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September 25, 2008

광장동(Grand Street)의 추억


찬 바람이 불면 공연히 옛 생각이 난다. 

오래전 맨해튼 차이나타운 그랜드스트릿에 있는 7층 건물 2층에 살았다. 아침에 위층 바느질 공장으로 올라가는 낡고 비좁은 엘리베이터 안 중국 아줌마들의 수다 소리에 잠을 깬다. 2층을 지날 때 요란했던 소리는 위층으로 올라가면서 물속에 잠기듯 사라진다. 

저녁엔 또다시 중국 아줌마들의 수다는 점점 요란해지면서 우리 층을 지날 때는 마치 폭풍이 스쳐 지나가듯 한다. 그러면 나도 저녁 찬거리를 사러 차이나타운으로 나갔다.

내가 차이나타운으로 이사 오기 전 우리 부부는 시청에서 결혼선서만 하고 떨어져 살았다. 남편은 그의 룸메이트와 맨해튼에서, 나도 룸메이트와 퀸스에서 살았다. 변변한 직업도 없고, 함께 살 곳이 없는 우리 화가 부부는 이전에 살던 대로 떨어져 살 수밖에 없었다.

6개월쯤 지난 후 남편의 룸메이트가 그랜드스트릿에서 셋이 함께 살자고 제안했다. 천장이 높은 커다란 작업실의 한쪽은 룸메이트가 다른 한쪽은 우리 부부가 썼다. 각자 공간에서 계단으로 올라가면 침실이 있었다.  우리 침실 구석에는 이전에 살다 나간 사람이 두고 간 드럼, 북 등 타악기들이 쌓여 있었다. 악기들과 함께 누워 있노라면 곡마단 원으로 떠돌다 피곤해서 천막 안에서 쉬고 있는 곡예사 같았다. 

겨울엔 히팅이 없었다. 시베리아 벌판처럼 추웠다. 건물은 낡아서 쥐와 벌레가 많았다. 항상 몸의 여기저기를 긁다가 잠이 들곤 했다. 남편은 긁어대는 내가 안쓰러운지 흰 종이를 깔고 천장을 두드려서 벌레를 떨어뜨려 잡아주곤 했다.

우리도 먹고살기 힘든데 오다가다 들르는 친구들은 왜 그리도 많았는지! 스튜디오 한가운데에 있는 때에 찌든 커다란 회색 소파에서 자고 놀며 들락거렸다. 금요일부터 놀기 시작해 일요일 저녁에나 돌아갔다. 우리 스튜디오를 ‘광장교회’(Grand Street에 있다고) 라고 불렀다.  남편은 ‘이 목사’ 그리고 우리 룸메이트는 ‘황 장로’라 불렸다.
 
연말에는 아예 우리 스튜디오로 퇴근하고 출근하며 며칠씩 놀았다. 황 장로는 동문회 송년회에서 먹다 남은 컴파운드 플라스틱 버킷에 가득 든 양념 불고기를 들고 왔다. 거기에 김치 한 병만 있으면 우리는 모두 행복했다. 더러운 것도, 시끄러운 것도 문제 되지 않았다. 친구들이 수시로 드나드는 것도 힘든 줄 몰랐다.
 
건물 주인은 어두컴컴한 지하실에서 콩나물 공장을 했다. 한 달에 한 번 집세를 내러 지하실에 가면 어두워서 보이지 않아 불러야 나타났다. “어둡지 않니?” “밝으면 콩나물이 빨리 자라서 곤란하다”며 집세를 받고는 콩나물 한 움큼을 싸줬다.

집세를 내고 나면 돈이 없어 콩나물국, 무침 그리고 콩나물밥에 파묻혀서도 작업을 고집하며 버텼다. 그러다 매년 올라가는 집세를 감당하기 힘들어 광장동을 떠나야 했다. 우리 부부는 윌리엄스버그 다리를 건너 브루클린 그린포인트(한국 이름은 녹점동)로 우리 룸메이트는 서울로 떠났다.

찬 바람이 불면 그 친구들이 몹시도 그립다. 

Wednesday, September 24, 2008

Memories of Grand Street

When the cold wind blows, I can’t help but think of the past.

