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November 13, 2025

늙어도 여전히 봄처럼


나는 해가 질 녘, 노을빛에 취해 맨해튼을 걷고 있었다.

“와우 너 옷 멋지게 입었다.” 

뒤에서 백인 여자가 말을 걸었다. 그 여자를 쳐다보니 엄청 멋쟁이다.

“너야말로 멋지게 옷을 입었네.” 

내가 말하자 그녀가 나에게 물었다. 

“우리 만나서 차라도 마시면 어때? 네 전화번호 줄 수 있어?”


적극적으로 나에게 말 거는 그녀에게 전화번호를 줬다. 혹시 레즈비언이 아니냐? 조심하라는 엉뚱한 소리하는 남편 말을 무시하고 우리는 친구가 되었다. 그녀는 디자이너로 오래전 유대인 의사 남편과 이혼했다. 그녀의 이혼 사유는 남편이 부인과 아이들보다 부모와 형제를 먼저 챙기는 것을 참다가 헤어졌다고 한다. 개인 사정이야 어떻든 간에 나는 그녀에게 꽤 흥미를 느꼈다. 그녀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발산하는 매력적인 싱글이다. 옷 하나하나를 신경 써서 겹겹이 입었다. 자신의 스타일을 창조한 차림새다. 그 여자 자체가 예술 작품이다. 

“너 너무 매력적이라서 남자들이 추근대면서 따라오지 않아?” 

“나는 욕망이 없어. (I have no desire.)” 


헌신하면 헌신짝 된다는 말이 있다. 직장 다니며 남편과 아이들 뒷바라지하느라 외모를 가꾸지 않는 젊은 여자들이 있다. 애쓰며 돈 벌어다 준 부인에게 고마움은커녕 외모를 지적하며 창피해하는 철없는 남편들이 많다. 나이 든 여자들은 귀찮아서, 살이 쪄서 굳이 애쓸 필요가 있을까? 라며 포기한다. 편안한 삶에 안주하다 보면 마음도 습관적으로 편안한 것만을 추구하게 된다.


“여자가 로맨스를 잃으면 여자로서 매력이 없어진다.” 

라고 말하던 친정아버지 말씀이 떠오른다. 건강 챙기며 96세까지도 여자 친구가 많았던 아버지, 돌아가시기 전, 병상에 누워 영원히 살 줄 알았다는 듯이

“내가 왜 이렇게 됐니?”

“그래도 아버지는 원하는 삶을 원 없이 살았잖아. 죽음을 우리가 어찌할 수 없잖아. 받아 드려야지요.”

내 요 주둥이가 아파서 누워 있는 아버지에게 철 좀 들으라는 식으로 한마디 했다. 


사람들은 주위 사람들이 다 죽어도 본인만은 영원히 사는 줄 착각한다. 죽을 때 죽더라도, 죽는 순간까지 몸을 가꾸고 자신을 성장시키며 살다 가고 싶다. ‘늙기 전에는 젊음이 좋은지 모른다. 죽기 전에는 삶도 고마운지 모른다.’ We should not give up.

Still Like Spring, Even When Old

I was walking in Manhattan at sunset, drunk with the beauty of the sky.
“Wow, you’re dressed so nicely!”
A white woman spoke to me from behind. I looked at her.  She was very stylish.
“You’re dressed beautifully too,” I said.
Then she asked,
“How about we meet for coffee? Can I have your phone number?”
She was very friendly, so I gave her my number. We became friends. She was a retired designer. Long ago, she divorced her Jewish doctor husband. She said she left him because he always cared more about his parents and brothers than his wife and children.
Whatever her story was, I found her very interesting. She had a positive, bright energy. She was an attractive single woman who dressed with great care. Every piece of clothing matched perfectly. Her style was her own creation. She herself was like a piece of art.
“Don’t men follow you? You’re so attractive,” I asked.
“I have no desire,” she said.
There is a saying: When you give too much, people throw you away.
Many young women work hard, raise children, and support their husbands, but don’t have time to care for their looks. Some foolish husbands even make fun of their wives instead of feeling thankful. Older women often say, “I’m too tired,” or “I gained weight, why bother?” and give up. But when you always choose comfort, your heart also becomes lazy.
My father used to say, “When a woman loses romance, she loses her charm.”
He lived until 96 and always had many lady friends. Before he died, lying in bed, he said,
“Why did this happen to me?”
I told him, “Father, you lived the life you wanted. No one can stop death. We have to accept it.”
People think they will live forever, even when everyone around them dies.
But I want to take care of myself and keep growing until the very end.
We don’t know the value of youth until we get old. We don’t know the value of life until we face death. We should not give up.

