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November 13, 2008

묘지를 산택하는 여자


브루클린 그린포인트 애비뉴를 따라 동쪽으로 가다 보면 BQE 길가에 칼바리(Calvary) 공원묘지가 있다. 맨해튼의 건물들이 줄지어 서 있듯이 공원 안에도 묘비들이 질서 정연하게 서 있다. 가끔 공원에 들어가서 묘비명을 읽으며 한적한 고요함 속에 머물다 나온다.

고인의 이름을 보며 조상이 어느 나라 사람인지, 언제 태어나 언제 죽었는지, 얼마나 살다 죽었는지를 추측하며 묘지를 산책한다. 1700년에 태어난 묘비도 심심찮게 있다. 납골당 창문의 유리 먼지를 닦고 안을 들여다봤다. 관을 넣을 있는 서랍들이 포개져 쌓여있다.

누군가 죽어서 관이 들어 있는 서랍에는 이름과 태어나고 죽은 연도가 적혀져 있다. 가족 중에 누군가가 죽으면 들어갈 서랍도 있다. 죽으면 아무것도 모른다지만, 어둡고 써늘한 납골당 서랍 안으로는 들어가기 .

공원묘지를 걷다 보면 어느 중세기의 마을에 들어선 느낌이다. 중앙에 망자를 위로하기 위한 교회를 중심으로 커다란 납골당들이 그리고 작은 납골당들이 줄지어있다. 조각을 새긴 높은 비석이 뒤를 따라 내려오다 작은 비석들로 이어진다. BQE 근처 가까이 갈수록 아주 작은 비석들이 초라한 모습을 하고 있다. 아마도 맨해튼 스카이라인을 있는 높은 묘지 자리는 비싸지 않을까 하는 실없는 생각도 해본다. 아직 한국 이름이 쓰인 묘비는 보지 못했다.  

많은 사람은 죽어서도 마치 저택처럼 육중한 돌로 지어진 납골당에 뽐내듯이 묻혀있다 없이 죽은 사람은 고속도로 길가에 버려지듯이 묻혀있다. 죽은 영혼들이 햇살이 밝은 대낮에는 조용히 숨어있다가 밤이 깊어지면 우리가 사는 모습처럼 나와서 움직일 것만 같다. 돈이 많아 죽은 영혼들은 화려한 파티를 하며 즐길 것이고, 돈 없이 죽은 혼들은 많은 혼을 따라다니며 시중을 들것 같은 커뮤니티의 형상을 하고 있다.

칼바리 공원묘지에는 가톨릭계 이탈리아 사람들이 많이 잠들어있다. 몇 년 전 우리 동네에 사는 이탈리아 친구가 어린 딸을 잃었다. 딸을 먼 곳에 묻는 게 싫어 가까이에 있는 이 묘지에 묻었다. 묘지 자리가 너무 비싸다며 투덜거리면서도  가까이에 묘지를 두고 산책하듯 자주 드나든다. 무슨 날에만 조상 묘지를 찾아가는 우리나라 사람들과는 다르다. 죽은 영혼과의 관계가 우리처럼 멀게 느껴지지 않는 듯하다.

죽음은 끝이요 그리고 영원한 휴식이라고 생각해 왔다. 칼바리 묘지에서 보는 죽음은 또 다른 삶의 연장이요, 투쟁인듯하다

Wednesday, November 12, 2008

A woman taking a walk in a cemetery

If you walk east along Greenpoint Avenue in Brooklyn, you’ll find Calvary Cemetery next to the BQE highway. Just like the buildings lined up in Manhattan, the gravestones in this cemetery stand in neat rows. Sometimes I go in and read the inscriptions, spending quiet moments in peaceful silence.

As I walk through the cemetery, I read names and try to guess where the people were from, when they were born, when they died, and how long they lived. It’s not hard to find gravestones from the 1700s. I once wiped the dusty glass of a mausoleum window and looked inside. There were drawer-like shelves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each holding a coffin. On the drawers that hold someone’s remains, names and birth/death years are written. Some drawers are still empty, waiting for a future family member.

They say you don’t feel anything after death, but I still wouldn’t want to end up in one of those cold, dark drawers.

Walking through Calvary feels like stepping into a medieval village. There’s a large church in the center, built to comfort the dead, and around it stand big mausoleums, with smaller ones lined up nearby. Tall, carved headstones come next, and then smaller and smaller gravestones follow.
Closer to the BQE, the graves become more plain and humble. It makes me wonder—are the higher spots with views of the Manhattan skyline more expensive?

So far, I haven’t seen any gravestones with Korean names.

Rich people lie in grand mausoleums built with heavy stone, like luxury mansions. Those who died poor seem to be buried along the noisy highway, almost as if they’ve been cast aside. It feels like, during the day, the souls stay quietly hidden, but once night falls, they rise and begin to move, just like we do. The wealthy spirits might throw fancy parties, while the poor ones follow them around, serving them—just like in real life. That’s the kind of “community” I imagine.

Many Italian Catholics are buried in Calvary Cemetery. A few years ago, an Italian friend in my neighborhood lost her young daughter. She didn’t want to bury her far away, so she chose this cemetery, close to home. She complained about how expensive the plots were, but still visits often—like taking a walk. Unlike Koreans, who mostly visit ancestors only on special days, it seems Italians feel closer to their dead. To them, the relationship doesn’t feel distant, even after death.

I used to think death was the end—eternal rest. But what I see in Calvary Cemetery feels different.
Here, death looks more like a continuation of life, and even… a kind of strug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