A long time ago, I lived on the second floor of a seven-story building on Grand Street in Manhattan. Every morning, I would wake up to the loud chatter of Chinese women riding the small, old elevator up to the sewing factory upstairs. Their noisy voices would pass by our floor, then fade away as they rose higher—like sinking into water.

In the evenings, the same voices would grow louder again as they came back down, and by the time they passed our floor, it sounded like a storm was blowing through. That’s when I would head out to buy groceries in Chinatown for dinner.

Before we moved to Chinatown, my husband and I had only registered our marriage at City Hall and lived separately. He lived with a roommate in Manhattan, and I lived with mine in Queens.
We were both artists, without proper jobs or a place to live together, so we just continued to live apart.

About six months later, my husband’s roommate suggested we all live together in a loft on Grand Street. It was a big space with high ceilings. One side belonged to the roommate, and the other side was for my husband and me. Each section had stairs that led up to small sleeping areas.
In the corner of our bedroom were old drums and percussion instruments left behind by the previous tenant. Lying there among the instruments, I felt like a circus performer resting in a tent after a long day.

There was no heat in the winter—it felt like the freezing plains of Siberia. The building was old, full of mice and bugs. I would scratch at my skin all night long, and my husband, feeling sorry for me, would lay white paper down and tap the ceiling to make the bugs fall so he could kill them.

Even though we barely had enough to live on, so many friends came by. They would hang out, sleep, and lounge on a big, dirty gray sofa in the middle of the studio. They’d come on Friday and leave Sunday night. They called our place the “Grand Street Church” (because it was on Grand Street). My husband was “Pastor Lee” and our roommate was “Elder Hwang.”

At the end of the year, people would basically move in—coming after work and leaving the next morning, just to hang out. Elder Hwang once brought a huge bucket of marinated bulgogi (left over from a Korean alumni party) in a used plastic compound container. With just one jar of kimchi, that was enough to make all of us happy. The noise, the dirt, the lack of space—none of it bothered us. Even with guests coming and going all the time, it didn’t feel hard.

The landlord ran a bean sprout business in the dark basement. Once a month, we’d go down to pay the rent. It was so dark we had to call out, and only then would he appear.
“Isn’t it too dark down here?” we’d ask.
“If it’s too bright, the sprouts grow too fast,” he’d reply, handing us a bunch of bean sprouts with the rent receipt.

After paying rent, we were often left with no money. Still, we kept working, eating bean sprout soup, bean sprout salad, and even rice with bean sprouts. But as the rent kept rising every year, we could no longer afford to stay. So we left Grand Street. My husband and I crossed the Williamsburg Bridge and moved to Greenpoint, Brooklyn (Koreans call it Nokjeom-dong). Our roommate returned to Seoul.

When the cold wind blows, I miss those friends so much.

Thursday, September 18, 2008

AC로 가는 버스

동양인이 많지 않은 우리 동네 길거리에서 가끔 마주치는 아시안 여자가 있다. 눈과 얼굴색이 약간 검은 것이 확실히 한국인은 아니다. 어느 , 그녀가 나에게 먼저 말을 걸어와 친구가 되었다. 그녀는 필리핀 이민자다. 그녀의 남편은 폴란드인이고 그녀는 딸을 두고 있다.

영어를 못하는 남편과 폴란드어로 대화할 있을 정도로 유능한 여자다. 사람의 관계도 흥미롭다. 간호사로 미국에 도착하자마자 출입국 관리소에 줄을 있던 그녀가 같은 줄에 있던 폴란드 남자와 눈이 맞았다. 그들은 2 후에 결혼했다.

그녀는 간호사로 일하며 남편 사업을 거들었다. 남편의 건설 사업이 잘되자 전업주부가 되었다. 필리핀뿐만 아니라 우리 동네에도 개의 건물이 있고, 플로리다와 콜로라도에도 빌라가 있다.

