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July 24, 2025

우는 아이가 떡을 받는다


브루클린 그린포인트에 가서 판화 작업하던 날, 작업실 문틈으로 작은 아이가 보였다. 

“아들~ 엄마 왔어. 얼굴 좀 보자.”

“엄마 나이키(프렌치 불도그 이름) 산책시켜야 해요.”

“알았다. 그럼 이따가 보자.”


얼마 지나지 않아 아이가 급하게 들어왔다.

“엄마 나이키 좀 데리고 있어요. 길에 버려진 TV를 가지러 가야 해요.”

아이는 몸통이 가늘고, 스크린이 커다란 TV를 끙끙거리며 들고 왔다. 

“엄마 나이키가 갑자기 멈추고 ‘너 이거 가져갈래?’하는 표정으로 쳐다보길래 봤더니 너무 멀쩡한 TV가 있는 거예요. 나이키는 쓸만한 물건이나 돈이 떨어져 있으면 나를 쳐다보고 ‘어때 이 물건 쓸 만하지?’ 하는 표정으로 쳐다봐요. 너무 똑똑하고 사랑스러워요.”


TV를 틀었다. 소리도 화면도 좋다. 단지 화면 밑부분이 윗부분처럼 선명하지 않았다. 아이는 너무 멀쩡한 것을 도로 내다 버리기가 아까운지 이리저리 들여다보더니 수리공을 부르겠단다.

“수리 비용으로 차라리 TV를 사겠다.”

“돈 안 들이고 고칠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아이는 TV 만든 회사에 전화했다. 

“언제 어느 매점에서 구입했냐고 묻길래 맨해튼 14가 근처 폐점한 전자제품 매장 이름을 췄더니 수리공이 와서 공짜로 말짱하게 고쳐줬어요.” 

“너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었니?”

“엄마 원하는 것이 있으면 일단 말해보고 안되면 포기해야지요. 그들이 알아서 할 일을 내가 미리 안될 거라고 단정할 필요는 없어요. 나는 내가 할 일만 하면 돼요. ”

“그래 옛말에 우는 아이가 떡을 받는다. 는 것과 같구나.”

공짜라 선가! 소리도 잘 들리고, 화면도 더 선명하게 보이는 것 같았다. 사랑스러운 강아지 나이키도 우리 식구를 닮아 공짜를 좋아하는 눈치다. 

Monday, July 21, 2025

A Crying Child Gets the Rice Cake

One day in Greenpoint, Brooklyn, I was working on a print project. Through the crack in the studio door, I saw my younger son.

“Son, Mommy’s here. Let me see your face.”

“Mom, I have to take Nike for a walk.” (Nike is the name of his French Bulldog.)

“Okay, then I’ll see you later.”


A short time later, the child came rushing back.

“Mom, can you watch Nike for a minute? I need to get a TV that someone left on the street.”

He came back carrying a big TV with a thin body and a large screen.

“Mom, Nike suddenly stopped walking and looked at me like, ‘Do you want this?’ So I looked, and there was a perfectly good TV. Whenever Nike sees something useful or money on the street, he stops and looks at me like, ‘Isn’t this a good one?’ He’s so smart and lovable.”


We turned the TV on. The sound and screen were good. Only the bottom of the screen wasn’t as clear as the top. My son kept looking at it. He didn’t want to throw away something that still worked. He said he would call a repairman.

“I’d rather buy a new one than pay for repair.”

“I have an idea to fix it for free!”


He called the TV company.

“They asked me when and where I bought it.

I gave them the name of an old electronics store near 14th Street in Manhattan—even though it’s closed now. Soon, a repairman came and fixed it perfectly for free!”

“How did you think of that?” I asked.

“If you want something, you should speak up. If it doesn’t work, then you can give up. But don’t assume they’ll say no. I just have to do my part.”

“Yes, it’s like the old saying: ‘A crying child gets the rice cake.' (Korean Proverb: If you ask, you might receive)

Maybe it worked because it was free! The sound was great, and the screen looked even clearer. Even Nike, our sweet dog, seems to like free things—just like our family.

Friday, July 11, 2025

경상도 사나이


고추 조림, 김치와 배추된장국을 떠 놓고 남편 맞은편에 앉았다. 밥상이 너무 초라한 것 같아서 남편 눈치를 살폈다. 국에 밥을 말아 먹던 그가 한마디 한다.

“배추된장국이 진국이야. 최고의 건강식이지.”  