Thursday, October 30, 2025

행복이 뭐 별거냐


올가을은 유난히도 길었다. 나뭇잎은 계절을 잊은 듯 여전히 초록색을 띠며 떨어질 생각이 없다.  

센트럴 팍을 걷다가 갑자기 설사가 나오려고 했다. 티제이 맥스에 들어가 화장실로 뛰었다. 남자 소변보는 용기를 본 것도 같은 데 급해서 눈에 뵈는 게 없는지 그냥 들어갔다. 변을 봤다. 휴지통에 휴지가 없다. 내 주머니에도 없다. 와! 어떡하지. 이럴 땐 어찌해야 할까? 두 손으로 머리를 감싸고 끙끙거리는데 바로 옆 칸에서 인기척이 났다. 밑 뚫린 곳을 보니 남자 구두가 보였다. 아이고, 내가 남자 화장실에 앉아 휴지를 찾고 있는 것이 아닌가! 급하면 앞뒤 가리지 않고 뻔뻔해진다더니. 


“죄송한데요. 여기 휴지가 없어요. 휴지 좀 건네줄 수 있을까요?”

조용히 화장실 밑으로 한 움큼의 휴지를 받았다. 내 사정을 훤히 안다는 듯 또다시 한 뭉치의 휴지를 건네줬다. 

“대단히 고마워요. 혹시 제가 남자 화장실에 들어왔나요?” 

굵직한 소리가 말했다.

“네, 여자 화장실은 입구 오른쪽에 있었는데 지나쳤군요.”

“너무 급해서 보지 못했어요. 미안해요. 고마워요.”

그 남자가 나오기 전, 후다닥 일어나 뒷정리를 위해 여자 화장실로 들어갔다.


용변이 급할 때마다 자동으로 닥터 지바고 영화가 떠오른다. 아우슈비츠로 끌려가는 유대인들을 태운 영화의 기차 안 풍경을 떠올리기도 한다. 많은 사람이 대변이 급하면 어찌했을까?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닥터 지바고에서는 기차에서 생긴 오물을 버리기 위해 문을 여니 문 크기의 얼음판으로 막혀있다. 삽으로 얼음을 후려쳐서 깨고 볏짚 더미에 엉긴 오물을 문밖으로 쓸어내던 장면이 떠오른다. 나는 지금 변기에 앉아 변을 볼 수 있다는 크나큰 행복에 빠졌다.


고차원적인 삶이 굳이 아니더라도 잘 자고, 잘 먹고, 잘 싸기만 해도 행복하다. 나에게 행복을 안겨준 옆 화장실에 앉아 있던 점잖은 남자에게 감사한다. 

What Is Happiness, Really?

This fall was unusually long. The leaves stayed green, as if they forgot the season, and didn’t want to fall. While I was walking in Central Park, I suddenly felt I had to use the bathroom. I ran into T.J. Maxx and rushed to the restroom. I think I saw urinals, but I was in such a hurry that I didn’t care and just went in. After I finished, I found there was no toilet paper in the bin. I checked my pockets — nothing! Oh no! What should I do?

I held my head with both hands, panicking. Then, I heard someone in the next stall. I looked down and saw a man’s shoes under the wall. Oh my goodness — I was in the men’s restroom! When I’m desperate, I forget shame. I said,

“Excuse me, there’s no toilet paper here. Could you please give me some?” 
A quiet hand passed me a handful of paper under the wall. Then he kindly gave me some more, as if he understood my situation.
“Thank you so much. Did I come into the men’s restroom?”
A deep voice answered,
“Yes, the women’s restroom is on the right side of the entrance. You missed it.”
“I was in such a hurry. I’m sorry, and thank you.”

Before he came out, I quickly went into the women’s restroom to clean up. Whenever I really need to go to the bathroom, I remember the movie Doctor Zhivago. I also think about the train scene with Jewish people being sent to Auschwitz. I always wonder — what did people do when they needed to use the toilet on that train? It must have been terrible.

In Doctor Zhivago, people try to throw out the waste from the train, but the door is blocked by a thick sheet of ice. They break the ice with a shovel and push out the frozen waste with straw. Sitting on a clean toilet now, I suddenly feel very lucky. Even a simple thing like this is happiness.

