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August 22, 2020

차라리 교만하고 말지


미세스 리는 교만한 사람이야.” 
옆자리에 앉아 떠들던 권사라는 여자가 나를 향해 뜬금없이 말했다
교만? 저의 어떤 면이?” 
하나님을 믿지 않고 자기 자신을 믿고 사는 삶이 교만하다는 증거야. 당장이라도 교회 나가지.” 
교회 가야만 하나님을 믿는 건가요?”
라는 말이 입에서 떨어지려는 것을 꿀꺽 삼키고  하늘을 올려다보며 주여~”

오랜 이민 생활, 이런저런 역경 속에서도 항상 감사하며 기쁜 맘으로 살았다. 좋게도 사기꾼도 만나지 않았고 억울한 일도 크게 당하지 않았다. 그런데 지금부터 내가 이야기 하려는 것은 생각할수록 기분이 언짢다.

 

나는 LA 사는 1.5, 손아랫동서를 무척 좋아한다. 착하다. 귀찮게 하지 않는다. 물론 나에게 잘한다. 나는 동서 말을 들으려고 노력하다가 아차 실수했다

형님, 우리 시어머니와 아버지 상조회를 들었으면 하는데요?” 

동서가 운을 뗐다. 상조회가 뭔지도 모르고 그저 착한 그녀가 하자니까 동의했다.

 

청구서를 받아보고 나는 어머니 몫을 낸다는 것을 알았다. 동서 몫인 시아버지는  일찍 돌아가셨다. 나는 1993년부터 2016 중순까지 23 동안 하루도 늦지 않고 교회에서 운영하는 상조회에 15000불을 완납했다. 그리고 매년 별도의 회비도 냈다. 상조회비를 내는 23 동안 그리고 이후에도 회칙이 계속 바뀌었다. 시작할 때는 20 동안 14250달러를 완납하면 돌아가신 15000불을 주겠다고 했다. 회칙이 15000 전액을 완납해도 14250불만 주겠다로 바뀌었다. 재정상 그렇게 됐다며 750불은 헌금 한샘 치라는 것이 아닌가! 익스큐즈도 없이 헌금하면 좋은 일이라는 식으로 교회 근처도 가는 나에게. 이후에도 회칙이 바뀌었다. 앞으로도 계속 바뀔 터인데 이러다가 재정이 곤란하다며 시어머니가 돌아가셔도 헌금 한샘 치라고 나올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스멀스멀 올라왔다.

 

죽음으로 향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돈을 끌어모아 상조회를 만들었으면 적어도 재정 전문가가 있었을 텐데? 주판 흔들며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했단 말인가! 23 동안 액수를 땅에 묻어놨어도 원금을 찾을 있었다. 전문가도 아닌 나도 2007년부터 뱅가드 인덱스 펀드에 투자해서 자금을 불렸다. 내가 상조회에 가입해서 27 동안 바보 같은 짓을 것인지? 자신을 탓하며 후회하고 했다.

 

점을 치러간 남자에게 점쟁이가 

점괘가 사자에게 죽임을 당할 있으니 조심하라.” 했단다. 동물원에만 가지 않으면 사자에게 죽임을 당하지 않겠지 했던 남자가 어느 죽었다. 사자 조각상 밑에 앉아 졸다가 동상이 무너져서.’


나야말로 교회 나가지 않는다고 교만하다는 소리를 수없이 들으면서도 교회 안에서 일어나는 불미스러운 일에 말려들지 않으려고 멀리했다. 그런데 동물원 근처에 얼씬거리지 않았음에도 화를 당해 죽듯이, 교회에 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교회 상조회의 계속 바뀌는 회칙에 끌려다니다 드디어는 깔려 눕게 생겼다. 차라리 교만하고 말지!

I'd rather be arrogant

“Mrs. Lee is such a proud woman,”
said a church deaconess sitting next to me out of nowhere.
“Proud? What do you mean?” I asked.
“You don’t believe in God. you only believes in yoerself. That’s the proof of your pride. you should start going to church right away.”
I almost said, “Does going to church mean you believe in God?” but I swallowed the words and looked up at the sky, saying, “Oh Lord…”

I’ve lived a long life as an immigrant and always tried to be thankful and joyful, even through tough times. I was lucky—never cheated, never suffered any big injustice. But what I’m about to tell you now really bothers me.