시래깃국을 먹고 자란 남편은 매일 된장국을 먹어도 질리지 않고 좋아한다. 그의 ‘진국’이라는 말에 옛일이 생각났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서였다. 살만한 옷이 있나 보려고 종로 지하상가 옷 가게를 기웃거리고 있었다. 가게 안에 있던 여자가 

“어머, 너 수임이 아니야.”

“어머머, 미정아 웬일이니?

“나 여기서 일해.”

우리는 너무 반가워서 손을 맞잡고 깡총깡총 뛰었다. 친구가 나에게 물었다. 

“너 진국이 생각나니?”

“그 아이 잘생기고 남자다워 무척 인기 있었잖아. ” 

“너 학교 졸업하고 그 애 만난 적 있니? 진국이를 내가 엄청나게 좋아했는데. 혹시나 너는 그 애 근황을 알고 있나 해서. 나야 이미 결혼해서 끝난 일이지만.”

“어머머 언제? 누구하고?” 

“고등학교 졸업하자마자 남쪽 바닷가에 놀러 갔다가 만난 경상도 남자하고. 우리 집에 가서 저녁 먹자. 예전에 너희 집에 가서 밥통에 있는 밥 다 먹고 삼립 빵을 또 먹어도 네 엄마가 한창 클 때라며 더 먹으라고 했던 일이 생각난다.”


미정이는 내 초등학교 착한 단짝이었다. 나는 그녀와 헤어지기 싫어 따라갔다. 어찌어찌해서 그녀가 사는 곳에 갔는지 지금은 생각나지 않는다. 다만 그녀가 산다는 집 구조를 한국 드라마에서 서너 번 본 적 있다. 옥탑방으로 문을 열자마자 부엌이 있고 방 한 칸이 훤하게 보이는 구조였다. 우리가 집 문을 열고 들어서자, 그녀의 남편이 어두운 방 안에 앉아 있었다. 

“친구를 우연히 만나서 함께 왔어요.”

“안녕하세요.”

나는 상냥하게 인사했다. 그는 슬쩍 쳐다보더니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무서운 아저씨 인상이다.

“수임아, 방에 들어가 있어.” 

방안을 들여다보니 들어가 앉을 곳도 마땅치 않고 친구 남편이 몹시 화가 난듯해 무서웠다. 

“나 그냥 여기 있을게.”

친구도 남편 눈치가 보이는지 부엌에서 저녁밥을 짓고 반찬을 만드느라 부지런히 움직였다. 나는 문가에 서 있었다. 친구가 저녁상을 차려 들고 남편 앞에 가져다 놓으려는 순간, 남자가 벌떡 일어나 밥상을 걷어차며 소리 질렀다.

“배고파 죽겠는데 어디를 쏘다니다 온 거야.”

에구머니나! 난 너무 놀라서 냅다 버스정류장으로 달렸다. 그 친구와의 인연은 그것으로 끝났다. 경상도 바닷가에서 태어나 자란 사나이 하면 밥상을 걷어차는 남자로 기억한다.

A Man from Gyeongsangdo

I sat across from my husband and put braised peppers, kimchi, and cabbage soybean paste soup on the table. The food looked a little too plain, so I looked at my husband to see his reaction. As he mixed rice into the soup and ate, he said,
“This cabbage soup is really Jinkook(rich broth). It’s the healthiest food.”

My husband grew up eating radish leaf soup, so he never gets tired of soybean paste soup. When he said it was “rich broth,” it reminded me of something from the past. It happened not long after I graduated from high school. I was walking around the underground shopping mall in Jongno, looking at clothes. A woman inside a store called out to me.
“Oh! Aren’t you sooim?”
“Oh wow! Mijeong! What are you doing here?”
“I work here now.”

We were so happy to see each other. We held hands and jumped up and down. Then she asked me,
“Do you remember Jinkook?”
“He was so good-looking and manly. Very popular.”
“Have you seen him since graduation? I really liked him a lot. I was just wondering if you knew anything about him. I’m married now, so it’s in the past.”
“Oh my, really? Who did you marry?”
“Right after high school, I went on a trip to the southern coast and met a man from Gyeongsangdo. Come over to my house for dinner. I still remember when I went to your house, ate all the rice in the cooker, and then ate Samlip bread. Your mom told me to eat more because I was growing.”

Mijeong was my kind best friend in elementary school. I didn’t want to leave her, so I followed her home. I don't remember now how I ended up where she lived. But I remember what it looked like. I’ve seen homes like it in Korean dramas. It was a rooftop room. When you open the door, you see the kitchen right away and one room.