You don’t need a high-class life to be happy. If you can sleep well, eat well, and poop well, that’s true happiness. I feel grateful to that kind man in the next stall who gave me toilet paper —he gave me not just paper, but happiness.

Friday, October 17, 2025

백림사와 원각사를 돌고 돌아


“사랑방 마운틴에 가자. 가기 전에 절에 들렀다가. 내가 픽업 갈게. 준비하고 있어.”

지난밤부터 배가 살살 아프고 구토증이 나는 것이 심상치 않다. 산책하면 나을 것 같아 공원에서 걷고 있었다. 일요일, 교회에서 예배드리고 있을 친구에게 문자 메시지가 왔다. 아플 때 친구들과 놀면 낫는 체질인 나는 신이 났다. 다운타운에 살고 있는 또 다른 친구도 함께 간다고 우리 집으로 오는 중이다. 셋은 그동안 밀린 이야기를 나누었다.


“어느 절로 가는 거야.”

운전하는 친구에게 내가 물었다. 

“백림사.”

“사랑방 마운틴이 그 사찰 근처에 있어? 내가 오래전에 그곳에서 템플 스테이 했는데. 꽤 멀어.”

“그 절에서 조금만 가면 사랑방 마운틴이야.” 

11시경에 떠났는데 백림사에 도착하니 2시경이었다. 사찰 마당이 횅하니 비어 아무도 눈에 뜨이지 않았다. 우리가 식당 안을 기웃거리자, 비구니 두 분이 들어오라고 했다. 콩나물밥을 먹으라며 김치와 상추와 양념장과 된장국을 꺼내주셨다. 신도들을 점심 봉양하시고 다 치운 상태에서 우리가 들이닥쳤는데도 반가이 맞아주셨다. 한국인만이 베풀 수 있는 마음 씀씀이에 미안하고 고마워서 나는 문밖에서 우물쭈물했다.


산사에서 새우와 오징어를 넣은 콩나물밥을 상추에 싸서 양념장을 얹어 먹는 맛이란! 정신놓고 먹다가 고개를 들었다. 대학 선배님이 들어오시는 것이 아닌가. 서로 껴안고 반가워 어쩔줄 몰랐다.

“사랑방 마운틴은 원각사 근처에 있어. 여기서 뉴욕 가는 길로 한 시간 되돌아가야 해.”

선배님이 말했다. 원각사에 가야 하는데 친구가 내비게이터에 백림사를 찍었다는 것이다. 


오랫동안 뵙지 못한 선배님을 만나려고 길을 잘못 들었던 것일까? 길을 잃을 때마다 더 재미있는 일이 생기는 까닭은 부처님 은덕인가 보다. 선배님과 아쉽게 헤어진 후 우리는 원각사를 향해 또 달렸다. 너무 늦어 원각사는 다음에 방문하기로 하고 그 근처에 사는 화가 조성모 작가 스튜디오 사랑방 마운틴에 도착했다. 돌고 돌아오다 보니 저녁나절 4시 30분이었다. 


운전하는 친구는 꼬리뼈가 아프고 또 다른 친구는 허리가 아프다고 하소연했다. 나는 아침에 소화가 안 되고 배가 아팠는데 말짱해졌다. 보고 싶었던 선배를 우연히 만나고, 친구들과 마음껏 수다 떨고, 게다가 백림사 두 비구니 스님의 은덕으로 어릴 때 엄마와 자주 가서 먹던 사찰 음식이 나의 아픔을 말끔히 치료했다. 예상치 못한 즐거운 행복한 하루였다. 

Going Around Baklim Temple and Wongak Temple

“Let’s go to Sarangbang Mountain. Before that, let’s stop by a temple. I’ll pick you up. Get ready.”
Since last night, I had a little stomachache and felt like vomiting. I thought a walk might make me feel better, so I was walking in the park. Then I got a text message from my friend, who was at church on Sunday morning. I always feel better when I spend time with friends, so I got excited. Another friend living downtown was also coming to my house. The three of us talked about many things we hadn’t shared for a while.

“Which temple are we going to?” I asked the driver.
“Baklim Temple.”
“Is Sarangbang Mountain near that temple? I stayed there a long time ago for a temple stay. It’s quite far.”
“It’s not far from that temple,” my friend said.

