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May 30, 2025

오늘도 걷는다마는


밤새도록 비가 왔다. 아침에 비 그치기를 기다리다 참지 못하고 우비를 입고 리버사이드 공원에 갔다. 84가까지 내려가서 강가 진입도로 들어갔다. 다리 밑에 혼자서 웅크리고 자는 사람이 있었다. 자는 그를 깨우지 않으려고 조심스럽게 발을 옮겨 놨다. 강가를 따라 콜롬비아 대학 쪽으로 올라갔다. 조지 워싱턴 브릿지가 안개에 묻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친구들이 많이 사는 강 건너 뉴저지는 안개 속에 둥실 떠 있는 섬 같다. 사방을 둘러봐도 아무도 없다. 루트 9A를 따라 다운타운으로 내려가는 차가 움푹 파인 도로를 지날 때 튀기는 물살을 피해 강가 쪽에 바짝 붙어 걸었다. 

12 마리 오리들이 조지 워싱턴 다리 방향으로 미끄러지듯 가고 있다. 오리들도 나처럼 안개로 덮여 없어진 다리를 찾으려고 부지런히 가는 듯하다. 춥던 날에는 볼 수 없었던 오리들이 어디에 숨어 있다가 나왔는지? 질서정연하게 줄지어 간다. 저 멀리 앞쪽에 또 한 무리의 동료들이 다리를 향해 가고 있다. 나도 강물을 보며 그들을 따랐다. 그 중 한 마리가 짝 없이 혼자 강 한가운데서 헤맨다. 짝을 잃었나? 아니면 고독을 즐기는 건가? 


예전에 우리 부부는 아침에 함께 공원을 산책했다. 남편은 나이 들수록 더 바빠져서 나와 함께 걸을 일이 없어졌다. 그는 새벽에 7 전철을 타고 Vernon Blvd-Jackson Av에서 내린다. 퀸스와 브루클린을 연결하는 Pulaski bridge를 걸어 그린포인트 스튜디오로 출근한다. 함께 가야 할 곳이 있으면 모를까 우리는 각자 걷는다. 혼자 떠도는 오리처럼 나 홀로 걸어도 전혀 외롭지 않다. 오히려 홀가분하고 자유롭다. 짝 잃은 오리를 보면서 ‘외롭겠구나!’ 생각하다가 아마 오리도 질서 정연하게 함께 물 위를 떠도는 것보다는 자유를 즐기고 싶어서 혼자 있기를 선택한 것인지도 모른다. 


‘가까이 있으면 다가갈 수 있기 때문에 잊기가 어렵다. 멀리 있으면 가까이 다가갈 수 없어서 할 수 없어 잊힌다.’ 언젠가 헤어질 우리 부부 헤어지는 연습이라도 하는 양 걷는다.

Even today, I walk on...

It rained all night. I waited in the morning for the rain to stop, but couldn’t wait any longer, so I put on a raincoat and went to Riverside Park. I walked down to 84th Street and entered the riverside path. Under the bridge, someone was curled up and sleeping alone. I stepped carefully so as not to wake him. I walked along the river toward Columbia University. The George Washington Bridge was completely hidden in the fog. Across the river, where many of my friends live, New Jersey floated like an island in the mist. There was no one around. I walked close to the river to avoid the splashing water as cars drove down the potholed road toward downtown along Route 9A.


Twelve ducks are drifting over the water, heading toward the George Washington Bridge. Like me, they seemed to be looking for the bridge that had vanished into the fog. Where had they been hiding during the cold days? Now they were out, moving in an orderly line. In the distance, another group of ducks was heading toward the bridge. I, too, followed them along the river. One duck, however, was alone, drifting in the middle of the river. Did it lose its mate? Or was it enjoying solitude?


My husband and I used to walk in the park together in the mornings. But as he got older, he became busier and no longer had time to walk with me. He takes the 7 train at dawn and gets off at Vernon Blvd–Jackson Av. He crosses the Pulaski Bridge, which connects Queens and Brooklyn, and walks to his studio in Greenpoint. Unless we have somewhere to go together, we walk our own paths. Yet walking alone, like a solitary duck, I don’t feel lonely at all. On the contrary, I feel light and free.


As I watched the lone duck, I first thought, “It must be lonely.” But perhaps it chose to be alone—not to float in formation with the others—but to enjoy freedom.


“If you're close, it’s hard to forget because you can reach out. If you're far, you can't get close, and so eventually you forget.”

My husband and I walk as if practicing how to part, for when the time inevitably comes.

Friday, May 16, 2025

타슈켄트 슈퍼마켓


올겨울은 유난히도 춥고 길었다. 날씨가 풀리는 듯하다가 다시 추워져 움츠리기를 반복했다. 옷을 얇게 입고 나가서 감기에 걸렸다. 다른 해 같았다면 남쪽 나라 바닷가에서 일광욕했지만, 4월에 떠날 여행 일정이 잡혀서 참고 긴 겨울을 뉴욕에서 버텼다. 날씨가 풀리기를 기다리며 수영복 두 벌을 장만해 놓고 마음은 이미 바닷가에 가 있다. 