When we went in, her husband was sitting in the dark room.
“I met a friend by chance, so I brought her,” she said.
“Hello,” I said politely.
He looked at me for a second but didn’t say anything. He looked scary.
“sooim, go wait in the room,” she said.

I looked inside the room, but there wasn’t even a place to sit. Her husband seemed really angry, and I got scared.
“I’ll just stay here,” I said.
My friend looked nervous. She quickly started making dinner in the kitchen. I stood near the door. Just as she was about to serve dinner to her husband, he suddenly stood up, kicked the table, and yelled,
“I’m starving! Where have you been?”

Oh no! I was so shocked that I ran straight to the bus stop. That was the last time I saw her. Since then, when I think of a man from Gyeongsangdo, I remember as the man who kicked the dinner table.

Friday, June 27, 2025

통행금지


결혼 전엔 친정아버지가 결혼 후엔 남편이 나의 외출 통행 시간을 정해놓고 시간을 관리했다.

아버지에게는 용돈을 받으려고 지켰지만, 남편의 통행금지 시간은 억울하다. 아이들 잘못될까 봐 모범을 보이며 항상 아이 곁에 있느라고 금지 시간 자체를 의식하지 못하고 살았다. 아이들이 다 커서 집 떠났는데도 나의 금지 시간은 이어졌다. 나는 가정의 평화를 위해서 참았다.


“우리 젊은 아이들이 많이 가는 곳으로 가자.” 

“아버지, 우리가 그런 곳에 가면 아이들이 불편해해요. 그냥 적당한 데 가요.”

“나이 들수록 젊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에 틈틈이 기웃거려야 해. 그래야 젊은 기를 받아.”

다행히도 나는 나이가 들었는데도 젊은 화가 친구들과 어울리며 밤늦게 논다. 친구들을 만나면 나는 간다고 절대 먼저 일어나지 않고 끝까지 자리를 지킨다. 또 다른 만남이 있을 거라는 기대도 하지만, 그날의 만남은 과거가 되고 다시 오지 않는다. 그날 하루 그 만남에 올인하다 늦을 때가 종종 있다.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반기지 않는 남편은 친정아버지보다 더 꼰대다. 남편은 저녁밥 먹고 나면 졸다가 8~9시경에는 잔다. 자다가도 내 통행 시간은 어찌 그리 잘 아는지 전화해서 소리 지른다.

“어디야? 지금 몇 신데 아직 놀고 있어.”


아이들과 남편에게 최선을 다했다고 자부하는 나는 남편에게 통행금지 해제를 요청했다. 

“나는 어릴 때 아프면 엄마가 자매 많은 집에 가서 놀다 오라고 했어. 그러면 앓던 병도 사라지고 밥도 잘 먹었거든. 난 놀아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고. 내가 집에 처박혀 아프다고 징징거리다가 우울증이라도 생기면 좋겠어. 내 친구 남편은 12시까지 집에 돌아오면 된다고 했데. 나도 통행금지 시간을 연장해 주든지 아니면 해제해 주든지. 난 자유인이라고.”

“어 그래. 그러면 자정까지 연장해 줄게.”

“알았으니까. 조금 늦는다고 전화질하지 말고, 그냥 푹 주무세요.”

결혼 40년 만에 나의 통행금지 시간이 밤 10시에서 12시로 두 시간 연장됐다.

Curfew

Before I got married, my father set my curfew. After marriage, my husband decided when I should come home. I followed my father’s rules because I wanted allowance money, but my husband’s curfew felt unfair. I didn’t even realize I was following the rules since I was always by the children’s side, trying to set a good example and make sure they turned out well. Even after the kids grew up and left home, my curfew continued. I kept quiet for the sake of peace in the house.


“Let’s go somewhere young people like to hang out,” 

My father said,

“Dad, if we go to places like that, the young people will feel uncomfortable. Let’s just go somewhere more suitable.”

“As you get older, you should hang out in places where young people gather. That’s how you absorb their energy.”

Fortunately, even though I’m older now, I still hang out late at night with my younger artist friends. When I’m with them, I never get up first to leave. I stay until the very end. Each gathering becomes a thing of the past, never to return. I give it my all to that night, and sometimes I stay out too late.


My husband, who doesn’t like socializing, is more old-fashioned than my father. After dinner, he usually dozes off and goes to bed around 8 or 9 p.m. Even in his sleep, he somehow always knows when I’m out late and calls me angrily.

“Where are you? Do you even know what time it is?”