큰딸은 외과 의사, 둘째 딸은 NASA에서 일한다. 둘째 딸이 고등학교 시절, 플로리다에 집을 사서 비행기 운전 레슨을 시킬 정도로 교육열도 대단하다. 911 터지자마자, FBI 테러리스트들이 딸과 같은 비행기 운전 학원에서 배웠다며 새벽에 들이닥쳤다. 
그들은 우리 집에 숟가락이 있는지도 거야
비밀이 없는 요즈음 세상의 불편함을 그녀는 장황하게 늘어놓았다.

생기고 버는 남편과 뛰어난 미모를 겸비한 딸을 그녀의 삶이 부러웠다. 무엇이 그녀를 이렇게 풍요롭게 만들 있었을까? 호기심에 그녀를 알고 싶고, 배울 것이 많아 자주 만났다. 그러나 그녀에게도 남모르는 문제가 있었다. 그녀는 여행도 하고, 요리 학원에도 다녔지만, 마음을 붙이지를 못했다. 그래서 시도 때도 없이 나에게 전화를 해댔다. 그러다 어느 때부터인가 전화가 뜸해졌다. 무언가 흥미로운 일이 그녀에게 생긴 같았다.

"그동안 아틀란틱시티에 갬블하러 다니느라 바빴어." 
우리 동네에 아틀란틱시티로 가는 무료 버스가 하루에 있다
"게임도 하고  바닷가를 거닐다 식사도 바람 쐬러 함게 가자."
갬블이라는 말만 들어도 무서워 거절했다. 그녀의 연락이 더욱 뜸해졌다.  
"라스베이거스에서 무료 비행기표와 호텔 숙식을 보내와서 갬블 토너먼트에 자주 가느라 바빴어."

하루는 길을 걷다가  복덕방에 매물로 나온 그녀의 건물 사진을 보게 되었다. 혹시나 도박하다 집이 넘어간 아닌가 하여 계속 전화를 했지만, 연락이 되지 않았다. 어느 날, 남루한 옷차림으로 길을 걸어가는 그녀를 봤다. 모자를 깊게 눌러 쓰고 가는 그녀는 다리가 불편한지 지팡이까지 짚고 있었다. 갬블하느라 재산을 날린 것은 아닐까

어느 잡지에서 읽은 사연이 생각났다. 갬블로 재산을 날려 오도 갈데없는 엄마를 딸이 자신의 집에 데려다 같이 살고 있었다. 집에 있어야 나이 엄마는 자주 사라졌다. 아틀란틱시티로 가는 버스 정류장에 멍한 표정으로 앉아 있는 엄마를 보고 슬퍼하는 딸이 쓴 이야기다. 

나는 필리핀 친구 생각날 때마다  아틀란틱시티로 가는 버스 정류장에  앉아 있는 잡지 속 여인의 모습이 떠오르는지 모르겠다.

Wednesday, September 17, 2008

A bus to AC

There’s an Asian woman I sometimes see on the streets of my neighborhood, where there aren’t many Asians. She has big eyes and darker skin, so I knew she wasn’t Korean. One day, she spoke to me first, and we became friends. She told me she was an immigrant from the Philippines. Her husband is Polish, and they have two daughters.

She is very smart—her husband doesn't speak English well, but she can speak Polish to him. Their story is quite interesting. When she first arrived in the U.S. to work as a nurse, she met her husband while standing in line at immigration. They fell in love and got married just two weeks later.

She worked as a nurse and helped with her husband's construction business. When the business became successful, she stopped working and became a housewife. They own two buildings in our neighborhood, and also have villas in Florida and Colorado.

Her older daughter is a surgeon, and the younger one works at NASA. When her younger daughter was in high school, they even bought a house in Florida so she could take flying lessons. After 9/11, the FBI showed up at their door in the early morning because the terrorists had trained at the same flight school.
“They probably even know how many spoons we have at home,” 
she said, talking about how uncomfortable it feels to have no privacy these days.
I was a little jealous of her life—with a handsome and successful husband, and two beautiful and talented daughters. I became more curious about her and wanted to learn from her, so we met often. But she had her own secret troubles. She tried traveling and cooking classes, but nothing truly made her happy. She started calling me all the time. Then, her calls became less frequent. I figured something new had caught her attention.“I’ve been busy going to Atlantic City to gamble,” she told me one day. There’s a free bus from our neighborhood to Atlantic City, twice a day.
“I go to play games, walk by the ocean, eat, and just get some fresh air. Come with me!” she said. But gambling scared me, so I refused. After that, I heard from her less and less. Then she said, 
“Las Vegas gave me free flights and hotel stays, so I’ve been busy going to gambling tournaments.”

