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October 17, 2025

백림사와 원각사를 돌고 돌아


“사랑방 마운틴에 가자. 가기 전에 절에 들렀다가. 내가 픽업 갈게. 준비하고 있어.”

지난밤부터 배가 살살 아프고 구토증이 나는 것이 심상치 않다. 산책하면 나을 것 같아 공원에서 걷고 있었다. 일요일, 교회에서 예배드리고 있을 친구에게 문자 메시지가 왔다. 아플 때 친구들과 놀면 낫는 체질인 나는 신이 났다. 다운타운에 살고 있는 또 다른 친구도 함께 간다고 우리 집으로 오는 중이다. 셋은 그동안 밀린 이야기를 나누었다.


“어느 절로 가는 거야.”

운전하는 친구에게 내가 물었다. 

“백림사.”

“사랑방 마운틴이 그 사찰 근처에 있어? 내가 오래전에 그곳에서 템플 스테이 했는데. 꽤 멀어.”

“그 절에서 조금만 가면 사랑방 마운틴이야.” 

11시경에 떠났는데 백림사에 도착하니 2시경이었다. 사찰 마당이 횅하니 비어 아무도 눈에 뜨이지 않았다. 우리가 식당 안을 기웃거리자, 비구니 두 분이 들어오라고 했다. 콩나물밥을 먹으라며 김치와 상추와 양념장과 된장국을 꺼내주셨다. 신도들을 점심 봉양하시고 다 치운 상태에서 우리가 들이닥쳤는데도 반가이 맞아주셨다. 한국인만이 베풀 수 있는 마음 씀씀이에 미안하고 고마워서 나는 문밖에서 우물쭈물했다.


산사에서 새우와 오징어를 넣은 콩나물밥을 상추에 싸서 양념장을 얹어 먹는 맛이란! 정신놓고 먹다가 고개를 들었다. 대학 선배님이 들어오시는 것이 아닌가. 서로 껴안고 반가워 어쩔줄 몰랐다.

“사랑방 마운틴은 원각사 근처에 있어. 여기서 뉴욕 가는 길로 한 시간 되돌아가야 해.”

선배님이 말했다. 원각사에 가야 하는데 친구가 내비게이터에 백림사를 찍었다는 것이다. 


오랫동안 뵙지 못한 선배님을 만나려고 길을 잘못 들었던 것일까? 길을 잃을 때마다 더 재미있는 일이 생기는 까닭은 부처님 은덕인가 보다. 선배님과 아쉽게 헤어진 후 우리는 원각사를 향해 또 달렸다. 너무 늦어 원각사는 다음에 방문하기로 하고 그 근처에 사는 화가 조성모 작가 스튜디오 사랑방 마운틴에 도착했다. 돌고 돌아오다 보니 저녁나절 4시 30분이었다. 


운전하는 친구는 꼬리뼈가 아프고 또 다른 친구는 허리가 아프다고 하소연했다. 나는 아침에 소화가 안 되고 배가 아팠는데 말짱해졌다. 보고 싶었던 선배를 우연히 만나고, 친구들과 마음껏 수다 떨고, 게다가 백림사 두 비구니 스님의 은덕으로 어릴 때 엄마와 자주 가서 먹던 사찰 음식이 나의 아픔을 말끔히 치료했다. 예상치 못한 즐거운 행복한 하루였다. 

Going Around Baklim Temple and Wongak Temple

“Let’s go to Sarangbang Mountain. Before that, let’s stop by a temple. I’ll pick you up. Get ready.”
Since last night, I had a little stomachache and felt like vomiting. I thought a walk might make me feel better, so I was walking in the park. Then I got a text message from my friend, who was at church on Sunday morning. I always feel better when I spend time with friends, so I got excited. Another friend living downtown was also coming to my house. The three of us talked about many things we hadn’t shared for a while.

“Which temple are we going to?” I asked the driver.
“Baklim Temple.”
“Is Sarangbang Mountain near that temple? I stayed there a long time ago for a temple stay. It’s quite far.”
“It’s not far from that temple,” my friend said.

We left around 11 a.m., and when we arrived at Baklim Temple, it was about 2 p.m. The temple yard was quiet and empty. We peeked into the dining hall, and two Buddhist nuns invited us in. They served us bean sprout rice with kimchi, lettuce, soy sauce seasoning, and soybean paste soup. They had already finished serving lunch to the other visitors, yet they welcomed us warmly. I felt both grateful and sorry for troubling them — such kindness is something only Koreans can show.

The bean sprout rice with squid and shrimp, wrapped in lettuce with spicy sauce, tasted so good! I was eating happily when I suddenly looked up — and there was my senior from college! We hugged and were so glad to see each other.
“Sarangbang Mountain is near Wongak Temple,” she said. “It’s about an hour back toward New York from here.”
It turned out my friend had put Baklim Temple in the GPS instead of Wongak Temple.

Maybe we took the wrong road so I could meet my senior again after so many years. Whenever I lose my way, something interesting always happens — perhaps it’s the Buddha’s blessing. After saying goodbye to my senior, we drove again toward Wongak Temple. It was too late to visit, so we went to artist Sungmo Cho’s studio, Sarangbang Mountain, nearby. By the time we arrived, it was already 4:30 p.m.