I’ve always believed I did my best for both my husband and my children. So one day, I asked my husband to lift the curfew.

“When I was little, whenever I was sick, my mom used to send me to my friends’ house to play. After that, I’d feel better and eat well. I stay healthy by going out and having fun. Would you rather I stay cooped up at home, whining that I’m sick and end up with depression? My friend’s husband lets her stay out until midnight. Can’t you either extend my curfew or just get rid of it? I’m a free woman.”

“Okay. Then I’ll extend your curfew to midnight.”

 “Great. So don’t call me if I’m a little late. Just get a good night’s sleep.”

After 40 years of marriage, my curfew was finally extended from 10 p.m. to midnight.

Thursday, June 12, 2025

우리 춤 출까요


오랜 세월 크루즈를 타면서 단 한 번도 밴드가 연주하는 밤에 춤추러 가지 않았다. 남편이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꺼려 하고 춤추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배에서 내릴 때마다 내가 그리도 좋아하는 춤을 추지 못한 것을 후회하다가 한이 되었다.

“이번에는 꽤 오래 배 안에 있어야 하니까 밤무대에서 춤을 꼭 춰야겠어. 나 춤추러 가는 것 말리지 말고 케빈에서 자고 있어.”

“알았어. 마누라 하고 싶은 대로 해.”

남편도 나의 춤 사랑에 지쳤는지 흔쾌히 허락해 줬다. 나흘째 되는 날 큰맘 먹고 추러 갔다. 모두가 부부들이 왔다. 나만 혼자다. 연주가 시작된 지 15분쯤 후, 한 여자가 그녀보다 마른 남편을 끌어내어 추기 시작했다. 배 둘레가 키보다 더 굵었지만, 통통한 몸매로 잘도 흔들었다. 흥이 많은 와이프를 위해 마지못해 끌려나가 쑥스럽다는 듯 흔들며 그만 추었으면 하는 표정이다. 여자는 흥에 겨워 벌어진 입으로 남편에게 뭐라고 지껄이며 잘도 흔들었다. 갑자기 춤추는 여자만큼이나 통통한 여자가 내 옆자리에 앉아도 되냐고 물었다. 나를 자꾸 쳐다보며 웃었다. 쳐다보는 눈초리가 예사 눈빛이 아니다. ‘혹시 레즈비언은 아니겠지?’ 비슷한 경험이 한번 있었기 때문이다. 


리버사이드 파크를 산책 하던 날 작은 규모의 밴드가 연주하는 것을 밴치에 앉아 구경하던 중이었다. 내 옆에 앉아 있던 뚱뚱한 갈색 피부의 여자인지 남자인지 모를 여자가 자꾸 나를 흘끔흘끔 쳐다봤다. 나도 웃음으로 인사했다. 

“이 동네 살아요?” “네 당신은?”으로 시작한 대화가 점점 이상한 분위기로 흘러갔다. 레즈비언 파트너를 찾는다는 직감에 먼저 가겠다고 일어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크루즈 춤으로 돌아가서 내 오해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때의 브라운 여자와 내 옆자리에 앉은 여자의 눈빛이 같다는 느낌이 들어 몸을 움츠렸다. 그녀가 나에게 물었다.

“추워요?” “약간” 그녀의 물음에 내가 대답하자 “그럼 우리 나가서 춤출래요?” 

춤추고 싶어 하던 나는 벌떡 일어나 그녀와 함께 무대로 나가 추기 시작했다. 다른 키 큰 여자도 합세했다. 이어 사람들이 기다렸다는 듯이 몰려나와 흔들었다. 밴드도 신나는 춤곡을 마구 연주하고 가수는 목청을 높였다. 우리는 음악이 끝나도 자리로 돌아가지 않고 계속 췄다. 

“우리 그만 자리에 들어갈까?.” 그녀가 헐떡이며 나에게 물었다. 

“나는 더 출래요.” 대답했더니 “그럼 한 곡만 더 추고 들어가지요.” 

처음엔 신나서 추더니 힘든가 보다. 우리는 자리에 돌아와 앉았다. 내가 물었다.

“혼자 배 탔어요?”

“아니. 남편은 피곤하다고 자요.”

“내 남편도 지금 자고 있어요. 밥 먹을 때만 나와요. 나는 싱글처럼 혼자 돌아다녀요. 우리 내일 또 함께 출까요?“

“글쎄 내일은 잘 모르겠는데.”

예상을 뒤엎는 그녀의 대답에 실망했다. 내일은 나 혼자 서러도 흔들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