We left around 11 a.m., and when we arrived at Baklim Temple, it was about 2 p.m. The temple yard was quiet and empty. We peeked into the dining hall, and two Buddhist nuns invited us in. They served us bean sprout rice with kimchi, lettuce, soy sauce seasoning, and soybean paste soup. They had already finished serving lunch to the other visitors, yet they welcomed us warmly. I felt both grateful and sorry for troubling them — such kindness is something only Koreans can show.

The bean sprout rice with squid and shrimp, wrapped in lettuce with spicy sauce, tasted so good! I was eating happily when I suddenly looked up — and there was my senior from college! We hugged and were so glad to see each other.
“Sarangbang Mountain is near Wongak Temple,” she said. “It’s about an hour back toward New York from here.”
It turned out my friend had put Baklim Temple in the GPS instead of Wongak Temple.

Maybe we took the wrong road so I could meet my senior again after so many years. Whenever I lose my way, something interesting always happens — perhaps it’s the Buddha’s blessing. After saying goodbye to my senior, we drove again toward Wongak Temple. It was too late to visit, so we went to artist Sungmo Cho’s studio, Sarangbang Mountain, nearby. By the time we arrived, it was already 4:30 p.m.

The driver complained that her tailbone hurt, and another friend said her back hurt. I had a stomachache in the morning, but now I feel completely fine. Meeting my senior by chance, chatting freely with friends, and eating the temple food that reminded me of my childhood cured me completely. It turned out to be an unexpectedly happy and wonderful day.

Friday, October 3, 2025

김치 한 조각의 서글픔


“김치 좀 주세요” 

반찬이 주르르 나오지 않고 기본 반찬으로 김치만 나오는 이 식당 김치를 좋아하는 남편이 말했다. 

“식사 시키기 전에 김치는 안 나옵니다.”

우리는 소주 한 병을 시켜놓고 서울서 온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다. 황석영의 장길산 소설 속 나그네처럼 주막에 들러 국밥이 나오기 전, 빈속에 술을 털어놓고 김치 쪼가리를 씹고 싶어서였다. 무표정한 웨이터의 대답이 술맛을 싸하게 만든다. 


우리가 초대한 두 분이 식탁 맞은편에 앉았다, 남편이 파전과 순대와 찐만두를 시켰다. 사이드 종지를 주지 않는다. 아무도 안주를 건드리지 못하고 기다리고 있었다. 

“여기 종지와 김치 좀 주실래요.”

다시 웨이터가 무뚝뚝한 얼굴로

“식사를 주문하지 않으시면 김치는 드릴 수 없습니다.”

“아니, 술과 안주를 먼저 먹고 식사는 나중에 시킬 테니 김치는 가져다줄 수 있는 것 아닌가요?” 

“식사 주문하시면 가져다드리겠습니다.”

 언제부터 안주와 식사가 분리되었던가? 웨이터는 무반응으로 계속 외면한다. 술맛이 슬슬 달아났다. 

“사장님 나오시라고 해요.” 

웨이터는 그러든지 말든지 하는 무표정으로 가더니 누군가가 김치를 가져왔다


물가가 너무 올라 김치가 금치 되었나? 식당 매니저의 지시인가? 웨이터의 융통성 부족인가? 안주만 시켜 놓고 김치를 달라는 우리가 무례한 건가? 아니면 요즘 한국 젊은이 중에는 나이 든 사람들에게 “무응답凝視” 즉 질문이나 말을 걸었을 때 대답은 하지 않고 상대를 빤히 바라보는 태도로 일관한다는데. 사회적 거리 두기 이후 생긴 변화인가? 


손님도 많지 않다. 웨이터는 우리 테이블에 시선을 두고 있는데도 여전히 종지는 가져다주지 않는다. 식탁에 앉아 술잔을 마주하면, 아주 오래전에 읽은 장길산에서 아낙들이 국밥 끓이는 장면을 연상하며 한마디 한다.. 

“종지라는 말 너무 예쁘지? 봉지도.”


물가가 올라도 너무 올랐다. 국밥 가격이 예전의 두 배 이상이 되었다. 어쩌겠는가. 식당도 이윤을 남겨야 하니 그래도 소주와 안주를 세 개나 시키고 식사도 나중에는 주문했는데. 한국인의 기본 반찬인 김치는 미리 줘야 하지 않을까? 무척이나 야박하고 헷갈리는 저녁이었다.