The driver complained that her tailbone hurt, and another friend said her back hurt. I had a stomachache in the morning, but now I feel completely fine. Meeting my senior by chance, chatting freely with friends, and eating the temple food that reminded me of my childhood cured me completely. It turned out to be an unexpectedly happy and wonderful day.

Friday, October 3, 2025

김치 한 조각의 서글픔


“김치 좀 주세요” 

반찬이 주르르 나오지 않고 기본 반찬으로 김치만 나오는 이 식당 김치를 좋아하는 남편이 말했다. 

“식사 시키기 전에 김치는 안 나옵니다.”

우리는 소주 한 병을 시켜놓고 서울서 온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다. 황석영의 장길산 소설 속 나그네처럼 주막에 들러 국밥이 나오기 전, 빈속에 술을 털어놓고 김치 쪼가리를 씹고 싶어서였다. 무표정한 웨이터의 대답이 술맛을 싸하게 만든다. 


우리가 초대한 두 분이 식탁 맞은편에 앉았다, 남편이 파전과 순대와 찐만두를 시켰다. 사이드 종지를 주지 않는다. 아무도 안주를 건드리지 못하고 기다리고 있었다. 

“여기 종지와 김치 좀 주실래요.”

다시 웨이터가 무뚝뚝한 얼굴로

“식사를 주문하지 않으시면 김치는 드릴 수 없습니다.”

“아니, 술과 안주를 먼저 먹고 식사는 나중에 시킬 테니 김치는 가져다줄 수 있는 것 아닌가요?” 

“식사 주문하시면 가져다드리겠습니다.”

 언제부터 안주와 식사가 분리되었던가? 웨이터는 무반응으로 계속 외면한다. 술맛이 슬슬 달아났다. 

“사장님 나오시라고 해요.” 

웨이터는 그러든지 말든지 하는 무표정으로 가더니 누군가가 김치를 가져왔다


물가가 너무 올라 김치가 금치 되었나? 식당 매니저의 지시인가? 웨이터의 융통성 부족인가? 안주만 시켜 놓고 김치를 달라는 우리가 무례한 건가? 아니면 요즘 한국 젊은이 중에는 나이 든 사람들에게 “무응답凝視” 즉 질문이나 말을 걸었을 때 대답은 하지 않고 상대를 빤히 바라보는 태도로 일관한다는데. 사회적 거리 두기 이후 생긴 변화인가? 


손님도 많지 않다. 웨이터는 우리 테이블에 시선을 두고 있는데도 여전히 종지는 가져다주지 않는다. 식탁에 앉아 술잔을 마주하면, 아주 오래전에 읽은 장길산에서 아낙들이 국밥 끓이는 장면을 연상하며 한마디 한다.. 

“종지라는 말 너무 예쁘지? 봉지도.”


물가가 올라도 너무 올랐다. 국밥 가격이 예전의 두 배 이상이 되었다. 어쩌겠는가. 식당도 이윤을 남겨야 하니 그래도 소주와 안주를 세 개나 시키고 식사도 나중에는 주문했는데. 한국인의 기본 반찬인 김치는 미리 줘야 하지 않을까? 무척이나 야박하고 헷갈리는 저녁이었다.

The Sadness of a Piece of Kimchi

“Can we have some kimchi, please?”
My husband, who really likes this restaurant’s kimchi, asked the waiter.

“We don’t serve kimchi before you order a meal.”
We had already ordered a bottle of soju and were waiting for guests from Seoul. Like the wanderers in Hwang Sok-yong’s novel Jang Gil-san, who stop by a tavern, we wanted to sip soju on empty stomachs and chew on some kimchi before the soup arrived. But the waiter’s expressionless answer spoiled the mood.

Soon, the two guests we invited sat across from us. My husband ordered pajeon, soondae, and steamed dumplings. Still, no small side dishes were given. No one touched the food and we all just waited.
“Could you please bring us some small plates and some kimchi?”
The waiter, again with a blank face, replied:
“Without ordering a meal, I cannot bring you kimchi.”
“But we’ll eat the side dishes first and order meals later. Can’t you bring us kimchi now?”
“If you order meals, then I’ll bring kimchi.”

Since when were side dishes separated from meals? The waiter ignored us, staring past us in silence. The soju started to taste flat.
“Please ask the manager to come.”
Eventually, someone brought kimchi.

Is kimchi now so expensive that it has become geumchi (gold-kimchi)? Was it the manager’s strict rule? Or the waiter’s lack of flexibility? Or maybe we were the rude ones, asking for kimchi with only side dishes and alcohol? Some say many young Koreans today show a kind of “silent stare” toward older people—when spoken to, they just stare without responding. Is this a social habit born from pandemic distancing?

The restaurant wasn’t even busy. The waiter kept glancing at our table but still didn’t bring the small plates. Sitting there with soju, I suddenly remembered reading long ago about women cooking soup in Jang Gil-san’s mountain hideout. I even missed the old word “jongji,” the little bowls for side dishes.
“Isn’t jongji such a pretty word? Like bongji (paper bag).”

But the truth is, prices have risen far too high. The price of soup is now more than double what it used to be. Of course, restaurants must make a profit. Still, we ordered soju, three dishes, and later also meals—shouldn’t kimchi, the most basic Korean side dish, be given first? It turned into a very stingy and confusing ev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