I like my younger sister-in-law very much in L.A. She’s kind. She doesn’t bother me. And she treats me well. I tried to follow her advice—and that’s where I made a mistake. One day, she said,
“I think we should join a funeral support plan (sang-jo-hoe) for our parent-in-law.”
I didn’t really know what a sang-jo-hoe was, but since she was kind and sincere, I agreed. Later, I found out the bill was only for my mother-in-law’s share. My sister-in-law no longer had to pay her share of the funeral fund because our father-in-law passed away early.

From 1993 to mid-2016, I paid the full $15,000 for my mother-in-law without missing a single month. The funeral fund was run by a church, and I also paid yearly membership fees. But over those 23 years, the rules kept changing. At first, they promised: “Pay $14,250 over 20 years, and after death, you’ll receive $15,000.”
But later they changed the rule to say: “Even if you fully pay $15,000, we’ll only return $14,250.” The reason? “Church finances are tight.”

They told me to consider the extra $750 as a donation. No apology. Just a casual, “Donating is a good thing,”—even to me, someone who doesn’t go near church. And the rules kept changing again. I started to worry: What if they change the rules again when my mother-in-law passes away? What if they ask me to donate all instead of giving me the promised money?

If they created a funeral fund to collect money from elderly people, shouldn’t there have been a financial expert involved? But it felt like they just shook an abacus and made random decisions. Even if I had buried that money in the ground, I could’ve dug it up and still had the full amount. I’m not a financial expert, but even I started investing in Vanguard index funds in 2007 and grew my money. Why did I join this funeral plan and act foolishly for 27 years? I blamed myself and kept regretting it.

There’s a story about a man who went to a fortune teller.
She told him, “Beware—you may die by a lion.”
He thought, “As long as I avoid the zoo, I’ll be safe.”
But one day, he sat under a lion statue, fell asleep, and was crushed when the statue collapsed.

I’ve often been told I’m proud because I don’t go to church. But I’ve always kept my distance to avoid being involved in the messy things that happen inside churches. Still, like the man who stayed away from the zoo but died anyway, I avoided church, yet I got dragged into a funeral fund run by a church, with its rules changing again and again—until now, I feel completely crushed. I’d rather be called proud than go through this!

Saturday, August 8, 2020

삼 형제 술좌석


오늘 엄마 생일이지요? 뭐 필요한 것 있어요?” 
고마워. 가지고 싶은 것도 먹고 싶은 것도 없다. 너희가 말 잘 들어서 엄마는 하루하루가 생일이다. 그냥 네가 건강하게 잘 지내주는 것이 선물이야. 바이러스 물러가면 함께 밥 먹자.”

무소식이 희소식인 요즈음, 올해 들어 두 아들을 한 번도 만나지 못했다. 만나려고 했을 때는 이미 코로나-19가 번지기 시작했다. 일주일에 한번가량  아이들이 안부 전화만 한다

엄마 괜찮아요? 뭐해요?” 

바빠. 할 게 많아. 너는?” 

동생하고 한국 드라마 봐요엄마는 안 봐요?” 

"난 송혜교 나오는 가을동화올인을 본 이후로 한국 드라마 본 적 없다. 뭘 보는데?" 

마이 미스터(나의 아저씨).” 

재미있니? 엄마는 뻔한 스토리에 울고 짜는 드라마 보기 싫어.” 

이 건 좀 달라요.” 

그래, 너희들은 어렵게 익힌 한국말 잊지 않도록 보는 것이 좋지.”

 

한국 드라마 하면 오래전 핼쑥하고 침울한 몰골로 일상생활을 제대로 할 수 없었던 지인이 생각난다. 그는 와이프와의 갈등을 잊으려고 몇 달째 두문불출하며 드라마만 보고 있다고 했다. 방구석에 비디오테이프가 가득 쌓여 있던 어두운 장면이 잊히지 않는다.

 

나 또한 아이의 중국 친구가 가을 동화보고 너무 재미있다고 해서 아이들에게 한국어도 가르칠 겸 빌려다 본적이 있다. 너무 울어서 머리가 빠개지도록 아팠다. ‘올인드라마에는 너무 올인해서 밥맛을 잃고 볼이 움푹 패이고 생활이 엉망진창이 되었다. 남편은 섬뜩한 내 모습을 보고  

마누라 완전히 미쳤군. 그만 보고 가서 거울 좀 봐. 귀신 같아.”  