팬더믹 기간, 여행하지 못할 때, 나는 브루클린 브라이턴 비치에서 일광욕했다. 아침 9시경 원피스 안에 수영복을 입고 42가에서 Q 트레인을 타고 한 시간가량 앉아 있으면 마지막 정류장인 브라이턴 비치에 도착한다. 나는 깔개만 가져갔다. 정류장에 내리면 바로 앞에 타슈켄트(Tashkent: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슈퍼마켓이 있기 때문이다. 우즈베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러시아, 조지아 등 중앙아시아 음식과 식료품 그리고 200 여종의 따뜻한 뷔페를 판매한다. 그곳에서 점심 요기할 음식을 사서 비치로 향했다. 물에 들락거리다 배고프면 먹고 누워 한잠 잤다. 3시경, 집에 오는 지하철을 타기 전, 다시 마켓에 들러 장을 봤다. 서너 날은 끼니 걱정 없이 여유롭게 지냈다. 


한식치고는 약간 퓨전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나에게는 거의 한식 같다. 당근 김치, 오이지, 만두, 돼지 수육도 있고 온갖 한식 비슷한 것이 많다. 브라이턴 비치에 갈 적마다 골고루 사다가 맛보았지만 실망한 적이 없다. 팬데믹이 끝나고 자유로이 여행할 수 있게 되자 더는 가지 않았다. 이따금 타슈케인 슈퍼마켓 안에 진열된 수많은 음식을 떠올리며 입맛을 다셨다. 


요즈음 조지아 음식이 뜬다더니 타슈케인 슈퍼마켓이 지난 3월 6일 뉴욕대학 인근 (378 6th Ave. & Waverly Place)에 오픈했다. 브라이턴 비치만큼 부패 음식이 많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을 비집고 골고루 집어 왔다. 팬데믹 기간에 먹은 맛만은 못하지만, 옛 기억을 살리며 그런대로 맛있게 먹었다.

Tashkent Supermarket

This past winter was unusually cold and long. Just when it seemed like the weather was getting better, it would get cold again, and I kept curling up from the chill. One day, I went out wearing light clothes and caught a cold. In other years, I would have been sunbathing on a southern beach, but since I had a trip planned for April, I endured the long winter in New York. While waiting for the weather to warm up, I bought two swimsuits. My mind is already at the beach.

During the pandemic, when I couldn’t travel, I used to sunbathe at Brighton Beach in Brooklyn. Around 9 a.m., I’d wear my swimsuit under a dress, take the Q train from 42nd Street, and after about an hour, I’d arrive at the last stop: Brighton Beach. I only brought a mat with me because right in front of the station was Tashkent Supermarket (Tashkent: the capital of Uzbekistan). They sell Central Asian foods and groceries including from Uzbekistan, Afghanistan, Russia, and Georgia as well as about 200 kinds of hot buffet dishes. I would buy something for lunch there and head to the beach. I’d go in and out of the water, eat when I got hungry, and take a nap lying down. Around 3 p.m., before taking the subway home, I’d stop by the market again to buy groceries. I could live comfortably for three or four days without worrying about meals.

Although it's slightly fusion rather than traditional Korean food, to me, it’s practically Korean. They have carrot kimchi, pickled cucumbers, dumplings, and boiled pork belly, and many other dishes that taste similar to Korean food. Every time I went to Brighton Beach, I bought a variety of items to try, and I was never disappointed. Once the pandemic ended and I could travel freely again, I stopped going. But now and then, I’d find myself remembering the many foods lined up inside Tashkent Supermarket and licking my lips.

These days, Georgian food is trending, and on March 6, Tashkent Supermarket opened a new location near NYU (378 6th Ave. & Waverly Place). They didn’t have as many buffet items as the Brighton Beach branch. I squeezed through the crowd and picked a bit of everything. It wasn’t quite as delicious as what I ate during the pandemic, but it brought back memories, and I enjoyed it well enough.

Friday, May 2, 2025

노후엔 대마초를 피우며


전시회를 함께 하는 인도에서 온 나이 어린 통통한 여자를 만났다. 우리는 반가워서 포옹했다. 그녀 코트에서 대마초 냄새가 났다. 내가 물었다.
“너 위드 피냐?” “응. 너는?” 

“오래전 친구들과 핀 적 있어. 더 나이 들고 몸 상태가 시원찮고 고통이 오면 피우려고. 이제 합법화됐잖아.” 내가 대답하자 그녀가 말했다. “너 피고 싶으면 내 스튜디오에 와. 함께 피자.”

