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April 18, 2025

애착의 실타래


30년 전, 1994년 일인데도 선명하게 어떤 애착의 끈으로 당기는 풍경 속에 나는 있었다. 마드리드를 방문하기 좋은 달인 10월, 춥지도 덥지도 않은 쾌청한 날이었다. 나는 지인들과 함께 전시하러 마드리드에 갔다. 그 당시 그곳에 살고 있는 화가 윤경렬씨가 운전하는 노란색 폭스바겐 타입 2 밴을 탔다. 밴의 창문에 노랑 꽃무늬 커튼이 쳐져 있었다. 유치원 가는 기분으로 들떴다. 커튼을 젖히고 창밖을 내다봤다. 덤불이 드문드문 모습을 들어내는 들판을 보며 나는 막연한 기억속으로 들어갔다. 

느긋하게 햇볕 아래 끝 간데없는 들판이 누워 잠든 듯 뭉게구름 아래서 조는 듯했다. 덤불들은 서로 기대어 속삭이며 바람에 몸을 맡기고 흔들렸다. 저항이나 부딪힘이 없는 아득한 평온만이 숨 쉬는 풍경 속을 차는 계속 달렸다. 


드넓은 들판 한 귀퉁이에 있는 윤 작가 스튜디오 문을 열고 들어섰다. 단색화 초기, 색채가 실종된 무채색 환경에 물들여진 나로서는 그의 주황과 노랑 그리고 보라색의 강렬한 색감에 잠시 숨을 멈추었다. 따사로운 스페인 날씨와 자연을 옮겨 놓은 듯한 소박함과 순수함, 솔직 담백한 그의 화풍이 나를 순수한 어린 시절로 이끌었다. 단색만을 고집하면서 억지로 만들어 낸 작품이 아니다. 뉴욕 작가와 LA 작가가 사용하는 색감이 다르듯이 그만의 독특한 스페인 색감 작업에 매료되었다.


윤 작가의 스튜디오를 찾아가는 풍경과는 또 다른 마드리드 도심 속 윤 작가 부인의 모습이 뚜렷하게 떠오른다. 그들은 마드리드에서 아이 여럿을 키우며 작업하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뉴욕에서 온 우리를 반겼다. 우리들을 폭스바겐 밴에 태워 마드리드 곳곳을 안내해 주었다. 저녁 식사에도 초대했다. 부부의 배려에 나는 몸 둘 바를 몰라 구석에서 안절부절못했다. 


어둑해지는 마드리드 번화가였다. 차창 밖을 내다보고 있었다. 윤작가 부인이 어둠에 묻혀 혼자 걸어가고 있었다. 고개를 푹 숙이고 피곤한 모습으로 걸어가는 그녀를 보자 가슴이 뭉클, 몹시 아렸다. 얼마나 힘들까? 마드리드에서 유학 생활 하며 화가 남편 뒷바라지하고 아이 여럿을 키우는 중에 전시한다고 몰려와 들떠 있는 우리를 대접하느라. 고개 숙인 그녀의 모습이 잊히지 않고 내 뇌리에 박혀있다. 윤 작가는 같은 해인 1994 스페인을 떠나 뉴저지에 정착했다. 


윤경렬 작가의 개인 전이 4월 10일 - 6월 7일까지 맨해튼 Po Kim Gallery, (417 Lafayette Street)에서 전시중이다. 나는 오프닝 날을 손꼽아 기다리다 일찍 갤러리에 들어섰다. 그의 작품은 구상에서 추상으로 바뀌긴 했지만, 스페인 색감의 끈을 놓지 않은 그의 작품의 성실함과 진실함이 나를 애착의 끈으로 또 끌어 당겼다.

Thread of Attachment

It was an event from 30 years ago, in 1994, yet I still vividly recall being in a scene pulled by some thread of attachment. It was October, the perfect month to visit Madrid—neither too cold nor too hot, just pleasantly clear.I went to Madrid with my acquaintances to exhibit. We rode in a yellow Volkswagen Type 2 van, driven by painter Kyung Ryul Yoon, who lived there at the time. Yellow floral curtains were hung on the van’s windows. I felt excited like a child going to kindergarten. I pulled back the curtain and looked outside. As I gazed at the fields where bushes peeked out here and there, I drifted into a vague memory.


The endless field lay beneath the sun, as if asleep, dozing under cottony clouds. The bushes leaned on one another, whispering as they swayed in the wind. The van continued to drive through a landscape where only distant serenity breathed—without resistance or collision.


We arrived at the edge of the vast field and entered Mr. Yoon’s studio. Having been immersed in the achromatic world of early monochrome painting, I momentarily held my breath at the boldness of his orange, yellow, and purple colors. His honest and unpretentious painting style—like bringing the warm Spanish weather and nature into his work—drew me back to the purity of childhood. These were not works forced into creation by stubbornly clinging to monochrome. Just as New York and L.A. artists use color differently, I was captivated by his uniquely Spanish sense of color.


The scene of Yoon’s wife in the heart of Madri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cene of visiting Yoon’s studio, comes to mind clearly. Despite raising several children and working in a difficult environment, the couple warmly welcomed us from New York. They drove us all over Madrid in their Volkswagen van and even invited us for dinner. Their hospitality left me flustered, and I nervously sat in a corner, unsure of what to do.


It was dusk in bustling downtown Madrid. I was looking out the window. Mrs. Yoon was walking alone in the darkness. Seeing her head bowed in exhaustion, my heart ached with emotion. How difficult must it be? Supporting her artist husband while studying abroad, raising several children—and now, entertaining a group of excited visitors who had flown in for an exhibition. Her bowed figure is still etched in my memory. That same year, 1994, Mr. Yoon left Spain and settled in New Jersey.