 

그런데 아이들 말이라면 토 하나 빠트리지 않고 잘 듣는 나인지라 나의 아저씨는 보고 싶었다. 아이들이 왜 이 드라마가 다른 드라마와 다르다며 좋아하는지? 알고 싶었다. 모두 16편이다. 아무리 아이가 재미있다고 해도 첫 편을 보고 싫으면 고만 봐야지 했다. 꽤 재미있다. 잠시간을 놓치고  꿈에서도 드라마 장면에 들어가 헤맬 정도로 생활 루틴이 깨지기 시작했다. 일단 시작했으니 빨리 끝장을 보고 싶었다. 그러나 끝으로 갈수록 쓸데없이 질척거리며 질질 끌어 흥미를 잃었다. 아이가 내준 숙제라고 생각하고 열심히 보다가 마지막 두 편은 포기했다.

 

드라마 속 세 아저씨는 툭하면 흥분하고 격분해 소주잔을 부딪치며 자신들의 삶을 한탄한다. 도스트엡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삼 형제가 생각났다. 둘보다 셋이라야 더 흥겹고 술맛이 나는지? 나도 아들 하나 더 낳을 걸 그랬나?


브루클린 스튜디오에서 지내며 주말부부 된 남편은 가까이 있는 아이들과 이따금 함께 술잔을 기울이며 친하게 잘 지낸다. 그냥 철없는 남편을 아들로 생각하고 삼 형제 두었다고 치자. 나 없이도 셋이 잘 노는 것을 보니 세상을 다 가진 듯 기분이 좋았다. 와인잔에 술을 가득 따라 혼자서 지는 해를 바라보며 건배

Three brothers drinking table

“Mom, it’s your birthday today, right? Do you need anything?”
“Thank you. I don’t want anything to eat or have. Just you listening well makes every day feel like my birthday. Your health and happiness are my gift. Let’s have a meal together when the virus is gone.”

These days, no news is good news. I haven’t seen my two sons at all this year. When we tried to meet, COVID-19 started spreading. Now, the boys call about once a week just to check in.
“Mom, are you okay? What are you doing?”
“I’m busy. I have a lot to do. How about you?”
“We’re watching a Korean drama together. Do you watch any?”
“I haven’t watched any since Autumn in My Heart and All In with Song Hye-kyo. What are you watching now?”
“My Mister.”
“Is it good? I don’t like dramas that are too emotional with predictable stories.”
“This one’s different.”
“Well, it’s good for you to watch so you don’t forget your Korean.”

Korean dramas remind me of someone I knew long ago. He looked pale and depressed, barely living a normal life. He said he stayed inside for months, watching dramas to forget problems with his wife. I still remember his dark room filled with videotapes.

I once rented Autumn in My Heart because a Chinese friend of my kids said it was great. I cried so much, my head hurt badly. Then I got obsessed with All In, lost my appetite, my cheeks sank in, and my life became a mess. My husband looked at me and said,
“You’ve totally gone crazy. Stop watching and go look in the mirror. You look like a ghost.”

But since I always listen carefully when my kids recommend something, I wanted to watch My Mister. I was curious—why do they say it’s different from other dramas? There are 16 episodes. I told myself I would stop if I didn’t like the first one. But it was pretty good. I even started dreaming about the scenes. My daily routine got messy. I just wanted to finish it quickly. But toward the end, it got slow and overly emotional, and I lost interest. I kept watching like it was homework from my kids, but I gave up on the last two episodes.

In the drama, the three men often get angry, shout, and drink soju together, complaining about their lives. They reminded me of Dostoevsky’s The Brothers Karamazov. Maybe three men make drinking more fun than two? Maybe I should’ve had one more son.

My husband now lives in our Brooklyn studio and only comes home on weekends. He often drinks and chats with the boys, who live nearby. I think of my childish husband as one of the brothers. Let’s say I have three sons. Seeing the three of them having fun without me made me feel like I had everything in the world. I poured myself a full glass of wine, looked at the setting sun, and quietly said,
“Che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