그녀와 나는 나이 차이가 많이 난다. 그런데도 그녀는 나를 밀어내지 않고 초대했다.


결혼하고 바로 어느 해 연말, 맨해튼 그랜드 스트릿, 커다란 스튜디오에 많은 친구들이 모였다. 그중 한 친구가 워싱턴 스퀘어에서 사 온 대마초를 우리는 돌아가며 폈다. 그 당시는 불법이어서 숨어서 피는 중이었다. 갑자기 내 옆에서 피던 여자가 

“불이야. 불났어. 너무 뜨거워.”

우리는 모두 깜짝 놀라 그녀를 흔들며 정신 차리라고 했다. 그녀는 또다시

“물이야. 홍수 났어. 나 떠내려가. 살려줘. 나 좀 잡아줘~”

앰뷸런스를 불러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우왕좌왕했다. 난 대마초를 피우니까 평면적으로 들리던 음악이 입체적으로 살아 움직여 음정 하나하나가 내게 가까이 다가오듯 들렸다. 음악에 빠져 4차원 세계에서 헤매는데 갑자기 여자가 불이야. 물이야. 난리를 치는 바람에 정신이 번쩍 들었다. 식욕이 왕성해진 나는 먹을 것을 찾아 냉장고 문을 열었다 닫았다 했던 기억이 난다. 


사람을 늘어지게 하는 대마초를 계속 피던 친구들은 참 게을렀다. 정오가 지나야 일어들 나서 꼼지락거리다 어둑해지면 다시 피곤했다. 나는 돈도 없고, 살기 바빠서 자연적으로 그만두었다. 


두 아들 모두 Climbing Gym에서 바위를 탄다. 그러다 큰 아이가 떨어졌다. 허리를 다쳐서 병원에 들락거려도 낫지 않다가 3개월가량 대마초로 효험을 보고 회복됐다. 

“너 자주는 피지말아. 게을러진다.”

“냄새가 싫어서 필요할 때만 해요. 엄마도 몸이 아프면 펴요. 사다 줄까?”

“지금은 말고 조금 더 있다가 몸이 나빠지면 필 거야. 그때는 네가 사다 줘.”

“친구 아버지가 위드 라이선스가 있어서 가게가 여러 개 있어요. 라이선스 없는 가게들은 문을 닫았잖아요.”

“어쩐지 가게들이 우후죽순 생겼다가 사라져서 궁금했는데. 네 친구 아버지 돈을 긁고 있겠다.”


나는 대마초가 합법화된 후, 노후 대책으로 우선순위에 올려놨다. 고통이 심해지면 피면서 편안한 몸과 마음으로 여유롭게 생을 마감하고 싶어서.

In old age, I plan to use weed

I met a young, chubby woman from India at an exhibition we were both part of. We were happy to see each other and hugged. Her coat smelled like marijuana. I asked her,

“Do you smoke weed?”

“Yes. Do you?”

“I used to with friends a long time ago. Now that I’m older, when my body starts to ache and I’m in pain, I plan to smoke again. It’s legal now.”

When I said that, she replied, “If you want to smoke, come to my studio. Let’s smoke together.”

There’s a big age gap between us. But she didn’t push me away—she invited me in.


Right after I got married, one New Year’s Eve in Manhattan on Grand Street, many friends gathered at a large studio. One friend had bought weed from Washington Square park, and we passed it around. At the time, it was illegal, so we smoked in secret. Suddenly, a woman next to me cried.

“Fire! There’s a fire! It’s too hot!”

We were all startled and shook her to bring her back to her senses. Then she cried again,

“Water! There’s a flood! I’m being swept away! Help me! Hold onto me!”

Everyone panicked, wondering if we needed to call an ambulance. I remember how, after smoking, the music that used to sound flat came alive, every note seeming to move closer, as if I was wandering in a fourth-dimensional world. But when the woman suddenly started yelling about fire and water, I snapped back to reality. I was so hungry, I kept opening and closing the fridge, looking for food. 


The friends who kept smoking weed got lazy. They wouldn’t wake up until noon, when it got dark they smoked marijuana again. I had no money and was too busy trying to survive, so I naturally stopped smoking.


Both my sons climb at the climbing gym. One day, my older son fell and injured his back. Even after many hospital visits, he didn’t get better, but after about three months of using weed, he found relief and recovered.

“Don’t smoke too often. It’ll make you lazy.”

“I don’t like the smell, so I only use it when I really need it. Mom, if you’re ever in pain, you should try it. Should I get some for you?”

“Not now—maybe later, if my health gets worse. Then you can get it for me.”

“My friend’s dad has a weed license and owns several stores. All the shops without licenses have shut down.”

“No wonder so many shops popped up and disappeared. I was curious. Your friend’s dad must be raking in money.”


After marijuana was legalized, I added it to my list of retirement plans. If the pain gets bad, I want to smoke and calmly end my life with a comfortable body and peaceful m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