Kyung Ryul Yoon’s solo exhibition is currently on view from April 10 to June 7 at Po Kim Gallery (417 Lafayette Street) in Manhattan. I had eagerly waited for the opening and arrived at the gallery early. Though his works have evolved from figurative to abstract, the sincerity and truthfulness of his work—still holding onto that thread of Spanish color—once again pulled me in with a strong sense of attachment.

Thursday, April 3, 2025

자랑스러운 한인 후세들


한인 이민 역사도 오래되었다. 자녀 교육을 위해 고국을 떠난 1세들은 먼 미국까지 와서 몸이 부서져라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부지런히 일했다. 그 결과 1.5세와 2세들이 어느 민족보다도 교육을 많이 받았다. 1세와는 달리 그들은 전문직을 가졌고 곳곳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친구의 자식이 잘됐다는 소식이 들려오면 나는 그들과 같은 힘든 이민 생활을 거쳤기에 내 자식 일인 양 가슴이 뭉클해진다. 한인이라는 생각에 마구 자랑하고 싶다. 내가 이렇게 자랑하고 싶은데 그 부모야 오죽하겠는가! 커다란 징이라도 두드리면서 큰소리 내어 자랑해도 된다. 


아주 오래전, 내가 퀸스 어느 성당에서 라인 댄스를 춘다는 중앙일보에 난 내 글을 읽고 독자가 찾아와 함께 춤을 춘 적이 있다. 그녀는 무용을 전공했다. 키가 크고 인물이 훤칠했다. 나는 그녀의 외모에 약간 주눅이 들었지만, 소탈한 그녀 성격으로 친구가 되었다. 우리는 북클럽에 조인했고 지금까지도 좋은 만남을 이어오고 있다. 


그녀의 딸 아그네스 김(Agnes Kim)이 애니메이션 시리즈 그렘린: 모그와이의 비밀(Gremlins: Secrets of the Mogwai)로 제3회 어린이 및 가족 창작 예술 에미상에서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부문 최우수 캐스팅상을 받았다. 이 시상식은 2025년 3월 15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의 텔레비전 시티 스튜디오에서 열렸다. 이 작품은 인기 있는 그렘린 프랜차이즈의 프리퀄로, 많은 팬에게 사랑받고 있는 애니메이션이다. 애니메이션에서 캐스팅상은 목소리 연기자들을 잘 선정하고 조합한 공로를 인정받는 상이므로, 기여가 높이 평가된다.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미국에 온 동기 중 회화 전공자는 월트 디즈니에서 만화를 그렸고 조각 전공자는 치공 쪽 일하며 이민 생활 기반을 다졌다. 독창성이 요구되는 예술 분야인 애니메이션으로 에미상을 받은 친구 딸이라서 무척 자랑스럽다. 

나는 이민 생활 어려움 속에서 자란 아이들이 잘됐다고 부모들이 소식을 전할 때마다 만성 체증이 확 뚫리는 쾌감을 느낀다. 이민자 부모들은 누구나 똑같은 어려움을 뼈저리게 꼈었기 때문이다. 먼 타국에서 언어에 늘 주눅이 들어 힘겹게 살면서 자식을 그만큼 키웠다는 것은 물론 아이들도 노력했지만, 부모의 뼈 깎는 노력 없이는 힘들다. 우리는 누구의 자식이든 잘 되면 한국인으로 함께 아주 큰 소리로 자랑하고 또 자랑합시다.

Proud Korean American Successors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is long. The first-generation immigrants left their homeland for the sake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working tirelessly day and night in a foreign land like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the 1.5 and second generations have received more education than any other ethnic group. Unlike the first generation, they have pursued professional careers and begun to stand out in various fields.


Whenever I hear news about a friend’s child succeeding, my heart swells with emotion as if it were my own because I understand the hardships of immigrant life. I feel an overwhelming sense of pride as a Korean and want to boast about their achievements. If I feel this way, how much prouder must their parents be? We have every right to beat a giant gong and proudly announce their child's success to the world.


A long time ago, a reader once visited me after reading my article in the Korea Daily about my line dancing at a church in Queens. She had majored in dance, was tall, and had striking features. I initially felt a little intimidated by her appearance, but her down-to-earth personality quickly put me at ease, and we became friends. We joined a book club together, and our friendship has lasted ever since.


Her daughter, Agnes Kim, recently won the Outstanding Casting Award in the Animated Program category at the 3rd Children’s & Family Creative Arts Emmy Awards for her work on the animated series Gremlins: Secrets of the Mogwai. The awards ceremony was held on March 15, 2025, at Television City Studios in Los Angeles, California. This series is a prequel to the popular Gremlins franchise and is beloved by many fans. The casting award in animation is given to those who excel at selecting and assembling voice actors, making it a highly esteemed recognition of her contributions.

Among my fellow art school graduates who immigrated to the U.S., those who majored in painting found work as animators at Walt Disney, while those who studied sculpture built careers in dental mold-making. Given that animation is an art form requiring creativity and originality, I feel immense pride that my friend’s daughter received an Emmy in this field.


Whenever immigrant parents share the success stories of their children, I feel an indescribable sense of relief and exhilaration, as if a chronic burden has been lifted. Every immigrant parent has endured the same struggles, painfully aware of the difficulties of life in a foreign land. Raising children while constantly feeling intimidated by language barriers and hardships is no easy feat. Of course, the children themselves worked hard, but without the parents’ sacrifices, their success would have been much more difficult.


No matter whose child it is, when they achieve greatness, let us all proudly and loudly celebrate them as fellow Koreans. Let us boast about their success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