를 보자 아주머니는 돌아오겠다며 여러 번 찾아왔다. 하지만 이미 아버지에게는 다른 여자 친구가 생겼다그런데 새로운 여자 친구를 소개해주지 않는다. 
아버지 비밀이 뭐가 그렇게 많아이번에는 어떤 분이기에 소개도  해주고, 그래 
알 거 없다, 네가 아줌마를 알면 내가 죽고 다음 아줌마 인생을 책임질 거야너나 살아.” 

본인이 세상을 떠나고  새엄마와 남은 자식 간의 갈등을 막기 위해서 결혼도 하시지 않는다. 자식들을 모두 미국에 보내놓고 혼자 살며 아침마다 남산에 올라 열심히 운동하신다. 외국에 사는 자식들이 선산으로 찾아오는 번거로움을 막기 위해 죽으면 화장해서 남산 가는 길에 뿌려 달란다자식을 힘들게 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미국에도 내 결혼식 때 한번 오고는 다시 오시지 않았다. 
내가 그곳에 가면 며칠은 좋겠지만 바쁜 미국 생활에 노인이 가서 자식들 힘들게 할 일이 있느냐? 네가 사는 것이 효도 하는 것이다. 손자를 만나면 반갑지만 헤어지면 반갑다' 일본 속담이 있다."
굳이 사양. 물론 자식에게 금전적으로 부담도 주지 않는다. 오히려 자식들을 도와주며 '아직도 있다는 게 본인의 즐거움.'이란다.

자식에게 의지하지 않고 혼자 살아야 한다는 생각이 아버지를 오늘날까지 건강하고 풍요롭게 살게 하지 않았을까. 멀리 계신 아버지가 외롭다 아프다고 하면 자식들은 이국에서 죄책감에 어찌 있을까?

사람이 안 하던 짓을 하면 어찌 된다는 옛말이 있는데, 지금까지는 만나는 여자마다 자랑스럽게 소개하곤 했는데 정말 이상하다. 나보다 훨씬 젊은 여자를 사귀느라 소개하 민망해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