One day, I was walking around and saw a photo of her building at a real estate office. It was up for sale. I got worried—had she lost her property to gambling? I tried calling her, but she didn’t answer. Then, I saw her on the street. She looked poor and tired, wearing worn-out clothes and a hat pulled low over her face. She was walking with a cane. I wondered—did she lose everything to gambling?

I remembered a story I read in a magazine. It was about a mother who lost all her money gambling. Her daughter took her in, letting her stay in her home. But the mother kept disappearing. The daughter found her sitting at a bus stop, staring blankly. It was the bus stop for Atlantic City.

Now, whenever I think of my Filipino friend, I picture that woman at the bus stop in Atlantic City. I don’t know why—but I just do.

Thursday, September 11, 2008

내 별명은 '캐시 부인'

이렇게 오래 갔다 와도 되나? 도둑이 들면 어쩌지?" 
도둑이 들면 어때. 가져갈 것도 없는데. 가져갈 것이라고는 우리 아들 둘하고 나뿐인데.
이른 아침에 공항 가는 콜택시를 기다리며 걱정하는 남편과 나눈 대화다추운 뉴욕에서 고생하는 자식이 불쌍한지 LA에 사시는 시아버님이 한 해 한 번 비행기 표를 보내주신다

야자수가 빙 둘린 뒤뜰, 
따듯한 햇볕 아래 누워 있었다. 뉴욕에서 전화가 왔다층에 사는 아 엄마다. 우리 집에 도둑이 들었단다
훔쳐 간 것 없다냐?" 
시어머니가 놀라서 물었
훔쳐 갈 게 어딨어요.” 
그래 말이 맞다. 뭐가 있어야 훔쳐 가지.” 
모두 안심하는 표정이다.

시름을 멀리한 따뜻한 LA에서 쉬다 집에 왔다. 문이 살짝 열려 있었다. 얼마 없는 가구들과  맥주 깡통들이 동그라져 있다. 도둑이 뒤지다가 훔쳐 갈 게 없어서 속이 탔는지 냉장고 안의 맥주를 마셨나 보다. 

우리 집엔 물건이 많지 않아서 좋은 점이  많. 청소를 자주 하지 않아도  깨끗해 보인다. 쇼핑하지 않으니 시간과 돈에 쪼들리지 않는다. 물건은 시간이 지나면 싫증이 나고 버거워져 쓰레기가 된다. 하지만, 은행에 있는 돈은 안전하고 언제든 사고 싶은 물건을 있다.

별명은 한때 만두 이었다. LA 가기만 하면 시어머니는 
만두 만들어야지버리기가 아까운 재료들을 네가 오면 만두 만들려고 냉동에 얼려 놓기 잘했지?"
하며 커다란 양푼을 놓는다. '만두 장사를 해볼까?' 할 만큼 만두 몇백 개를 빠른 속도로 만들 있다. 만두피만 있으면 냉장고에 먹다 남은 고기와 채소로 만두를 만들고 냉장고 청소를 말끔히 한다. 

요즈음 내 별명은 ‘캐쉬 부인이다. 모처럼 서울 친정에 갔다가 돌아올 때 아버지는  돌아가시기라도 것처럼 평소에 모아 놓으신 골동품을 주신다좋아하는 골동품을 보시며 오래 사셨으면 하는 마음에 받아오기가 미안하기도 하고 무거워 성가시다. 
아버지, 무거운 물건으로 주지 말고 가벼운 현찰로 주면 안 돼? 가지고 가기 편하게.
친정아버지는 투정하는 나에게 현찰 부인이라는 별명을 붙여 줬.

누가 뭐래도 가벼운 캐쉬 좋다. 좋은 캐쉬 가지려면 열심히 돈을 벌어야 한다. 그러나 돈  재주는 없다. 그나마 물건을 사지 않으니 돈이 조금씩 모이는 재미에 빠져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